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과기정통부 "2025년 데이터산업 43조로 키운다…누구나 데이터로 경제활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차위 '데이터 플랫폼 활성화 방안' 심의의결

2025년까지 15개 빅데이터 플랫폼 추가 구축

"분야별 대표플랫폼 키워 산업·기업성장 촉진"

빅데이터도입 30%·데이터거래참가 70% 목표

민관 협업해 '全주기지원 데이터플랫폼' 구현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공공·민간 데이터 플랫폼의 성장을 지원해 인공지능(AI) 시대 핵심 자원인 데이터의 유통과 활용을 확대한다. 연간 19조원 규모의 데이터 산업을 오는 2025년까지 43조로 키우고 연관 산업과 기업의 성장을 촉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일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심의·의결된 '데이터 플랫폼 활성화 방안'을 추진하기 위한 실행계획으로 '민·관 협력 기반 데이터 플랫폼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국가 차원의 데이터 플랫폼을 효율적으로 확충·활용하고, 민·관 협업 기반의 '전주기 지원 데이터 플랫폼'을 구현한다. 분야별 대표 데이터플랫폼을 확충하고 데이터 거래·유통 기반 강화, 분석·활용 생태계 조성, 통합·관리 체계 마련에 나선다.

구체적으로, 현재 운영 중인 16개 빅데이터 플랫폼과 향후 구축할 신규 플랫폼을 '대표 플랫폼'으로 육성하고 데이터 축적부터 활용까지 활성화되도록 고도화한다. 플랫폼을 통해 수요자 중심 데이터 유통을 강화하고 민간데이터의 공공부문 활용 촉진 과제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작년 19조원 규모의 데이터 산업을 43조원으로 성장시키고, 기업들의 빅데이터 도입률을 13.4%에서 30.0%로 높이고, 데이터거래 참가율 또한 47.2%에서 70.0%로 끌어올린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국내 기업·기관이 비즈니스 현장에 데이터 분석 및 서비스를 활발히 도입하고, 이로써 데이터 산업이 성장하는 데이터 기반 혁신 생태계가 조성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국민 누구나 데이터 기반으로 다양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축적‧개방하는 플랫폼을 넘어 서비스 중심의 데이터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디지털 대전환 위한 인공지능 데이터자원 확보, 어디까지 왔나…"16개 분야별 빅데이터 중심 유통채널 형성"

아주경제

빅데이터플랫폼과 빅데이터센터 현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의 빅데이터 플랫폼은 2019년부터 구축되기 시작했다.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에 공공·민간이 함께 참여해 디지털 대전환과 AI 시대 핵심 경쟁력인 데이터 자원 확대를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 활용 부족, 데이터 플랫폼 구축 파편화에 따른 비효율성 등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정부는 다양한 데이터 플랫폼 활용성을 높이고 수집·가공·개방·활용 등 전 주기를 지원할 데이터 플랫폼에 대한 효율적 투자 정책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판단했다.

국내 데이터 산업 규모는 2016년부터 작년까지 연평균 10% 이상 성장했다. 2019년부터 구축된 16개 분야(금융, 환경, 문화, 교통, 헬스케어, 유통·소비, 통신, 중소기업, 지역경제, 산림, 농식품, 디지털 산업혁신, 라이프로그, 소방안전, 스마트치안, 해양수산) 빅데이터 플랫폼 중심의 오픈마켓 데이터 유통채널이 형성돼 있다. 정부는 '통합 데이터지도'를 통해 이 플랫폼과 다른 플랫폼(AI허브, 데이터스토어, 무역빅데이터, 한국관광데이터랩)을 연계해 이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인공지능 분석·학습용 데이터, 양에서 질로 나아갈 때…"전주기 대표 플랫폼 육성 필요"

아주경제

데이터 전 주기 지원 플랫폼 사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산업진흥원에 따르면 기업 데이터 활용의 큰 애로사항으로 '쓸만한 양질의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또 매출 규모 1000억원 이상 국내기업의 빅데이터 도입률은 35% 수준으로 더 높은 편이지만 작년 국내기업 전체의 빅데이터 도입률은 13.4%에 불과하다.

공공‧민간에서 다양한 데이터 플랫폼이 운영되고 있으나, 수요자 맞춤형 데이터 확충, 품질·가격의 신뢰성 제고, 기업의 활용역량 강화 등 데이터 활용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양질의 데이터 공급을 위해 16개 빅데이터 플랫폼과 각 부처·기관이 운영 중인 데이터플랫폼을 연계해 데이터 활용의 전 주기를 지원하는 분야별 대표 플랫폼을 육성해야 한다.

과기정통부 조사에 따르면 국내 129개 데이터플랫폼(공공 108개, 민간 21개) 가운데 데이터의 수집, 정제, 분석, 활용까지 전 주기 데이터 활용을 지원하는 플랫폼은 21개뿐이다. 데이터 분석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도 56개로 절반에 못 미친다.
민·관 데이터플랫폼 발전협의체 구성,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에 데이터비스 추가 등

아주경제

데이터플랫폼 발전전략 기대효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는 내년중 기존 빅데이터 플랫폼을 16개 분야별 특성에 따라 관련 플랫폼과 연계하고 데이터 분석, 구독형 보고서 등 서비스 중심으로 고도화를 추진한다. 오는 2025년까지 디지털 뉴딜 정책으로 신규 수요 분석을 통해 발굴된 15개 분야별 신규 플랫폼을 분야 맞춤형 플랫폼으로 확충한다. 이를 위해 '민·관 데이터플랫폼 발전협의체'를 구성해 유기적 연계 활용방안을 협의하고 추진한다. 플랫폼 간 메타데이터 표준화·연계규격을 연내 마련해 '통합 데이터지도'에 반영해 나간다.

올해 1230억원 규모로 2580건의 데이터 구매·가공을 지원하는 '데이터바우처'를 일정 요건이 갖춰진 데이터플랫폼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바우처 원 서비스' 제도를 신설한다. 이로써 현재 데이터산업진흥원 선정 기업 공급서비스에 국한한 데이터바우처 이용 범위를 확대한다. 또 데이터 공급기업이 수요 맞춤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요 예보제'를 내년 도입한다.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에 데이터서비스를 추가해 공공의 데이터융합서비스 이용을 촉진한다.

중소기업에 내년중 '분석서비스 바우처'를 지원하고, 혁신서비스 개발용 플랫폼 데이터도 할인하거나 무상으로 제공한다. 플랫폼 별 유료·미개방 데이터를 분석하고 결과를 반출할 수 있는 '오프라인 안심구역'을 2019년 금융·헬스케어, 작년 중소기업, 올해 문화·유통 플랫폼까지 확대한다. 가명정보 결합 활성화를 위해 올해 데이터플랫폼 개인정보관리체계를 점검하고 연내 가명정보 결합·활용 종합 컨설팅, 내년 선도시범사업을 추진한다. 플랫폼별 데이터활용 경진대회를 연다.

플랫폼에서 개방‧유통되는 데이터가 원활히 상호 연계‧활용되도록, 연내 데이터 입력 항목의 단어‧용어 등을 표준화한다. 또 필요시 공공·민간이 마련한 연계 표준사전을 공공분야에 반영하는 체계를 구현한다. 올해부터 비정형 데이터 품질관리 방법 개발 등 데이터 품질관리 가이드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현장에 적용한다. 데이터 플랫폼 구축 이후 데이터를 갱신하고, 내년부터 플랫폼 접근성·편의성 개선을 위한 운영대가 산정 기준 마련에 나선다.

임민철 기자 imc@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