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달걀 57%·기름값 20%↑' 물가 넉달째 2%대…"3분기 오름폭 축소"(종합2)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7월 소비자물가 2.6% 상승…AI 영향에 폐사조치로 축산물 상승폭 커

'하반기 안정세' 전망은 계속…"농축수산물 오름세 둔화·기저효과도"

뉴스1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스1) 권혁준 기자,한종수 기자,서미선 기자 =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2.6% 올라 넉 달 연속 2%대 상승률을 지속했다.

조류인플루엔자(AI)와 폭염 영향에 달걀값이 57% 급등하는 등 축산물 가격이 오르고 개인서비스와 석유류 등의 오름세도 지속됐기 때문이다.

정부는 하반기에 물가 상승이 둔화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나 농축산물이나 유류 등 물가 오름세가 여전한 만큼, 연간 물가상승률 1.8% 목표도 지키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온다.

◇7월 소비자물가 2.6%↑…4개월째 2%대 상승률

3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61(2015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2.6% 상승했다.

지난 4월 2.3% 오른 뒤 5월(2.6%), 6월(2.4%)에 이어 4개월 연속 2%대 물가 상승률이다.

4개월 연속 2% 이상 물가 상승률은 지난 2017년 1~5월까지 5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한 이후 4년2개월만이다. 당시에도 AI 영향에 따른 농축수산물 가격 인상과 석유류 오름세 등이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1.7% 올라 3월부터 다섯달 연속 1%대 상승률을 나타냈다. 2017년 7월, 8월 두 달 연속 1.8%를 기록한 뒤 가장 큰 상승폭이다.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1.2% 상승했다.

생활물가지수는 3.4% 상승했다. 식품이 4.4% 오른 가운데 식품 이외는 2.8% 올랐다.

신선식품지수는 7.3% 상승했다. 신선채소가 0.8% 하락했지만 신선과일이 21.3% 급등했고, 신선어개가 0.4% 올랐다.

뉴스1

/뉴스1 DB © News1 조태형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상품가격 3.8%↑…농축산물 9.6%·석유류 19.7% 등 오름세 여전

상품 가격은 한 해 전보다 3.8% 올랐다.

상품 중 농축수산물은 9.6% 상승했다. 6개월째 두 자릿수 상승률을 이어가다 지난달엔 상승률이 한자릿수로 낮아졌다.

다만 달걀(57.0%), 마늘(45.9%), 고춧가루(34.4%), 참외(20.3%) 등이 많이 올랐다. 농산물은 작년 장마와 태풍, 올초 폭설과 한파 등 기상요건에 의한 작황부진의 영향이 크고, 달걀은 AI 영향에 따른 공급 부족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달걀은 2017년 7월 64.8% 오른 뒤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통계청은 "산란계 마리수는 평년 수준을 회복했으나 실제 알을 낳을 수 있는 연령(6개월)을 채운 닭이 부족해 여전히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돼지고기(9.9%), 국산쇠고기(7.7%) 등 육류 가격도 많이 올랐다. 최근 폭염으로 인한 폐사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

공업제품 물가는 2.8% 상승했다. 석유류 물가가 19.7% 올랐으나 전월(19.9%) 대비 상승폭은 축소됐다.

경유(21.9%), 휘발유(19.3%), 자동차용LPG(19.2%) 등이 공업제품 상승세를 주도했다.

전기·수도·가스는 0.3% 상승했다. 작년 7월 도시가스 인하가 1년이 지나며 인하효과가 없어진데 따른 것이다. 전기료도 떨어졌으나 할인이 축소된 부분이 있어 할인폭을 낮췄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뉴스1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공인중개사무소 모습. 2021.7.22/뉴스1DB © News1 민경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가격 1.7%↑…전세값 2018년 2월 이후 최대 상승폭 기록

서비스 가격은 전년비 1.7% 올랐다. 품목별로 공공서비스는 0.5% 내렸으나 개인서비스(2.7%), 집세(1.4%) 등이 오른 영향이다.

개인서비스 중에선 보험서비스료(9.6%), 공동주택관리비(6.2%) 등이 크게 올랐다.

외식은 2.5%, 외식외는 2.8% 올랐는데, 외식은 2019년 2월(+2.9%) 이후 최대다. 외식 물가는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이 누적되면서 재료비 인상으로 연결된 측면이 크다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공공서비스에선 국제항공료(13.9%)가 많이 올랐고 외래진료비도 1.8% 상승했다.

집세는 1.4% 상승했다. 전세는 2.0%, 월세는 0.8% 올랐다. 집세는 2017년 10월, 11월 1.4% 상승 이후, 전세는 2018년 2월 2.1% 이후 각각 최대 상승폭이다.

뉴스1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3일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브리핑실에서 '7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 "하반기 오름폭 축소 전망…추석 전 농축산 물가 안정 총력"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이번달 소비자물가는 개인서비스, 농축수산물, 석유류 오름세가 지속돼 2%중반을 상회하는 상승률을 보였다"며 "농축수산물 오름세가 둔화됐지만 개인서비스와 가공식품, 전기·수도·가스가 올라 상승폭이 전월보다 확대됐다"고 밝혔다.

그는 8월 이후 농축산물 물가에 대해선 "부정적 영향이 축소되며 3월부터 오름세는 둔화하는 중"이라며 "추석엔 상승 영향이 있겠지만 명절 때마다 관계부처에서 대응하기 때문에 갑자기 높아지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어 심의관은 또 "하반기에는 물가 상승이 둔화될 것으로 봤는데, 여전히 주요 요인의 흐름을 달리 볼 이유는 없다고 본다"며 "특히 상반기에는 작년의 낮은 물가에 따른 기저효과가 있었던만큼, (3분기는) 2분기 2.5%였던 물가상승률보다 높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기획재정부는 "향후 소비자물가는 기저효과 완화로 오름폭이 축소될 요인이 확대된다"면서도 "폭염·태풍 등 기상여건 악화와 유가 등 국제원자재 가격 추가상승 등 상방리스크와 코로나19 확산세 영향 등으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추석 전 농축수산물 가격을 잡아 서민 생활물가 안정에 선제적으로 총력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기재부는 "명절 성수품 공급물량을 예년보다 대폭 확대할 수 있도록 농산물 비축·방출, 축산물 출하물량 확대·수입 등을 추진하겠다"면서 "계란은 살처분 보상금의 신속한 지급과 수입물량 확대·대형마트 등 소비자 직접 판매 확대를 통해 가격 조기 인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starburyny@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