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늙어가는 대한민국... 사회·경제 전반에 몰아치는 고령화 '후폭풍'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령인구 800만 명 돌파... 유소년 인구는 감소
국내 인구는 5,183만 명, 전년보다 0.1% 증가 그쳐
노령화지수 10년 만에 두 배 가까이 증가
독거노인 급증으로 1인 가구 증가에도 큰 영향

한국일보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구 감소와 급속한 고령화가 한국 사회 전반에 상당한 후폭풍을 몰고 오고 있다.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하면서 경제 활력은 떨어지고, 혼자 사는 노인이 증가한 영향으로 국내 1인 가구 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가구 구조도 크게 바뀌고 있다.

특히 지방에선 젊은 층이 일자리를 찾아 대거 대도시로 떠나면서 '지역 소멸' 경고 등도 켜졌다. 향후 10년 이내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 우리나라가 재도약의 기회를 찾기 어렵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다.

고령인구 처음으로 800만 명 돌파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에 거주하는 총인구는 5,183만 명으로 전년보다 5만 명(0.1%) 늘었다. 인구증가율 0.1%는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국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년보다 46만 명 증가한 820만6,000명으로 조사됐다. 고령층 인구가 800만 명을 돌파한 건 처음이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15.5%에서 16.4%까지 높아졌다. 20년 전만 해도 7.3%에 불과했으나, 지난 2017년(14.2%) 고령사회에 진입한 뒤 이젠 초고령 사회를 향해 치닫고 있는 것이다.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된다. 반면 15세 미만 유소년 인구는 같은 기간 13만6,000명 줄면서 617만6,000명(12.3%)을 기록했다.
한국일보

최근 5년 연령별 인구비중 변화 시각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각종 고령화 지표도 최고치를 경신했다. 유소년 100명당 고령층 인구 비율을 나타내는 노령화 지수는 전년 최고치(122.7)를 뛰어넘으며 132.9를 기록했다. 이 지수는 2000년엔 35.0이었지만 2010년 69.7을 찍은 뒤 10년 만에 또다시 두 배 가까이 뛰었다. 내국인을 나이순으로 줄 세웠을 때 정중앙에 위치하는 중위연령(44.3세)도 1년 전보다 0.6세 올라갔다.

급속한 고령화에 커지는 지방소멸 우려... "잠재성장률 하락" 우려도


국내 거주자 6명 중 1명이 노인인 시대가 되면서 당장 인구 이탈이 극심한 지방에선 소멸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전국 229개 시·군·구 중 65세 이상 고령층이 15세 미만 인구보다 많은 곳은 196곳(85.6%)에 달한다. 전년보다 8곳 늘었다.

노령화 지수가 가장 높은 지방자치단체는 경북 군위군(794.1)이었다. 유소년 한 명에 65세 이상 노인이 8명 있다는 뜻이다. 경북 의성군(714.7), 경남 합천군(626.8), 경북 청도군(613.8)이 뒤를 이었다.

노인은 증가하는 데 반해, 출산율은 여전히 바닥에 머문 탓에 노년부양비도 2000년 10.2에서 2020년 23.0으로 두 배 이상 높아졌다. 일하는 사람 4명가량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한다는 뜻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이 같은 상황은 생산성을 낮춰 국내 잠재성장률을 떨어트리고 국가 재정에도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고령층이 1인 가구 증가에도 영향


고령층의 급속한 증가는 국내 가구 구조도 바꿔 놨다. 지난해 국내 총 가구수는 2,148만 가구로 전년보다 59만 가구 증가(2.8%)했다. 그중 1인 가구 비중은 31.7%로 같은 기간 1.5%포인트 늘었다. 2인 가구 비율 역시 증가(27.8%→28.0%)했으나, 나머지 3인 가구 이상은 모두 감소했다.

특히 늘어난 1인 가구 49만6,000가구 중 60~69세가 10만6,000가구, 70세 이상이 7만 가구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1인 가구 증가는 20·30대 못지않게 고령층이 주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0·30대 1인 가구는 각각 14만9,000가구, 8만 가구 증가했다.

1·2인 가구 중심으로 가구수가 늘고 있는 만큼 인구가 몰리는 수도권의 주택수요는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전체 인구의 50.2%가 수도권에 거주했고, 경기의 순유입 규모는 16만5,000명으로 전국 최다를 기록했다. 지속적인 인구 감소에도 수도권 집값이 오히려 오르는 배경이기도 하다.

전문가들은 향후 10년이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대비할 '골든타임'이라고 조언하고 있다. 향후 10년간은 5,000만 명 수준의 인구 규모를 유지할 수 있어, 일어나는 사회 경제적 변화에 대응할 여력이 있지만, 그 이후에는 어렵다는 것이다.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인구가 크게 줄지 않는 향후 10년간, 모든 구성원이 머리를 맞대고 사회 전 분야에 몰아칠 변화에 대비할 논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 변태섭 기자 libertas@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