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코로나 이후 소비트렌드는 'H.O.M.E.S.T.A.Y.'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홈코노미·온라인쇼핑·건강관심·윤리적 소비 등

뉴시스

코로나시대 8대 소비키워드(자료제공=대한상공회의소)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정윤아 기자 =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코로나 시대의 8가지 소비키워드를 선정해 21일 발표했다.

대한상의는 지난달 12~17일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해(표본오차 ±3.1%p, 신뢰수준 95%) 그 결과를 이날 발표했다.

조사결과, 코로나 시대 소비키워드는 ▲홈코노미(Homeconomy) ▲온라인쇼핑(Online shopping) ▲건강에 대한 관심(More Health) ▲윤리적 소비(Ethical consumption) 등이 일반적인 소비 트렌드로 뽑혔다.

아울러 ▲구독서비스(Subscription) ▲중고거래(Trade of used goods) ▲보상소비(Act of reward)▲ 라이브커머스 등 새로운 채널(Your new channel)도 중요 트렌드로 지목됐다.

대한상의는 "이러한 소비트렌드는 코로나 이후에도 계속될 것"이라며 "우선 빠르게 확산된 코로나19에 대한 불안감과 공포감은 집에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키며 홈코노미 소비를 불러왔고 자연스레 온라인쇼핑 이용 증가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93.6%가 코로나 이후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었다고 답했다.

또 집에 있는 시간이 늘면서 증가한 활동으로는 쇼핑(61.3%), 영화보기(54.0%), 게임(34.6%), 요리(34.5%), 운동(23.3%) 등을 들어, 집이 휴식과 여가는 물론 다양한 경제활동(홈코노미)을 함께 하는 장소로 떠올랐다.

아울러 10명 중 8명(78.4%)은 코로나 이전 대비 '온라인쇼핑' 이용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구입 빈도가 증가한 품목으로는 음식료품(70.8%)을 가장 많이 꼽아, 온라인채널이 식품의 주요 구매처로 부상했다.

특히, 온라인장보기는 신속하게 문 앞에까지 배송해주는 편리성을 무기로 일상 속 깊이 파고들었다.

뉴시스

창원 마산실내체육관 코로나19 백신 접종.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0명중 9명(89.1%)은 최근 1년간 온라인 장보기를 경험했고, 이들 중 72.5%는 코로나 전과 비교해 이용 횟수가 증가했다고 답했다.

이용횟수를 늘린 이유로는 '바로 배달해줘 편리해서'(58.0%), '감염병으로 사람이 많은 매장을 피하고 싶어'(57.2%), '온라인이 가격이 저렴해서'(50.3%) 등을 꼽아, 이용편리성 요인의 영향이 가장 컸다.

또 10명중 8명(78.1%)은 코로나 이전 대비 '나와 가족의 건강에 신경'쓰는 일이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이를 반영하듯 코로나 이전과 비교하여 49.3%는 건강기능식품 구매빈도가 증가했고, 29.7%는 유기농/무농약 등 관련 식품 및 제품을 구매하는 일이 많아졌다고 응답했다.

31.8%는 최근 1년 내 구독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었고, 이용한 구독서비스 유형으로 '영상스트리밍 서비스(63.7%)', '음원서비스(29.2%)', '의류·꽃 등 쇼핑서비스'(16.6%), '신문·잡지 구독서비스'(13.9%) 등을 들었다.

이용 경험자 중 43.7%는 최근 1년간 이용 빈도가 늘었으며, 84.9%는 향후 이용수준을 유지/확대를 계획하고 있었다.

서덕호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이번 조사는 코로나 확산 장기화가 소비트렌드 및 소비행태에 미친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해보는 의미가 있다"며 "코로나 19 확산의 영향과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이 결합하는 유통 대변혁의 시기를 맞아, 유통업계는 끊임없이 진화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비즈니스혁신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oona@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