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바이든 "中 배터리 견제" 외쳤지만…美 수입 절반이 중국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美 배터리수입, 중국 비중 올해 51%…전년比 8%P ↑

자국 내 배터리 공급망 점검, 결론은 "中 장악 경계"

아시아경제

지난달 미국 미시간주 디어본에 있는 포드 공장을 찾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 미국이 수입하는 이차전지 가운데 중국산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한국 배터리업체가 공장을 둔 제3 국가에서 수입하는 물량이 늘면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40% 초반까지 떨어졌는데 올 들어 다시 오름세로 돌아섰다.


미국은 자국 내 배터리 공급망이 아직 무르익지 않은 터라 전기차 배터리 등에 들어가는 배터리를 여전히 다른 나라로부터의 수입에 상당 부분 의존하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올해 초 취임한 후 배터리를 비롯한 주요 산업의 공급망을 점검토록 지시했는데, 100일가량 조사해 최근 나온 보고서의 결론은 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점이었다. 중국과는 언제든 무역분쟁이 불거질 여지가 있는 만큼 다른 나라로 수급체계를 다변화해둬야 한다는 얘기다.


20일 한국무역협회 통계현황을 보면, 올해 1~4월간 미국이 수입한 리튬이온배터리는 23억7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71% 늘었다. 수입한 나라별로 보면 중국이 11억6800만달러로 51%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앞서 지난해 미국이 수입한 배터리 가운데 중국산 비중은 43%로 하향추세에 있었는데 올해 들어 증가추세로 돌아선 것이다.


아시아경제

중국 푸젠성 닝더에 있는 전기차 배터리업체 CATL의 연구개발센터<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수년간 50%를 넘나들던 중국 비중이 지난해 줄어들었던 건 헝가리와 말레이시아, 폴란드 등에서 수입한 물량이 늘어났기 때문이었다. 이들은 각각 SK이노베이션,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등 국내 배터리3사의 공장이 있는 나라다. 해당 공장에서 만든 배터리의 미국 수출물량이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에는 LG나 파나소닉 등 일부 기업이 현지 생산체계를 갖췄으나 아직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해 상당부분을 수입산으로 수요를 충당한다.


특히 대통령이 직접 나서 전기차 보급확대를 주요 정책으로 내걸었는데 현재 미국 내 짓고 있는 배터리공장은 온전한 수급체계를 갖추기까진 상당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SK의 조지아공장 가운데 일부가 올해 완공돼 시범생산중이며 LG와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간 합작공장은 내년 이후부터 가동된다. 당장 주요 완성차업체의 신규 전기차 출시가 잇따르면서 배터리 수요가 급증하는 만큼, 미국이 수입하는 배터리는 당분간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아시아경제

한미정상회담 차 지난달 미국을 찾은 문재인 대통령이 조지아주 애틀랜타 인근에 있는 SK이노베이션의 전기차배터리공장을 들러 생산라인을 살펴보고 있다. 올해 초 완공돼 연내 양산을 목표로 가동중이다.<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바이든 "배터리 등 공급망 점검" 행정명령
100일간 조사 후 결론은 "中 시장장악 우려"
수급처 다변화·자국 내 생산시설 확충 제안

바이든 대통령이 배터리 공급망을 점검하도록 행정명령을 내린 후 최근 나온 조사보고서는 위험요인으로 중국을 꼽고 있다. 미드스트림, 즉 원자재가공이나 배터리의 가장 기본 단위인 셀 생산을 중국이 70~80%가량 장악하면서 시장지배력을 높이고 있는 게 미국으로선 경계할 만한 사안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과거 희토류 수출을 금지하며 무역보복을 했듯 배터리 소재를 갖고서도 비슷한 일이 번질 수 있다고 봤다. 중국 정부의 보조금을 비롯해 중국 소재업체가 자국 배터리업체에 양질의 제품을 공급하는 점도 문제라고 백악관은 지적했다.


바이든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한 대처방안의 일환이나 자국 내 제조업 부흥을 위해 전기차와 관련한 일련의 산업생태계를 꾸리겠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보고서는 전기차 수요를 늘릴 방안을 비롯해 배터리 소재 등 원자재 공급망을 강화하고 배터리 셀 생산시설을 자국 내에 늘려야 한다고 권고했다. 기술변화가 빠른 만큼 연구개발에 주력하길 제안하는 한편 기존 자동차 업계 노동자를 위한 재교육 등에 관한 내용도 담겼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