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단독] 文정부 4년 6억이하 아파트···서울만 60만가구 사라졌다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집값 계속 올라 아예 자취 감출수도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경제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4년 동안 6억 원 이하 중저가 서민 아파트가 서울에서만 60만 가구 넘게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정책 실패에 따른 집값 급등의 결과다. 현 추세가 지속될 경우 서울에서 서민 아파트가 아예 자취를 감출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6일 서울경제가 부동산114에 의뢰해 분석한 ‘가격 구간별 서울 아파트 분포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7년 5월 78만 7,277가구였던 6억 원 이하 아파트는 이달 11일 현재 18만 2,487가구로 대폭 줄었다. 4년간 60만 4,790가구(감소 폭 76.8%)가 사라진 것이다. 신도시 중 가장 규모가 큰 분당(9만 7,600가구)의 7배 규모에 해당한다. 주택 가격 6억 원은 정책 대출인 보금자리론이나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우대 등 그동안 정책적으로 실수요자들을 위한 중저가 주택의 기준선으로 인식됐다.

6억 원 이하 아파트의 비중도 줄고 있다. 비중은 이 기간에 62.68%에서 14.93%로 낮아졌다. 올 6월 기준으로 6억 원 이하 아파트가 10가구 중 2가구도 되지 않는 셈이다.

자치구별로 보면 현재 서울 25개 지역 가운데 6억 원 이하 아파트 비율이 절반을 넘는 곳은 도봉구(55.82%)가 유일하다. 4년 전만 해도 6억 원 이하가 절반을 넘은 지역은 19곳에 달했다. 특히 일부 지역에서는 중저가 아파트가 1,000가구도 남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준석 동국대 법무대학원 겸임교수는 “최근 3~4년간 서울 시민의 가계 소득이 크게 늘지 않은 상태에서 아파트 가격은 급등해 그 짐을 고스란히 평범한 서민들이 떠안게 됐다”며 “지금이라도 용적률 완화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아파트를 공급하지 않는 한 장기적으로 중저가 주택 멸종 현상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성동에 275가구, 광진에 188가구···서울 13곳서 6억 아파트 곧 사라진다>

부동산 정책 실패가 집값 급등으로 연결되면서 서울에서 6억 원 이하 중저가 서민 아파트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조만간 일부 지역에서는 6억 원 이하 ‘0가구’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서울 25개 지역 가운데 6억 원 이하 아파트가 10곳 중 1곳에도 미치지 못하는 지역이 절반이 넘는 13곳에 이른다. 이 중 4개 자치구에서는 구 전체를 통틀어 6억 원 이하 아파트가 1,000가구도 남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만 해도 6억 원 이하는 서울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아파트 가격대였다. 당시 25개 서울 자치구 가운데 강남(6억 원 이하 비율 7.54%)과 광진(48.12%), 서초(6.46%), 성동(48.73%), 송파(25.57%), 용산(21.84%) 등을 제외한 19곳에서 6억 원 이하 주택이 절반을 넘게 차지했다.

지금은 사정이 다르다. 2021년 6월 11일 현재 6억 원 이하 아파트가 과반인 곳은 서울 전체를 통틀어 도봉구(55.82%)가 유일하다. 강남(2.87%)과 서초(3.23%)는 물론 강동(3.65%), 광진(0.82%), 동대문(6.93%), 동작(2.47%), 마포(3.44%), 성동(0.57%), 성북(9.06%), 송파(1.08%), 영등포(4.20%), 용산(1.74%), 중구(2.67%) 등 13곳의 자치구에서는 6억 원 이하 아파트 비중이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감소 폭도 크다. 강동의 경우 3만 4,533가구에서 2,260가구로 93.4% 줄었다. 4년간 중저가 아파트가 90% 이상 줄어든 곳도 광진·동대문·동작·마포·성동·송파·영등포·용산·중구 등 10곳에 이른다. 구 전체를 통틀어 6억 원 이하 아파트가 1,000가구도 안 남은 지역도 네 곳에 이른다.

실제로 2017년 5월 6억 원 이하 아파트가 1만 1,2019가구였던 광진구에는 이제 188가구만 남았다. 같은 기간 성동구는 2만 5,044가구에서 275가구로, 용산구는 5,554가구에서 425가구로, 중구는 6,473가구에서 305가구로 줄었다. 이들 지역에서는 사실상 중저가 아파트가 소멸한 셈이다.

학계에서는 시장 안정을 위해 규제보다는 공급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윤주선 홍익대 건축도시대학원 교수는 “서울 아파트의 가격 상승은 근본적으로 십여 년 전부터 이어진 공급 중단의 영향”이라며 “공급 문제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가격 하락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윤 교수는 “시장은 지난 25번의 대책을 통해 세금을 강화하고 거래를 제한하더라도 결국 공급이 없으면 가격이 오른다는 점, 그리고 서울에서는 가용 부지가 많지 않다는 점을 학습했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고밀도 정책을 통해 앞으로 서울에서 어느 정도의 물량을 민간 아파트로 공급하겠다는 시그널을 줘 불안 심리를 완화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중저가 주택 소멸 현상이 빌라로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김흥록 기자 rok@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