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폭력'은 안산이 당했는데...국민의힘 대변인 엉뚱하게 "남혐 역시 퇴출돼야"

댓글 4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박세열 기자(ilys123@pressian.com)]
'토론배틀'을 통해 국민의힘 대변인이 된 양준우 대변인이 올림픽 양궁 금메달리스트 안산 선수에 대한 '사이버 불링'에 대해 "핵심은 '남혐 용어 사용'에 있고, 레디컬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에 있다"고 말해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양 대변인은 30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국격을 드높인 이 올림픽 영웅이, 때 아닌 수난을 겪고 있다. 한 외국인이 안 선수에게 '왜 머리가 짧으냐'고 번역기 돌려 물었는데, 이게 한국 남성의 여혐 사례로 둔갑되어 인터넷서 확대 재생산된 결과"라며 "논란의 시작은 허구였으나, 이후 안 선수가 남혐 단어로 지목된 여러 용어들을 사용했던 것이 드러나면서 실재하는 갈등으로 변했다"고 주장했다.

안 선수가 과거 자신의 SNS에 사용한 "웅앵웅", "오조오억" 등을 양 대변인은 '남혐 단어'로 규정한 셈이다. 이같은 '남혐 단어' 때문에 안산 선수에 쏟아진 '사이버 폭력'이 "실재하는 갈등"이라는 게 양 대변인의 주장이다.

양 대변인은 안산 선수에게 쏟아진 사이버 폭력을 "갈등"으로 표현하며 "갈등에 갈고리 걸어 헛소리하는 분이 많아, 바른 이해를 돕기 위해 몇 자 첨언하려 한다. 이 논란의 핵심은 '남혐 용어 사용'에 있고, 레디컬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에 있다"고 주장했다.

양 대변인은 "공적 영역에서 '레디컬 페미'스러운 발언을 한다면, 비판과 논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이걸 여성 혐오라고 규정짓는 건, 레디컬 페미니스트들의 대표적인 헛소리"라며 안산 선수가 사용한 표현이 마치 공적 영역에서 '레디컬 페미스러운' 발언을 한 것처럼 주장했다. 양 대변인은 "일베가 남성을 대표하지 않는 것처럼, 레디컬 페미도 여성을 대표하지 않는다. 이것들에 대한 비판은 남성 전체에 대한 공격도, 여성 전체에 대한 공격도 아니다. 사실 그냥 둘 다 이상한 사상들 아닌가"라고 했다.

이에 대해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애초에 잘못은 안산 선수에게 있었다, 그게 핵심이니 여혐 공격한 남자들의 진의를 이해해 줘야 한다. 뭐, 이런 얘기인가"라며 "이준석 표 토론배틀로 뽑힌 대변인이 대형사고를 쳤다. 이게 공당의 대변인 입에서 나올 소리인가"라고 비판했다.

진 교수는 "공당(국민의힘)에서 이렇게 감싸고 도니 걔들(안산 선수를 비난하는 이들)이 기세가 등등해서 나라를 대표해서 싸우는 올림픽 국가대표에게까지 여성혐오 발언을 하게 된 것"이라며 "이준석이 시킨 것이다. 여성혐오를 정치적 자양분으로 삼는 자들은 적어도 공적 영역에선 퇴출되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프레시안

▲5일 서울 중구 TV조선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변인 선발을 위한 토론 배틀 '나는 국대다(국민의힘 대변인이다)' 에서 이준석 대표(오른쪽 부터)가 2위 양준우, 1위 임승호 대변인, 4위 신인규 상근부대변인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양 대변인은 이같은 비판에 대해 3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여성혐오를 정치적 자양분 삼는 자들은 공적 영역에서 퇴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진 전 교수에 대해 "맞다. 동의한다"며 "마찬가지로 남성혐오를 자양분 삼아 커온 자들 역시 퇴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 대변인은 "(래디컬 페미니즘과 여성혐오) 양 극단을 배제하고 남녀갈등을 치유하자. 이 간단한 명제에 대한 이해가 정말 어렵냐"며 "어떻게 제 글이 잘못은 안산 선수에게 있다고 읽히느냐"며 "제가 이야기하는 건 이 논쟁의 발생에서 '숏컷'만 취사선택해서, '여성에 대한 혐오다'라고 치환하는 일부 정치인들에 대한 비판이었다"고 주장했다. 양 대변인은 "세상에 올림픽 영웅이 공격받는 이 미친 세상이 어떻게 만들어진 건가"라며 "지금 갈고리 거는 사람들이 남녀갈등이 이 지경까지 곪아오는데 큰 기여를 해왔다"고 했다.

[박세열 기자(ilys123@pressian.com)]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