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靑 "G7 정상회의에 2년 연속 초대…선진국 반열에 올랐다는 의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11일(현지시간) G7 정상회의 참석차 영국 콘월 뉴키 공항에 도착해 환영인사와 인사를 나누고 있다. (청와대 제공) 2021.6.12/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콘월·서울=뉴스1) 공동취재단,김현 기자 = 청와대는 12일 문재인 대통령이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 참석한 것과 관련해 "주요 경제들의 협의체인 G20을 넘어 글로벌 리더인 G7 국가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선진국 반열에 올랐다는 의미"라고 평가했다.

청와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우리나라는 G7 정상회의에 2년 연속 초대됐으며, 특히 금년은 권역별 주도국 4개국(한국·호주·인도·남아공)만을 소수 초청됐다"며 이렇게 말했다. 우리나라는 이명박정부 시절인 지난 2009년에도 G7 정상회의에 초청됐지만 당시엔 20개국이 초청 대상이었다.

청와대는 "G20은 선진국과 개도국의 경제중심 협의체임에 반해 G7은 선진국들 간의 협의체로 국제경제 및 정세, 글로벌 현안을 실질적으로 주도하는 회의에 책임있는 선도 선진국 중 하나로 참여하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 발생 이후 최초의 대면 다자 정상회의이자 경제회복과 기후변화 대응 등 시급한 국내 현안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이번 G7 정상회의에 초청된 것은 민주주의 국가이자 기술 선도국인 우리의 격상된 위상에 대한 평가"라며 "동시에 보건·기후변화 등 당면한 국제현안 대응에 있어 우리의 국력과 위상에 걸맞은 역할과 책임(재정적 기여 등)을 해달라는 국제사회의 기대가 반영된 결과"라고 했다.

이와 관련,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문 대통령에게 보낸 초청 서한에서 모두에게 더 나은 재건, 미래 팬데믹 예방, 자유무역 보호, 기후변화 대응,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협력 등 논의에 한국 참여가 중요하다고 언급했었다.

청와대는 또 글로벌 현안에 대한 후발 추격국가 위치에서 G7과 대등하게 현안 해결을 주도하는 선도국가 위상으로 전환된 것을 또 다른 의의로 꼽았다.

청와대는 "보건 기후변화 등 글로벌 현안 해결 노력이 세계 선도국들과 대등하게 참여해 G7의 노력에 동참할 뿐 아니라 우리의 디지털 바이오 분야 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백신 허브로서 역할이 가능하고 2050 탄소중립 선언 및 P4G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의미 부여했다.

아울러 코로나로부터의 회복과 국제 자유무역 질서 강화를 통해 수출주도인 한국 경제와 기업들에게 성장과 일자리 창출 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는 점도 G7 정상회의 참여의 의의로 거론했다.

청와대는 "G7 정상회의의 성과는 자유무역체제 강화, 녹색성장과 일자리 창출 기회 확대로 이어져 대외의존도가 우리 경제구조에 도움이 되고 국민-기업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우리 정부는 G7 논의 참여과정에서 열린사회 유지를 위해 필수적인 경제적 기반(자유무역 개방경제)을 강화하기 위해 G7 국가와 초청국인 열린사회 국가간 공조 확대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청와대는 우리나라가 K-방역, 디지털·바이오 역량을 통해 글로벌 현안 해결 논의에 기여한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했다.

청와대는 "보건, 기후변화 관련 국제적 대응에 있어 우리의 K-방역 경험을 공유하고, 디지털 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바이오 역량을 통해 백신공급 확대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미국으로 시작된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의 확대를 모색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나아가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그린 뉴딜을 통해 성장과 녹색전환을 동시에 이루는 해법을 제시했다"면서 "기후변화·환경 세션에서 대통령 선도 발언을 통해 디지털 기술을 기후변화 대응에 접목한 스마트한 전환을 제시하고 기후 대응 과정에서 녹색 성장과 녹색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해법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gayunlove@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