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65세 이상 고령인구 첫 800만명대…중위연령 0.6세 올라 44.3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0 인구주택총조사] 총 인구 5183만명…절반 이상 수도권 거주

인구 증가율 1위 세종, 4.7%↑…최다 증가는 경기 화성 4만2000명

뉴스1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 뉴스1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스1) 서미선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의 총 인구는 5183만명이며 이 중 절반 이상이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에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소년과 생산연령인구는 줄었고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처음으로 800만명대에 진입했으며, 전체 내국인을 연령순으로 줄 세웠을 때 정가운데 위치하는 중위연령은 44.3세였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0년 등록센서스 방식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 한국에 거주하는 총인구(외국인 포함)는 5183만명으로 1년 전 5178만명보다 5만명(0.1%) 늘었다.

정남수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외국인이 대폭 감소했으나, 해외 장기체류 한국인 유입으로 한국인이 증가해 총인구는 소폭 증가했다"며 "코로나19가 정상적으로 (해소)된다면 국내 거주 한국인은 지속 감소할 우려가 크고 외국인 유입으로 총인구는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자가 2592만명, 여자가 2591만명으로 전년 대비 남자는 4만명 줄고 여자는 9만명 늘었다.

내국인은 5013만명, 외국인은 170만명이다. 1년 전보다 내국인은 13만명(0.3%) 늘었고 외국인은 8만명(-4.7%) 줄었다.

수도권 인구는 2604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50.2%를 차지했다. 1년 전 2589만명보다 15만명(0.6%) 늘었다. 경기는 21만1000명 늘었고, 서울과 인천은 각각 5만3000명, 7000명 줄었다. 수도권 인구는 2019년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은 뒤 올해도 소폭 늘었다.

수도권 이외에선 부산(334만9000명·6.5%)과 경남(333만3000명·6.4%)이 300만명을 넘었다.

1년간 인구증가율이 큰 시도는 세종(4.7%), 경기(1.6%), 제주(0.9%) 등 순이고 감소율이 높은 시도는 경북(-0.9%), 광주(-0.8%), 대구(-0.8%) 등이다.

시군구별로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경기 화성(4만2000명)이다.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경기 광명과 경기 안양(각 -1만5000명)이다.

외국인은 169만6000명으로 총 인구의 3.3%를 차지하며 이 중 104만9000명(61.9%)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다. 외국인 비율이 높은 시군구는 충북 음성(12.9%), 서울 영등포(11.6%) 등이다.

국적별로는 한국계 중국이 54만1000명(31.9%)으로 가장 많고 중국 20만8000명(12.3%), 베트남 20만명(11.8%) 순이다.

5세 단위 연령별로 보면 50~54세 인구가 424만6000명(8.5%)으로 가장 많고 45~49세 419만5000명(8.4%), 55~59세 409만2000명(8.2%)이다.

내국인 중위연령은 44.3세로 1년 전 43.7세보다 0.6세 올랐다.

유소년인구와 생산연령인구는 줄었으나 고령인구는 늘었다.

0~14세 유소년인구는 617만6000명(12.3%)으로 1년 전 631만명(12.6%)보다 13만6000명 줄었고, 15~64세 생산연령인구도 3575만2000명(71.3%)으로 1년 전 3594만명(71.9%)보다 19만1000명 감소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820만6000명(16.4%)으로 1년 전 775만명(15.5%)보다 46만명 증가했다. 고령인구 비율은 2018년 0.6%포인트(p), 2019년 0.7%p, 2020년 0.9%p로 증가에 속도가 붙고 있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한다.

2000년 29.2였던 유소년부양비(생산연령인구 100명에 대한 유소년인구비)는 지난해 17.3으로 떨어졌고 같은 기간 노년부양비(생산연령인구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비)는 10.2에서 23.0으로 상승했다. 생산연령인구 4명가량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한다는 의미다.

유소년인구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 비율인 노령화지수는 2000년 35.0에서 지난해 132.9로 올랐다.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보다 많은 곳은 17개 시도 중 14개(82.4%), 229개 시군구 중 196개(85.6%)다.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시도는 전남(23.7%), 경북(21.6%), 전북(21.3%) 등이다.

시도간 순유출 인구는 서울이 5만5000명으로 가장 많고, 순유입 인구는 경기가 16만5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정 과장은 "전반적 추세로 봤을 때 모든 인구는 경기도 쪽으로 다 유입된다고 봐도 된다"고 설명했다.

미혼모는 2만572명(자녀 2만4000명), 미혼부는 6673명(자녀 8000명)이다.

뉴스1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mith@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