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투데이 窓]학령인구 감소 위기 속, 대학의 묘수 찾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만기 유웨이교육평가연구소장 겸 부사장]
머니투데이

이만기 부사장


학령인구 감소가 현실화한 후로 신입생 유치를 위한 대학들의 자구노력이 참으로 안쓰럽다. 인구가 줄어드는데 무슨 묘안이 있으랴마는 그것을 찾아 전교직원은 물론 총장까지 맨발로 뛰는 형국이다. 지방대는 그렇다고 해도 서울 시내 중위권 대학도 다급한 행보를 보인다.

요즘 우리나라 대학은 선발대학과 모집대학, 즉 '학생을 선발할 수 있는 대학'과 '학생을 모집해야 하는 대학'으로 나뉜다. 아카데미에서 웬 모집이냐고 하겠지만 현실이 그런 것을 어찌하랴. 특히 후자에 해당하는 대학들의 노력이 확연히 보인다.

지방대·국립대·수도권 사립대를 불문하고 일반인이 잘 모르는 최근 대학들의 움직임을 보면 우선 부실학과를 정리하고 AI(인공지능), 모빌리티, 핀테크, 빅데이터, 사이버보안, 에너지신산업 등 유망학과를 증설하는 등의 학문 단위 재조정(학과 통폐합) 논의를 하고 있다. 이는 대학 내 엄청난 내홍(內訌)을 가져올 수 있는 사안임에도 대학들이 자구책으로 정면돌파 의지를 보이는 것이다. 또 최근 대학들은 학문단위를 이공계 위주로 개편하면서 학과명(학부명)을 전문대학처럼 취업친화적이고 실용적인 명칭으로 변경하고 있다. 동물바이오헬스학과, 바이오기능성식품학과, 화장품뷰티학과, 드론물류학과 등이 그렇다.

입시 결과 등 그동안 쉬쉬한 민감 데이터를 학내 구성원들에게 가감없이 공개해 위기의식을 체감하게도 한다. 사교육자나 공교육자를 가리지 않고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면 학교로 초청해 교무회의 같은 자리에서 학교 상황을 적나라하게 발표하게 한다. 입시기관 등에 학생이 선호할 만한 전형계획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용역보고서도 의뢰한다. 교사 중심인 입시자문단에 사교육자까지 포함하거나 '입시계의 셀럽(유명인사)'을 교직원으로 위촉해 홍보를 맡긴다.

또 외부 시선을 고려해 수시나 정시모집으로만 한정한 신입생 모집을 추가모집까지 확대하는 대학도 늘고 있다. 정시확대를 권장하는 교육당국의 의도와 달리 수험생이 선호하는 학생부종합전형을 확대한다. 시기별 입시에서 장학금이나 기숙사 제공 혜택을 넘어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전자기기를 주기도 한다.

이런 상황은 불과 수년 전만 해도 보편적이지 않았다. 이렇게 대학의 고민과 대처방안은 근본적(根本的)이기도 대증적(對症的)이기도 하다. 물론 과거에도 학생 지원율을 높이기 위해 성공한 졸업생들이 수시 최초 합격자들에게 전화로 등록을 권유하거나 대학 총장이 직접 우수학생이 있는 재수종합반에 가서 지원을 권유하는 설명회를 열기도 했다. 그러나 경쟁대학에 우수자원을 빼앗기지 않으려 한 그때와 지금은 근본적으로 상황이 다르다.

더군다나 이런 대학들의 움직임과 함께 지난달 발표된 '학령인구 감소 및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한 대학의 체계적 관리 및 혁신지원 전략'이 있다. 대학 관리방안이 원칙적으로 제시된 그 내용에서 △회생할 수 없는 경우 폐교명령을 내린다는 것 △권역별 유지충원율을 점검하고 미충족 대학에 정원감축을 권고한다는 것 △대학이 평생 직업교육체계로 전환할 시 이를 지원한다는 것 등이 눈에 띈다. 정원을 줄여서도 안 되면 폐교하거나 평생교육기관으로 바꾸라는 메시지다.

이런 당국 생각에 큰 틀에서는 동의한다. 다만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할 난제가 한둘이 아니어서 걱정이다. 대학 관리방안 중 국가와 지역의 균형적인 발전론에 근거한 권역별 상대평가 타당성 논란, 폐교 시 교육용 재산처리 방안, 학생 편입학 처리방안, 교직원 재취업 문제 등 '출구전략'이 그것이다. 과정과 방법의 문제는 차치하고라도 당장 오늘 초미지급(焦眉之急)에 대처하는 대학 구성원의 분투에 관련 업무 종사자로서 마음을 보탠다. 대학의 치열한 노력에 학생들은 어떻게 답할 것인가.

이만기 유웨이교육평가연구소장 겸 부사장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