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몸으로라도 막겠다”…세월호 기억공간 철거 시한 하루 앞두고 긴장 고조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경향신문

세월호 기억공간 사수 농성을 위해 광화문광장을 찾은 사람들이 25일 차양막 아래에서 무더위를 피하고 있다. 이홍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월호 기억공간을 철거하려고 한다면 몸으로라도 막겠다”

25일 오전 10시 서울 광화문광장 세월호 기억공간. 7년 전 세월호 참사로 딸을 잃은 윤경희 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대외협력부장은 서울시의 기억공간 철거 시한(26일)을 하루 앞두고 이같이 말했다. 윤 부장은 “이곳에서 촛불이 시작됐다. 스텔라데이지호 침몰, 태안 해병대 캠프 사건, 제천 화재, 춘천 산사태 등 사회적 재난, 참사 피해자들도 이곳에서 연대했다”며 “이곳은 ‘세월호 이전과는 다른 사회’ 만들겠다는 상징적인 공간”이라고 했다.

기억공간 철거에 반대하는 유가족과 세월호 관련 단체의 현장 농성이 이날 사흘째 이어졌다. 팔토시에 챙이 넓은 모자, 선글라스를 낀 시민들도 기억공간을 찾아 피켓을 들었다. 피켓팅을 위해 대기 중인 시민들이 많아지자 차양막이 설치됐다.

피케팅 중이던 구영회씨(50)는 “4·16연대 페이스북에서 철거 소식을 듣고 신청했다. 오늘부터 내일까지 두 시간씩 피켓팅을 할 것”이라며 “아직도 진상 규명이 완벽하지 않은 상황에서 그나마 시민과 유가족에게 위안이 됐던 상징적인 공간을 없앤다니 이해가 안 된다”고 말했다. 세월호 가족과 연대하기 위해 기억공간을 찾았다는 이형숙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대표는 “오늘은 피케팅 인원이 꽉 차서 추모공간 안을 지킬 것”이라면서 “기억공간은 세월호 참사 같은 사건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하는 공간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당선된 이후 한마디 논의도, 대책도 없이 철거하려는 것을 어떻게든 막아야겠다”고 말했다.

광화문광장 인근을 지나는 시민들은 서울시가 보다 적극적으로 유족들과 대화해야 한다고 했다. 박덕환씨(50)는 “아직 원인 규명이 부족한 상태에서 행정적 변화가 있다고 공간을 없애겠다는 것은 유가족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라며 “행정상 필요가 있으면 대화로 방법을 찾는 노력을 보여줘야 한다. 힘으로 밀어붙이는 것은 많은 시민들의 동의를 얻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대한씨도 “시민들과 함께 투쟁하면서 만든 곳인데 철거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서울시 관계자들이 25일 서울 광화문광장 세월호 기억공간 내 물품을 정리하기 위해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강한들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광화문이 아닌 다른 장소에 기억공간을 재설치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직장인 이모씨(38)는 “안산이 학생들의 고향이니까 그쪽에 설치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예고한대로 26일 철거를 강행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서울시 관계자 6명은 이날 오전 10시12분쯤 기억공간을 방문해 물품을 정리해 달라고 요청했다. 시 관계자는 “기억공간은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공사가 시작되는 시점까지만 존치하고, 이후 이전 계획은 없다는 게 서울시 방침”이라며 ”지금 시점에서 물리력을 행사하고 싶은 마음은 없지만 불가피하면 (쓸 수도 있다). 유가족 측과 협상의 여지는 없다”고 말했다.

유족 측은 박원순 전 서울시장 때 광화문광장을 공사하는 동안 기억공간을 이전했다가 재설치하는 방향으로 논의했다며 반발했다. 40분가량 이어진 대치는 고성이 나오는 등 유족 측 감정이 격앙되자 서울시 관계자들이 철수하며 종료됐다. 서울시가 26일 철거를 강행할 경우 물리적 충돌을 빚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문광호·이홍근·강한들 기자 moonlit@kyunghyang.com

▶ [뉴스레터] 식생활 정보, 끼니로그에서 받아보세요!
▶ 경향신문 프리미엄 유료 콘텐츠가 한 달간 무료~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