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2030년 이산화탄소로 만든 화학제품 나온다!…CCU R&D 연 1천억 투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개최

- 2050 탄소중립 핵심기술 CCU 기술 중장기 R&D 로드맵 마련

헤럴드경제

한국화학연구원 연구진이 이산화탄소를 재활용하는 반응장치를 운전하고 있다.[한국화학연구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정부가 2050 탄소중립 구현 핵심기술인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 상용화를 위해 연간 1000억원을 투입해 상용화에 속도를 낸다.

15일 열린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주재하는 제18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는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혁신 로드맵’ 등을 토론안건으로 상정·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 3월 장관회의에서 발표한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략의 핵심기술 중 하나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활용가치가 높은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기 위한 CCU 기술에 대한 중장기 기술혁신 로드맵을 발표했다.

세계 각국은 탄소중립 목표 선언과 함께 탄소 규제를 더욱 강화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국제사회의 노력에 발맞춰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저탄소·친환경 경제구조로 전환을 유도하고 있다.

탄소중립을 실현하려면 탄소배출을 줄이는 노력과 함께 배출된 CO2를 흡수하여 처리하기 위한 CCU 기술 도입이 필수적이다.

국제에너지기구, EU 등에서는 탄소중립 시나리오에서 CCU 기술을 활용한 감축량을 제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30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에 CCU 기술을 통한 감축량을 제시한바 있다.

CCU 기술수준은 대부분 기초·응용연구 단계로, 기술적 난이도가 높고 상용화까지 불확실성이 높아 민간의 적극적인 기술개발이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는 CCU 기술의 전략적 R&D 투자를 뒷받침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CCU 기술혁신 로드맵’을 수립했다.

이번 로드맵은 그동안 단편적인 CCU 기술개발 전략에서 벗어나 CCU 관련 기술·산업·정책 전문가 50여명이 참여, 기술개발, 산업 적용, 정책·제도, 온실가스 감축 기여 등을 다각도로 검토한 정부차원의 최초 종합적인 CCU 기술개발 전략이라 할 수 있다.

로드맵은 2030년까지 14개 CCU 상용제품을 확보하고, 2040년까지 기존 시장가격 수준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해 탄소중립 실현 및 CCU 신시장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4가지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첫 번째 추진전략에서는 기술경쟁력, 시장경쟁력, 온실가스 감축효과 등을 평가하여 CO2 포집, 화학전환, 생물전환, 광물탄산화, 기타 탄소 등 5대 분야별 59개 중점기술을 선정하고, 2030년 산업계 적용 가능성을 기준으로 상용화 기술 및 차세대 기술로 구분하고 시기별 마일스톤 제시 등 구체적인 개발전략을 도출했다.

이를 통해 현재 60~70달러/tCO2 수준인 포집비용을 단계적으로 2050년까지 20달러/tCO2 수준으로 낮추고, 화학·광물화 전환을 통해 2030년까지 14개 상용제품군을 확보한다.

CCU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정부와 민간의 R&D 투자를 확대하고, 특히 가시적인 성과 창출을 위해 민간 참여를 기반으로 실증·사업화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강화한다.

정부는 그간 단편적인 소규모 CCU R&D 사업에서 벗어나 연 1000억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를 위한 ‘(가칭) CCU3050 핵심기술 개발사업’을 기획해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한다.

또한 현재 실험실 단위에서 소규모로 추진중인 포집·전환 공정의 실증을 중대규모로 격상하여 현장 적용을 촉진하는 한편, 기업 투자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R&D 세액공제 확대, 정부R&D 매칭비율 완화 등 인센티브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CCU 기술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국가인벤토리 및 감축사업에 객관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

임혜숙 장관은 “국제적으로 CCU 기술이 CO2감축의 주요 수단으로 제시되는 만큼 이번 ‘CCU 기술혁신 로드맵’을 통해 탄소중립 목표 실현에 한걸음 다가갈 수 있도록 민·관이 함께 힘써주시길 당부드린다”며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이를 반영한 새로운 바이오헬스 규제 패러다임이 요구되는 만큼 이번 발전전략을 통해 규제과학이 체계적으로 발전하고 나아가 국가 바이오헬스 산업발전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nbgko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