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광주 붕괴사고’ 텅 빈 지하층 위로 무거운 흙더미 올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9일 오후 광주 동구 학동의 한 철거 작업 중이던 건물이 붕괴, 도로 위로 건물 잔해가 쏟아져 시내버스 등이 매몰됐다. 사진은 사고 현장에서 119 구조대원들이 구조 작업을 펼치는 모습. 2021.6.9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7명의 사상자를 낸 광주 건물 붕괴 사고와 관련해 경찰이 해당 건물의 지하층이 무너지면서 건물 붕괴로 이어졌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하고 있다.

광주경찰청 수사본부(강력범죄수사대)와 행정당국에 따르면 당초 철거업체는 사고 전 지하 1층∼지상 5층인 해당 건물을 맨 위층부터 아래로 한 층씩 걷어내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사고 직전 작업 사진을 보면 업체가 이런 순서를 지키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도로와 맞닿은 건물 앞쪽은 5층 높이까지 벽체가 온전히 남아 있는 반면, 뒷부분과 옆면은 형태가 대부분 사라진 상태였다. 굴착기에 압쇄기(크러셔)를 달아 여러 층을 한꺼번에 부순 것으로 의심된다.

또 계획대로 철거하려면 지상에서 옥상을 철거할 수 있는 특수 굴착기인 ‘롱붐 굴착기’를 동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사고가 난 철거 현장에선 높이 쌓은 흙더미 위에 ‘롱붐 굴착기’가 아닌 ‘일반 굴착기’를 올려 철거하는 방식이 사용됐다.

이 과정에서 저층 부분까지 철거되는 등 계획과 다르게 진행됐다. 이에 대해 업체 관계자는 “건물이 무너지지 않도록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흙과 폐건축자재 더미인 ‘밥’을 건물 안에 채워 넣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텅 빈 지하층 위로 상당한 무게의 흙더미를 쌓아놓은 셈이다.

철거가 진행되면서 쌓여가는 잔해물로 밥의 높이와 무게는 점차 증가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특히 철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막기 위해 평소보다 많은 양의 물이 뿌려졌다는 진술까지 고려하면 물을 머금은 밥의 무게를 지하층 천장이 견디지 못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밑동이 부서진 건물이 순간 통째로 쓰러졌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사고 당시 작업을 한 포크레인 기사가 “부서진 건물 안까지 굴착기를 진입시켰고, 흙더미가 무너진 뒤 건물이 붕괴했다”도 진술한 점도 이러한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경찰 역시 이를 염두에 두고 붕괴된 건물의 잔해물이 치워지는 대로 지하층에 대한 조사를 벌일 계획이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