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분열된 한국 사회에서 상식의 지도를 그려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소설 ‘세 여자’ 작가의 사회과학 책

한국 사회의 빛과 그늘 두루 살펴

불평등, 미디어, 검찰권력, 학력경쟁

높아진 국제적 위상에는 긍정적


한겨레

상식의 재구성: 한국인이라는, 이 신나고 괴로운 신분

조선희 지음/한빛비즈·2만2000원

<세 여자>를 쓴 소설가 조선희(사진)가 사회과학 책을 썼다는 것은 의아함을 자아낸다. 하지만 작가 이외에도 기자, 예술·문화행정가를 거친 이력을 떠올려본다면 고개가 끄덕여진다. 언론인으로서 ‘현장’을 뛰었고, 고위 공직자로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운영 원리를 습득했고, 그리고 무엇보다도 일제강점기·해방 공간·한국전쟁 등 최근 100여년 간 가장 스트레스 지수가 높았던 시기를 배경으로 한 소설을 썼다는 것은, 어쩌면 ‘현재’를 가장 예리하게 진단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고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단지 역량의 문제만은 아닐 것이다. 이 책은 심화되는 불평등, 미디어의 과잉, 민주주의의 위기, 좌-우 이념갈등, 한일관계, 한국인(또는 사회) 심성의 문제 등 복잡다양한 주제를 550여쪽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에 담아냈다. 뭔가 절박한 동기가 있지 않고선 이처럼 거대한 작업을 시도하기가 쉽지 않다. 책에는 명시적으로 표현하진 않았으나, 행간을 읽어보면 충분히 짐작 가능하다. ‘촛불’ 이후 ‘심리적 내전’이라 불러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국론분열, 사(社)론 분열, 가(家)론 분열”을 일으킨 일련의 사건, 즉 ‘조국 사태’ 전후의 상황이 발단이 된 것으로 보인다. 왜 사람들은 이처럼 분노할까, 한국 사회가 두쪽이 난 이유는 뭘까, 과연 해결책은 없는 것일까? 저자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우리가 상식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부터 들여다보기로 결심한다. 마침 그는 조국 사태가 정점에 이르렀던 2019년 10월부터 2020년 4월까지 독일에서 머물고 있었기에 한국에서 들려오는 온갖 소음으로부터 조금 거리를 둘 수 있었다. 이에 “100권이 넘는 책을 읽으며” 고군분투한 결과물이 바로 <상식의 재구성>이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에게 ‘상식’이란 한국 사회의 어두운 구석뿐 아니라 그동안 우리가 일궈낸 성과도 함께 조명하는 데서 출발한다.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의 빛과 그늘, 그 딜레마를 살피는 일이다. 가령,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속 국가 중 자살률 1위의 불명예를 차지할 만큼 정신적 피로도가 높은 나라다. 특히 날로 심화되는 자산 불평등은 ‘세습자본주의’를 강화하며 대다수 한국인들, 특히 젊은 세대들을 절망의 구렁텅이로 몰아넣는다. 정치 이슈에 과몰입하게 만들면서 진영 논리, 확증편향을 확산시키는 미디어의 해악, 삼권분립의 원칙을 허무는 검찰권력의 비대화, “전교 20등에 들어야 조직에 들어올 수 있다”는 대사가 조폭 영화에 나올 만큼 치열한 학력경쟁 등은 우리를 지쳐 나가떨어지게 만든다.

하지만 저자는 전쟁의 잿더미를 딛고 눈부시게 성장한 경제 특히 문화산업의 발전에 대해선 우리 스스로 정당한 평가를 내려야 한다고 말한다. 효율적인 행정력과 온 국민의 협조에 힘입은 케이(K) 방역에 대해선 자랑해도 마땅한 성과라고 지적한다.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제대로 바라보자는 주장은 한발 더 나아가 ‘국뽕은 무죄’라는 용감한 발언에까지 이른다. 갖가지 주제를 종횡무진 넘나드는 일이 다소 숨가쁘게 느껴지지만, 아드레날린 과잉분비 상태인 한국 사회를 향한 제언은 설득력이 있다. “가파르고 어질어질했던 이륙과정을 통과해 고공비행에 접어들었으니 이제는 조심스럽게 안전벨트를 풀고 화장실에 다녀와도 되는 시간이다.”

이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한겨레> 자료사진

벗 덕분에 쓴 기사입니다. 후원회원 ‘벗’ 되기
한겨레 서포터즈 벗이 궁금하시다면? ‘클릭’‘주식 후원’으로 벗이 되어주세요!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