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이슈 물가와 GDP

한그릇 끓여먹는데 12% 급등…눈물의 '물가라면'

댓글 5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글로벌 원재료값 급등에 장바구니 물가가 치솟는 가운데 대표 서민 음식인 라면값마저 급등하고 있다. 이번달 농심과 오뚜기 등 제조사는 라면제품 가격을 일제히 인상한다. [매경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계란 가격도 엄청난데 이제 라면까지 오른다고요? 가뜩이나 재택근무 들어가서 집에서 많이 만들어 먹는데 장보러 나오기가 무섭네요."

맞벌이 부부 장성민씨(가명)는 요즘 장바구니가 부쩍 무겁다. 부부 월급은 그대로인데 밥상 물가는 급등하며 보름에 한번씩 장보러 가는 길이 멀게만 느껴진다.

글로벌 원재료값 급등에 장바구니 물가가 치솟는 가운데 이번달 대표 서민 음식인 라면값마저 꿈틀하고 있다. 오뚜기가 1일부터 13년 4개월 만에 라면값을 올린데(평균 11.9%)이어 16일에는 업계 1위 농심이 라면제품 가격을 평균 6.8% 인상한다. 조류 인플루엔자(AI) 살처분으로 알 낳을 수 있는 닭(산란계)이 줄며 계란값까지 천정부지로 뛴 가운데 라면값까지 오르며 '서민 밥상' 타격이 점차 커지고 있는 것이다.

전 세계 원자재값 상승에 이상 기후, AI 여파 등이 겹치며 당분간 서민 물가 상승 압력은 계속될 것으로 관측된다.

◆ 멀어지는 '서민음식' 라면


매일경제

라면 한그릇 끓이는데 드는 재료값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일 매일경제 분석 결과 가정에서 라면 한 그릇 끓이는데 들어가는 비용은 최근 1년새 12% 가량 뛰어올랐다. 이번달 가격 인상이 단행된 오뚜기 진라면은 한 그릇 끓이는데 들어가는 재료값은 835.8원에서 939.5원으로 12.4% 올랐다.

진라면 1봉(550원→620원·대형마트 구입 기준)에 계란 1알(171.6원→242.1원·중품)과 파 1대(114.2원→77.4원·40g)를 넣고 끓일 경우를 놓고 산정한 것이다.

오뚜기 스낵면은 한 그릇당 끓이는 비용이 11.6%(805.8원→899.54원) 올랐다. 이번달 가격이 오르는 신라면 한 그릇에 들어가는 재료값은 9.7%(961.8원→1055.5원) 올라 1000원이 훌쩍 넘어간다.

장씨는 "저렴하고 간편해 네 식구가 한달에 4~5번씩은 라면을 즐겨 먹었는데 이제 신경이 쓰이는게 사실"며 "그동안 싸다고 생각했던 제품들 가격이 무차별적으로 오르면서 장볼 때마다 생각이 복잡해진다"고 말했다.

◆ 먹거리·공업제품…일제히 올라


최근 서민물가 상승은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밀어올린 영향이 크다. 여기에 잇딴 이상기후로 농산물 출하량이 줄었고 고병원성 AI 확산에 가금류 살처분이 집중되는 등 국내 악재가 겹쳤다.

이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식품산업통계정보(FIS)에 따르면 라면 주력재료인 소맥 가격은 t당 247.38달러(7월 30일 기준), 팜유는 1030.79달러로 1년 새 각각 51.3%, 72.6% 올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수입곡물 가격이 평균 10% 오르면 국내 소비자물가는 0.39% 상승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제 곡물가격이 통상 3~6개월 시차를 두고 국내 매입 단가에 반영된다는 점에 비춰보면 당분간 원료 상승에 따른 먹거리 물가 압박은 계속될 전망이다.

매일경제

급등하는 공급물가


물가 압박은 먹거리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소비자물가에 앞서 움직이는 공급 물가부터가 불안하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 국내공급물가지수는 국제유가 급등 여파에 전년 동기 대비 8.6% 급등했다. 2011년 10월(8.9%) 이후 10여년 만에 최대 상승률이다.

국내공급물가지수는 국내에 출하되거나 수입되는 상품·서비스 가격 변동을 측정한 지표다. 1차 금속, 화학제품을 비롯한 중간재와 원유, 곡물과 같은 원재료 등 1125개 품목을 대상으로 산출한다.

공급물가 상승세는 올 2분기 이후 눈에 띄게 두드러졌다. 지난 1월 -1.2%에 그쳤지만 4월(6.6%), 5월(8.5%) 이후 급격히 치솟기 시작했다. 지난해 원자재 가격 하락에 따른 기저효과에 최근 국제 유가 등 원자재 가격 급등 요인이 겹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소비자물가 압박이 심해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기대비 2.4%로 급등해 석달째 2%대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휘발유(19.8%), 경유(22.4%), 공동주택 관리비(6.9%) 등 서민 생활과 밀접한 품목가격이 일제히 올랐다.

◆ 델타변이 경제충격 가중우려


문제는 공급 물가 상승 원인이 한국이 '관리'할 수 없는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에 의한 것이라는 점이다. '델타 변이발 경제 충격→소비 둔화→공급물가 상승→구매여력 하락→소비 추가 악화→경제 충격 가중'이라는 악순환의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는 뜻이다.

허준영 서강대 교수는 "가뜩이나 수요가 부진한데 공급 쪽에서도 물가 충격이 발생한다면 경기가 둔화하면서 물가가 올라가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당초 올해 물가 상승 추세가 일시적일 것으로 봤던 한은 시각도 최근 미묘하게 변했다. 한은은 지난달 '최근 인플레이션 논쟁의 이론적 배경과 우리 경제 내 현실화 가능성 점검' 보고서를 통해 "원자재 가격 상승, 해상운임 급등 등 공급 측 요인에 의한 물가상승 압력이 확대되는 가운데 기대 인플레이션도 상방 압력을 받고 있다"며 "향후 경제 여건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 원자재 가격 급등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정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