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의료범죄 알려지자 병원은 간판갈이, 의사는 개명··· 환자는 모른다 [국민요구, 수술실CCTV]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민요구, 수술실CCTV 3]
의료범죄 발생 뒤 상호 바꿔 영업
환자 사망·성범죄 등 정보 베일 속
수술실CCTV 등 환자보호방안 절실


[파이낸셜뉴스] 의료범죄로 환자사망 등 심각한 결과가 발생해도 환자가 이를 알지 못해 2차 피해에 노출될 위험성이 높다. 심한 경우 병원이 이름을 바꿔달고 사고가 있었다는 소문을 유포한 이들에게 고소 엄포를 놓기도 한다.

성범죄 등을 저지른 의사가 개명을 하고 병원 취업을 시도한 사례까지 발생한다. 실제 성범죄를 저지른 의사가 환자를 보는 상황에도 환자들은 이 같은 사실을 알지 못한다.

수술실CCTV법 등 환자보호 3법에 반발하며 자정작용이 가능하다는 의료계 입장에 정면으로 반하는 사례들이다.

파이낸셜뉴스

의료사고로 환자가 사망한 뒤 병원이 상호를 갈아 영업하는 사례가 잇따른다. 환자 보호를 위한 법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사진=픽사베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환자 사망 뒤 간판갈이··· 환자 보호는?

22일 경찰과 의료계에 따르면 의료범죄로 사람이 죽거나 다친 병원이 간판을 바꿔다는 경우가 이어지고 있다. 행정처분을 회피와 향후 영업에 지장을 받지 않기 위해서 등 목적도 다양하다.

지난해 1월 홍콩에서 입국한 환자가 서울 강남 일대 의원에서 지방흡입 수술을 받던 중 이상증세를 보여 종합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지는 사태가 발생했다. 사고를 일으킨 병원은 정형외과 전문의가 개업한 곳으로, 간판에 A성형외과라고 표기해 영업해왔다.

해당 의원은 과거 같은 자리에서 다른 상호로 영업하다 사고 전 간판을 바꿔달고 영업을 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후 사망한 환자가 홍콩 의류재벌 로시니의 창업주 고 로티퐁(羅定邦)의 손녀란 사실이 알려지며 사건은 국내에서도 화제가 됐다. 경찰은 △수술 이전 필요한 검사가 충실히 이뤄지지 않았고 △수술동의서 서명을 위조한 사실 △수술 중 모니터링에 소홀했고 △프로포폴도 불법 사용한 정황을 확인해 사건을 기소의견 송치했다.

수술과정을 둘러싸고 다양한 문제가 발견된 만큼 이 병원에서 이전에도 환자가 사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는지 여부도 관심을 모았다. 특히 병원이 간판을 바꿔달고 영업을 진행한 이유에 대해 갖은 추측이 이뤄졌으나 확인되지 않았다.

의료계에선 비슷한 사례가 한둘이 아니란 지적이다. A병원 사건이 일어나고 한 달 만인 지난해 2월, 서울 강남 B성형외과에서 의료사고가 발생했다. 경찰은 코수술을 받던 중 심정지가 온 환자에게 제대로 응급처치를 하지 않아 사망에 이른 것이라고 보고 수사를 진행했다.

문제는 B성형외과가 상호를 변경해 영업을 이어갔다는 점에 있다. 수사 중 바뀐 상호로 영업을 했지만 병원을 찾는 환자는 해당 병원에서 환자가 죽었고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이밖에 경기도 지역 C병원은 유령수술로 환자가 연달아 사망하자 병원을 폐업하고 다른 병원을 개업하는 등의 모습도 보였지만 환자들은 그 같은 사실을 알지 못했다. 해당 병원의 의혹을 제기하려던 한 시민은 병원으로부터 법적대응을 한다는 얘기를 듣고 대응을 포기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파이낸셜뉴스

성범죄 등 범죄를 저지른 의사가 이름을 바꾸거나 지역을 옮겨 진료를 하는 경우도 적지 않지만 환자는 이를 알 수 없는 실정이다. fnDB.


'성범죄자' 개명해 병원 취업도

병원만이 아니다. 범죄를 저지른 의사가 병원을 옮겨 의사 업무를 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심한 경우 성범죄를 저지른 의사가 별다른 문제없이 진료를 하는 사례도 있다.

대표적인 게 2011년 동기 의대생에게 성범죄를 저질렀다 징역형을 받은 D씨의 경우다. 한 의과대학에서 동료를 성추행해 출교 조치된 D씨는 이후 다른 의과대학을 졸업해 의사 면허를 취득했다. D씨는 한 병원에 인턴으로 입사해 근무하기도 하였는데 개명을 해 신상정보가 전과 달랐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도 수면내시경을 위해 병원을 찾은 여성을 전신마취시킨 뒤 성폭행한 의사가 다른 지역으로 옮겨 병원을 운영하고, 의료사고로 환자 수명을 사망케 한 의사가 처벌을 받은 뒤 다시 환자를 수술하는 등의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현행법으론 이들의 의사업무 수행을 막을 수 없는 상태다.

의료계에선 의료범죄를 일으킨 병원이 간판을 바꾸고, 의사가 개명하거나 지역을 옮겨서 의료행위를 지속하는 사례가 부지기수라고 말한다. 환자가 이러한 병원과 의사를 사전에 가려낼 방법은 사실상 없다.

대한의사협회 등은 지난달 열린 국회 공청회에서 현재 발생하는 의료범죄를 의료계가 자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내부에서 병원의 범죄행위를 고발하는 체계가 살아 있어 수술실CCTV 등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 없다는 주장이다.

2015년 공장식 유령수술로 세상을 떠난 고 권대희씨 모친 이나금 의료정의실천연대 대표는 “대희가 세상을 떠나고 사고를 일으킨 병원도 몇 년 동안이나 유령수술 한 걸 알리지 않고 정상적으로 영업을 했다”며 “환자들이 자기를 수술하는 의사와 병원이 어떤 곳인지도 알 수 없는데 최소한 수술실CCTV라도 있어야 보호를 받을 수 있지 않겠나”하고 말했다.

pen@fnnews.com 김성호 김지환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