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그림도둑들', '개념미술' 조명하며 유종의 미...왜 끝나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서울=뉴시스] '그림도둑들'이 예술의 끝판왕 '개념미술'을 파헤치며 유종의 미를 거뒀다. (사진 = JTBC '그림도둑들' 캡처) 2021.06.1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성유민 인턴 기자 = '그림도둑들'이 예술의 끝판왕 '개념미술'을 파헤치며 유종의 미를 거뒀다.

16일 마지막 방송된 JTBC '그림도둑들'에서는 윤종신, 이혜영, 이이경, 김찬용 팀과 노홍철, 조세호, 장기하, 정재승 팀이 해외파 큰손 의뢰인 알베르토 몬디, 로빈 데이아나, 다니엘 힉스의 "작품을 직접 골라 달라"는 요청에 따라 세계 각국의 개념 미술작품을 탐구했다.

이날 해외파 큰손 3인방 알베르토(이탈리아), 로빈(프랑스), 다니엘(영국)은 각국의 개념미술 대표작을 소개했다. 로빈은 프랑스 작가 마르셀 뒤샹의 '샘', 알베르토는 이탈리아 작가 피에로 만초니의 '예술가의 똥', 다니엘은 영국의 데미안 허스트의 '살아있는 마음속에 있는 죽음의 육체적 불가능'이 지니고 있는 비하인드 스토리를 전한 것.

'샘'은 '예술은 돈 있는 사람들만 할 수 있는 대단한 것'이라는 기존 예술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예술에 자율성을 부여하는 데 기여한 작품이다. 처음 '샘'의 변기가 전시회에 출품됐을 당시만 해도 심사위원들 사이에서 전시 여부를 두고 논란이 일어났지만, 이 논쟁을 통해서 현대미술이 시작됐다. 이렇게 마르셀 뒤샹은 "예술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개념미술의 시작을 알렸다.

'샘'의 배턴을 이어받은 '예술가의 똥'은 미술계의 고정관념을 깨는 동시에 대량 생산과 소비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의도를 담고 있다. 전통을 부정한 예술 운동 뒤샹의 다다이즘 영향을 받아 개념미술의 대표 작품이 됐다. 이렇게 프랑스에서는 변기로, 이탈리아에서는 똥으로 사람들에게 놀라움을 안겼다.

영국에서는 데미안 허스트가 잡아먹힐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는 큰 상어로 작품을 만들기로 결심한 뒤 '살아있는 마음속에 있는 죽음의 육체적 불가능'을 완성했다. 죽음의 이미지가 연상 되도록 적당한 공포감을 조성한 것. 죽음에 관심이 많은 작가 데미안 허스트는 이 작품을 통해 '죽음을 기억하는 삶이 더 반짝일 수 있다'는 의미를 전했다.

앞서 두 작품이 기존 미술에 대한 반발의 의미를 담고 있다면 영국의 개념미술은 분명한 메시지가 삽입되어있는 특징을 볼 수 있다.

흥미로운 이야기 끝에 도둑들은 상징성, 시의성 등 각자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관을 내세우며 의견을 나눴고 "과거보다 현시대에 더 인정받는 작품을 선택했다"고 밝히며 영국 데미안 허스트의 '살아 있는 자의 마음속에 있는 죽음의 육체적 불가능'을 추천했다. 의뢰인들 역시 결과에 만족하며 "아름다움은 보는 사람의 눈에 달려 있다"고 예술의 진정한 의미를 되짚었다.

윤종신은 '그림도둑들'을 통해 "예술 프로그램을 하면서 고품격이라는 선입견이 있었는데 개념 미술을 하면서 (선입견이) 무너지는 느낌이었다"고 남다른 소회를 전했다. 이에 조세호는 "더 신나게 이야기할 수 있었던 것 같다"고 흡족함을 드러냈다.

특히 노홍철이 "이제 그만할 때가 된 것 같다"고 너스레를 떨자 윤종신은 "딱 좋을 때 끝내는 것 같다"고 애써 아쉬운 마음을 달랬다. 이렇게 '그림도둑들'은 회화부터 현대미술까지 선입견 없이 '한 탕' 털털 털어내며 마지막을 만족스럽게 마무리 했다.

앞서 '그림도둑들'은 노사연·노사봉 자매를 시작으로 선우정아, 송민호, 봉태규·하시시박, 이동휘까지 장르를 불문하고 그림에 흥미를 가진 의뢰인들이 대거 출연해 피카소, 클림트, 고흐를 비롯해 바스키아, 에곤 실레, 프리다 칼로, 김환기 등 국내외 작가들의 명작들을 조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msung@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