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장석주의인문정원] 석가탄신일에 연등을 바라보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간의 苦 비롯하는 갈애의 소멸

부처의 가르침 오늘 되새겨본다

다 알다시피 음력 사월 초팔일은 부처가 탄생한 날이다. 부처를 이르는 말은 여럿이다. 붓다, 석가, 여래, 세존 등이 다 부처를 가리킨다. 부처가 탄생한 날을 기려 절집에서는 색색으로 물들인 연등을 내건다. 이맘때 잎이 파릇하게 돋은 나무들과 공중에 내걸린 연등은 잘 어울린다. 석가탄신일 즈음 연등을 볼 때마다 나는 생각한다. 온갖 갈애(渴愛)와 사리사욕에서 허덕이는 나 같은 중생에게 붓다는 이념의 푯대이고, 어둠을 밝히는 하나의 등불이라고.

붓다가 태어나기 전 인도 각지에는 숱한 수행자들이 떠돌았다. 세속에서 부귀영화를 좇는 걸 그치고, 우주 만물에 궁극적 물음을 던지며, 수행에 정진하며 극기에 제 몸을 바친 이들을 ‘출가사문(出家沙門)’이라고 했다. 서기전 6세기쯤 북인도의 카필라바스투에서 왕자로 태어난 싯다르타도 그 출가사문의 하나였을 것이다. 왕자가 태어나던 날, 몇 가지 길조가 나타났다. 땅에서 연꽃이 솟아올랐다. 아기는 그 연꽃에 올라앉았다. 부왕은 점술가에게서 왕자가 집에 머물면 지혜로운 왕이 될 것이고, 출가하면 깨달음을 얻고 중생을 제도할 것이란 말을 듣는다.

세계일보

장석주 시인


왕자는 열네 살 때 마차를 타고 도성의 동문을 통해 산책에 나서 우연히 여러 사람을 만난다. 처음 노인을 만나고, 마부에게 물었다. 저 사람이 누구냐? 노인입니다. 나는 저런 운명을 피할 수 있겠느냐? 아직은 피하지 못하십니다. 다음으로 병자를 만난다. 이 사람은 누구냐? 병든 사람입니다. 나는 저런 운명을 피할 수 있겠느냐? 아직은 피하지 못하십니다. 그 다음으로 장례행렬을 만난다. 저것은 무엇인가? 시체입니다. 나는 저런 운명을 피할 수 있겠느냐? 아직은 피하지 못하십니다. 마지막으로 탁발승을 만난다. 저 사람은 누구냐? 그는 수행자입니다. 그는 자제심, 근엄한 태도, 인내심, 존재에 대한 동정심을 품은 사람입니다. 저 사람은 훌륭하구나! 왕자는 감탄하면서 그 말을 세 번이나 외쳤다. 왕자는 부왕에게 산책에서의 일을 고하면서 자신이 생로병사의 고통에서 헤어나지 못했음을 느꼈다고 말한다. 부왕은 왕자가 출가할 것을 두려워하며 도성 주변에 ‘환락의 정원’을 지어 오관의 즐거움을 주는 일을 밤낮으로 벌이게 했다. 하지만 싯다르타는 때가 되자 도성을 떠나 출가를 한다.

싯다르타는 보리수 아래에서 명상과 수행을 거듭하고, 훗날 붓다로 알려지게 되며, 불교의 창시자로 우뚝 선다. 부처는 우주 만물의 근원과 그것의 섭리를 궁구한 끝에 완전한 깨달음을 얻은 자다. 그 깨달음의 요체는 무엇인가? 부처의 깨달음은 인생이 고(苦)라는 성찰, 고의 원인에 대한 성찰, 고를 소멸시키는 수단에 대한 성찰에 바탕을 둔다. 부처는 말한다. 태어나는 것도 고요, 병드는 것도 고요, 죽는 것도 고다. 근심, 슬픔, 괴로움, 걱정, 번뇌도 고다. 싫어하는 사람과 만나는 것도 고요,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것도 고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고다. 이 고를 유발하는 게 갈애다. 갈애는 흔히 욕구라고 부르는 것으로 생의 동력이자 인간을 속박하는 족쇄다. 인간이 겪는 모든 고가 이 갈애에서 비롯한다. 갈애를 어떻게 소멸시킬 수 있는가? 부처는 말한다. 고가 생기는 원인을 끊어버리는 것이다. 욕망이 시들어서 소멸해버린 곳에는 어디나 즐거움과 기쁨이 있다.

부처는 서른여섯 살부터 열반에 들 때까지 수제자들과 걸식을 하며 갠지스강 유역을 떠돈다. 계층을 가리지 않고 불법을 전하고, 세수 여든이 되었을 때 두 그루 사라나무 아래 사자(獅子)처럼 누운 상태로 열반에 든다. 부처는 완전한 깨달음을 얻어 어둠 속을 헤매는 인류에게 길을 밝혀주는 등불이 되고, 중생을 구제해주는 치유의 왕으로 살다 가셨다. 우리가 그토록 어렵다는 갈애의 강을 건너지는 못하더라도 부처의 가르침을 곰곰 되새기며 맑은 마음을 유지하고 살아야 할 것이다.

장석주 시인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