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가계대출 63.2% 고소득층이 받아…부동산 투자로 ‘자산 양극화’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분기 1666조 불어난 가계대출

3분의 2 가까이 소득상위 30%에

대부분 저금리 활용 부동산 대출

중소득층 25.8%…저소득층 11%뿐

부실위험 낮다지만 ‘양날의 칼’

집값 거품 꺼지면 경제 전반 충격


한겨레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666조원까지 불어난 가계대출의 63.2%는 고소득층이 차지하고 있으며, 고신용자 비중도 75.5%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저금리로 중고소득층은 투자, 저소득층은 생활자금 등 대출 목적이 상이한 현상이 강해졌다. 얼핏 보면 고소득·고신용 비중이 높아 전체 대출 규모에 비해 부실 위험이 낮을 수 있지만, 다른 위험도 봐야 한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대출 대부분이 부동산 투자와 연계돼 있는데, 집값이 계속 오르면 고소득층의 빚내서 투자 성공에 따른 자산 양극화가 극심해지고, 집값 조정이 오면 이들 중에서도 일부 ‘하우스푸어’가 양산될 수 있어 어느 측면에서든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3일 엔에이치(NH)투자증권이 한국은행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가계대출 잔액(1666조원)의 63.2%는 고소득층(소득 상위 30%)이 차지하고 있다. 이어 중소득층(25.8%), 저소득층(11.0%) 순이다. 신용등급별 비중은 고신용이 75.5%, 중신용이 20.8%, 저신용이 3.8%다. 고소득·고신용자는 대출이 수월해 원래 대출 비중(60~70%)이 높다. 그런데 지난해부터 역대 최저 기준금리로 이자 부담이 줄어들면서 고소득·고신용자 대출 쏠림 현상이 더 커졌다.

한겨레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보면 지난해 3월 기준 소득 상위 20%의 부채는 평균 1억8645만원이며, 평균 자산은 9억8054만원이다. 자산 비중은 금융 24%(2억3493만원), 실물 76%(7억4561만원)다. 부동산 투자를 위한 대출이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민간연구소 랩2050의 ‘한국 부동산 계층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평균 9억~30억원대 부동산을 보유한 상위 10% 가구의 지난해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비율은 244%에 달한다. 평균 부동산 자산이 30억원인 최상위 2% 가구의 가계부채비율은 317%인데, 노동소득(근로+사업)이 연 평균 5879만원, 자산소득(임대+금융)이 연 평균 2815만원이었다. 평균 부동산 보유가액이 1억6100만원인 중간계층(상위 30~70%) 가구와 비교하면 노동소득(연 평균 2504만원)은 2.35배 차이가 나지만, 자산소득(연 평균 118만원)은 무려 23.9배 격차가 난다. 특히 최상위 2% 계층이 보유한 거주 주택 외 부동산 총액은 809조원으로, 거주 주택 총액 432조원의 두 배에 육박해 임대 소득 규모가 컸다. 상위 계층은 자산으로 자산을 불리고, 그 사이 대출을 지렛대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부동산 시장이 계속 상승세인 현재로서는 가계부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고소득층의 상환 능력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것을 긍정적으로만 바라보기도 힘들다. 반대로 생각하면 자산 양극화가 그만큼 심해진다는 얘기가 된다. 빚내서 투자 성공이 더 견고한 자산의 벽을 세우는 것이다.

이에 집값이 하락하면 좋겠지만, 또 갑자기 가격 조정 폭이 크면 고소득층 가운데 일부 무리한 투자를 한 이들을 중심으로 상환 능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최악의 경우 집값의 연쇄적인 폭락과 대출 부실에 따른 경제 전반의 위기로 번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고소득층의 대출이 부동산 시장과 너무 밀접하게 연결돼 있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다. 한 정부 관계자는 “가계대출 내 고소득·고신용 비중이 높지만 부동산 가격이랑 상관 관계가 높기 때문에 이들도 위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비중이 높은 가계대출 증가세와 비정상적인 부동산 가격 상승의 연착륙이 중요한 이유다.

전슬기 기자 sgjun@hani.co.kr

벗 덕분에 쓴 기사입니다. 후원회원 ‘벗’ 되기
한겨레 서포터즈 벗이 궁금하시다면? ‘클릭’‘주식 후원’으로 벗이 되어주세요!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