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전세 2.5억 오른대요, 도둑질 않고 어떻게 구하죠" 40대 청원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7세 가장, 청와대 청원 하소연

“집 문제로 부부가 거의 매일 싸워요”

임대차법 이후 서울 아파트 전세

2.5억 이상 급등 12%, 평균 1.5억↑

전문가 “정부, 가격 통제정책 대신

공급 늘릴 방안 찾는 게 급선무”

“20년 동안 큰 싸움 한 번 없던 저희 부부가 거의 매일 싸우고 있습니다. 아파트를 살 수 있었던 시점도 있었지만, 집값을 잡겠다는 정부를 믿고 기다렸습니다.” 자신을 한 가정의 가장이라고 소개한 47세 청원인이 지난달 30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린 하소연이다.

그는 “3억원짜리 전셋집이 5억5000만원이 된다고 합니다. 아무리 노력하고 머리를 짜내 궁리해도 2억5000만원이 나올 구멍은 없습니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도둑질하지 않고, 강도질하지 않고, 사기치지 않고 합법적으로 2억5000만원을 벌 수 있는 일, 어떤 게 있을까요?”라고 되물었다.

중앙일보

임대차법 1년,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 상승률.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지난해 7월 말 임차인 보호를 위해 새 임대차법(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상한제)이 시행됐지만, 1년 후 이 법은 이처럼 임차인을 괴롭히는 악법이 됐다.

중앙일보가 1일 서울 지역 아파트 1116개 단지를 조사해 보니, 지난 1년간 전셋값이 두 배(100%) 이상으로 뛴 단지가 4곳이나 됐다. 전셋값이 50% 이상 오른 단지는 전체의 7.8%(87곳)였으며, 청원인의 주장처럼 전셋값이 2억5000만원 이상 뛴 단지도 12.3%인 137곳으로 나타났다.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등록된 지난해 7월 말 임대차법 시행 전 5개월과 올해 최근 5개월 동안 전세 거래가 각각 3건 이상(전용면적 84㎡ 기준)인 아파트 단지 1116곳의 전세보증금 최고가를 비교한 결과다.

조사 대상 단지의 전세보증금 최고가 평균은 1년 새 1억4800만원(25.3%) 올랐다. 전셋값 상승 폭이 큰 일부 단지에선 신규 계약과 갱신 계약의 전셋값이 수억원 넘게 차이 나는 ‘이중 가격’ 현상이 심각하다. 성동구 성수동1가의 트리마제의 경우 전용면적 84㎡를 기준으로 지난 5개월간 신규(24억5000만원)와 갱신(8억원) 계약의 전셋값 차이가 16억5000만원까지 벌어졌다.

전세 품귀 현상이 1년 가까이 지속되면서 전세 최고가는 더 높아졌다.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아실에 따르면 1일 기준으로 서울의 아파트 전세 매물은 2만141건으로 1년 전(3만7107건)과 비교해 84% 줄었다.

전세 대란 후폭풍 … 세입자, 계약갱신권 안 쓰고 5% 이상 가격에 재계약

특히 최근 들어 서울 지역에 아파트 입주 물량 감소에 재건축 이주 수요 등이 겹치면서 전셋값 천장을 가늠하기 힘들 정도다.

중앙일보

임대차법 1년, 서울 주요단지 전셋값 상승률.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자 강남, 목동 등 일부 인기 학군지의 ‘전셋값은 부르는 게 값’일 정도다. 목동신시가지 14단지 전용면적 84.87㎡의 경우 지난 5월 28일 11억6200만원에 전셋값 최고가로 거래됐는데, 같은 달 1일 7억8000만원보다 3억8200만원 더 뛴 가격이다.

전셋값을 종잡을 수 없는 단지도 많다. 도봉구 동아청솔의 경우 전용면적 84㎡ 9층이 지난 5월 20일 9억4400만원에 최고가로 전세 계약을 했다. 하지만 지난 3개월간 10건의 전세 거래 가운데 최저가는 3억1500만원(4월 27일)이었다. 전세 계약의 가격 구간을 보면 4억원 이하가 4건, 4억 초과 6억원 이하가 4건, 6억원 초과가 2건이었다. ‘이중 가격’을 넘어 ‘삼중 가격’이 형성된 것이다.

중앙일보

도봉구 창동 동아청솔 전세 '삼중 가격'.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임대차법으로 전세 갱신 때 최고 올릴 수 있는 가격이 5%로 제한됐지만 최근에는 집주인과 세입자의 합의로 그 이상으로 가격을 올리는 경우도 많다. 그 과정에서 갱신 계약(최저가)과 신규 계약(최고가) 사이에 새로운 가격대가 형성돼 ‘삼중 가격’이 발생한 것이다.

서진형(경인여대 교수) 대한부동산학회장은 “공급을 이길 시장은 없기 때문에 가격 통제 정책 대신 공급을 획기적으로 늘릴 방안을 찾는 것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김원 기자 kim.wo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