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단독] 구글, 웹툰 수수료 결국 15% 걷는다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구글이 웹툰이나 음원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수수료를 30%가 아닌 15%로 낮춰서 받겠다고 입장을 바꿨다.

이 수수료는 네이버와 카카오처럼 웹툰과 웹소설을 서비스하는 대형 사업자에도 모두 적용된다. 수수료 부담이 15%로 낮아졌지만 종전에는 아예 없던 수수료가 새로 생기는 것이어서 소비자나 창작자 반발이 얼마나 누그러들지는 지켜봐야 한다. 지금보다 소비자가 부담하는 가격이 인상되거나 창작자들이 받는 몫이 일부 줄어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23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조만간 국내외 디지털 콘텐츠 사업자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가칭)을 내놓는다. 대상 사업자에는 △책(웹소설·웹툰) △오디오(구독 기반) 등이 모두 포함된다.

당초 구글은 오는 10월부터 실시하기로 한 인앱결제 정책 적용에 따라 네이버와 카카오 등 대형 디지털 콘텐츠 사업자에 대해 수수료 30%를 부과할 예정이었다.

매출 100만달러까지는 15%를, 이를 초과하는 매출에 대해서는 수수료 30%를 받기로 했는데 앞으로는 매출 규모와 상관없이 15%로 일괄 적용하기로 했다. 이는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똑같이 적용된다. 업계에서는 이번 정책에 따라 경감되는 수수료가 25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한다. 네이버(네이버 웹툰) 카카오(카카오 픽코마·카카오 웹툰·다음 웹툰)를 포함해 리디북스 밀리의서재 레진코믹스 예스24 등이 현재 웹툰과 웹소설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하고 있다. 해외에서 웹툰·웹소설 사업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던 네이버와 카카오도 일부 혜택을 입게 될 전망이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한국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구글의 인앱결제 정책을 활용해 사업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보다 웹툰과 웹소설 규모가 큰 해외에서는 이미 수수료 30%를 내고 있는 상황인데, 앞으로 수수료 경감 혜택을 누리게 되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와 카카오의 웹툰·웹소설 사업은 국내보다 국외에서 규모가 더 크다"며 해당 정책이 실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홍성용 기자]

[단독] 구글 '앱수수료 반값' 꺼냈지만…웹툰·전자책 가격인상 불보듯


앱수수료 30%에서 15%로
두번째 양보안 제시한 구글


구글, 국회압박에 한발 물러서
해외서도 수수료 15%로 낮춰
네이버·카카오 수혜 볼듯

창작자·개발자 여전히 반발
"구글 독점적 지위 악용해
특정 결제수단 강요는 부당"

매일경제

구글이 오는 10월 인앱결제 정책 시행을 앞두고 웹툰과 음원 등 비게임 분야 디지털 콘텐츠 판매에 대한 사업자들의 수수료를 15%로 감면하는 프로그램을 조만간 내놓을 예정이다. 사진은 서울 동작구 한 대학 정문에 붙어 있는 구글 로고. [김호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글이 디지털 콘텐츠 판매에 대한 결제수수료를 15%로 낮추기로 전격 결정하면서 웹툰과 음원 창작자들 달래기에 나섰다. 구글은 오는 10월 자사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도록 하는 인앱결제(In-app Purchase) 정책을 시행한다. 이때 웹툰이나 음원과 같은 비게임 분야에 대해서도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하는 사업자 불만이 고조되는 상황이었다.

당초 구글은 올해 10월부터 국내 사업자들에 수수료 30%를 부과하겠다고 지난해 9월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곧바로 국내 콘텐츠 사업자를 포함해 방송통신위원회와 공정거래위원회를 비롯한 정부와 국회에서까지 뭇매를 맞았다. 반발이 거세지자 구글은 올해 3월 상생안을 내놓으며 한발 물러섰다. 오는 7월부터 매출 100만달러(약 11억원) 이하 개발사를 대상으로 안드로이드 앱 마켓 수수료를 기존의 절반인 15%로 낮추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이들 기업은 구글플레이 전체 매출의 99%를 차지한다. 구글은 매출이 100만달러를 초과하는 개발사에도 100만달러 초과분에 한해서만 30% 수수료를 매기기로 했다.

하지만 창작자를 중심으로 한 반발과 구글 정책에 제동을 걸려는 국회 움직임까지 다시 일어나면서 구글은 23일 또 한 차례 유화책을 결정했다. 조만간 발표하는 신규 프로그램 '콘텐츠 액셀러레이터'(가칭)에 참여하는 디지털 콘텐츠 사업자에게는 매출과 상관없이 모두 15% 수수료로 감면하겠다고 한 것이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구글 입장에서는 내놓을 수 있는 카드는 모두 내놓은 것"이라며 "이제 공은 네이버와 카카오를 비롯해 현재 이슈를 주도하고 있는 플랫폼 기업에 달려 있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국내외에서 웹툰과 웹소설 지식재산권(IP)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사업을 벌이고 있는 대표 사업자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웹툰은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7200만명이 넘는 사람이 이용하고 있고, 최근 전 세계 1위 웹소설 업체인 왓패드를 인수하면서 9000만명의 새로운 월간 순활성자(MAU)를 추가 확보했다"며 "카카오의 일본 웹툰 사업을 이끌어가는 카카오 픽코마는 미국보다 3~4배 더 큰 일본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들 기업이 해외에서 수수료 30%를 내던 것을 15%로 감면받고 국내에서도 30%가 부과될 예정이었던 것이 15%로 낮춰지는 점은 희소식일 것"이라고 했다.

구글이 인앱결제 수수료를 내려서라도 정책을 관철하려는 배경에는 데이터 확보 목적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구글이 인앱결제 강제로 국내에서 확보하지 못했던 다양한 이용자 거래·결제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데이터를 활용하면 인터넷 검색과 광고부터 신규 앱 개발까지 다양한 인접 분야에서 맞춤형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등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국내 콘텐츠 플랫폼 기업과 창작자들 반발이 어느 정도 누그러질지다. 실제로 이날 구글의 전격적인 프로그램 도입 소식이 전해졌지만 플랫폼 기업과 창작자들은 구글의 인앱결제 수수료 인하는 문제의 본질을 흐리려는 시도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구글이 앱 마켓 시장에서의 지배적 위치를 악용해 특정 결제 수단을 강제하는 것이 핵심인데, 수수료율로 논점을 전환하고 있다는 것이다.

기업과 창작자들에게 전에 없던 큰 부담이 지워진다는 점은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구글 인앱결제 수수료율이 30%에서 15%로 낮춰지면 부담이 줄긴 하지만 작품 거래액 중 15%만큼 결제 수수료를 추가로 내야 하는 상황이다. 원래는 내지 않아도 됐던 수수료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대다수 플랫폼이 적자 혹은 소폭 흑자 구조를 면치 못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산업 성장이 크게 저해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네이버웹툰은 지난해 6월부터 연말까지 매출 1323억원을 올렸지만 영업이익은 55억원에 불과하다. 기타비용까지 감안하면 당기순손실 59억원을 기록했다.

국내 인터넷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구글 인앱결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결제했는데, 구글이 자사 결제 시스템을 강제하며 돈을 내라고 하는 불공정행위의 본질은 전혀 변하지 않았다"며 "지금도 적자인 점을 감안하면 수수료를 제품 가격에 더할 수밖에 없어 소비자에게도 고스란히 피해가 돌아가고, 이에 따라 이용량 자체가 줄어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승윤 기자 / 오대석 기자 / 홍성용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