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금융시장 인플레 공포 현실화…코인 투자 괜찮을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문가들 "유동성 파티 종료 후폭풍에 대비해야"

연합뉴스

인플레 공포에 흔들리는 뉴욕 증시



(서울=연합뉴스) 김종현 기자 = 찻잔 속의 태풍인가. 세계 경제를 뒤흔들 뇌관인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사태 이후 위기 극복 과정에서 풀린 전대미문의 유동성이 원자재, 상품, 자산 가격을 밀어 올리면서 인플레이션 공포가 엄습하고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추이를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이 중론이지만 금융시장은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물가와 금리 상승은 그렇지 않아도 팍팍한 서민들의 삶을 힘들게 한다.

자산시장에도 치명적이다. 벌써 주식시장이 출렁이고 있다. 무거워질 대로 무거워진 집값도 흔들 수 있다. 투기화한 코인 시장에는 재앙이 될 수 있다. 정부와 기업, 가계 등 경제 주체들이 신경을 곤두세우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 점점 커지는 인플레이션 압력

지난 2월과 3월 글로벌 금융시장을 흔들었던 미국 국채금리 상승으로 촉발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는 한동안 사그라지는 듯했으나 4월 소비자물가의 예상외 급등으로 다시 표면화했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 12일(현지시간)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작년 같은 달보다 4.2%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의 전망치(3.6%)를 상회한 것으로 2008년 9월 이후 13년 만의 최대 상승 폭이다.

작년 4월 코로나19의 본격적 확산으로 경제활동이 거의 멈춰 섰던 기저효과에 더해 올해 들어 백신 접종이 본격화하고 경제활동이 살아나면서 억눌렸던 수요가 분출해 물가를 밀어 올렸기 때문이다.

올해 들어 두드러진 농산물가격과 주요 원자재 가격 상승, 이에 따른 상품 가격 오름세는 예사롭지 않다. 원유(WTI 기준) 가격은 작년 말 배럴당 48.52달러에서 지난 12일엔 66.08달러로 36%나 치솟았다. 목재 가격은 124%, 구리도 36% 뛰었다. 산업의 쌀이라는 반도체는 가격 상승에도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

따라서 미국의 전 연준(Fed) 의장이었던 재닛 옐런 재무장관이 지난 4일 경기의 과열을 막기 위해 "금리를 다소 올려야 할지도 모른다"고 한 말은 진심이었을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와 조 바이든 행정부는 지금까지 코로나 대응에 모두 5조3천억달러를 퍼부었고 앞으로도 인프라 투자 등에 4조달러를 추가 투입할 예정이다. 이는 물가를 더욱 자극할 수 있다. 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은 바이든 정부의 과도한 재정지출이 인플레이션을 부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제롬 파월 의장 등 연준 주요 인사들은 최근의 물가 급등을 일시적이라며 인플레이션 가능성을 일축하지만, 상황이 녹록지 않은 것은 분명해 보인다.

이런 흐름 속에서는 지난달 국내 4월 소비자물가도 2.3% 올랐다. 이는 2017년 8월(2.5%) 이후 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연합뉴스

[그래픽] 소비자물가지수 등락률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0eun@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 자산시장 인플레 공포…코인 투자 괜찮을까

인플레이션은 필연적으로 금리 인상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어 자산시장에는 독(毒)이다. 더구나 코로나 위기 극복 과정에서 세계 각국이 다투어 금리를 내리고 엄청난 재정을 푸는 바람에 주식, 부동산은 물론 코인 시장까지 거품투성이다.

인플레이션의 '인'자만 나와도 시장이 출렁일 수밖에 없다. 파월 의장은 지난 3월 향후 2년간 금리를 올리지 않겠다고 했지만 시장은 믿지 않는다. 증시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미국의 물가 쇼크로 지난 12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1.99%, 나스닥 지수는 2.67% 하락했다.

이는 곧바로 아시아 증시를 강타해 13일 일본의 닛케이225 지수는 2.49% 폭락했고, 중국의 상하이종합지수는 0.96%, 홍콩의 항셍지수는 1.40% 각각 빠졌다. 국내 코스피 지수도 1.25% 하락했다..

김학균 신영증권[001720] 리서치센터장은 "인플레이션 우려가 전혀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지금은 워낙 자산시장이 저금리 중독에 빠져있어 경기가 좋아진다는 사실보다 금리가 올라 저금리 환경이 바뀔 수 있다는 데 히스테릭한 반응을 보이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인플레이션이 현실화하면 증시는 물론 부동산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각종 대출 억제책이 중첩된 상황에서 금리가 오르면 영끌 빚투가 어려워져 수요보다 공급 우위의 시장이 될 수 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인플레이션으로 그동안 풀렸던 양적완화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면 부동산으로 흐르던 유동성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어 집값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했다.

올해 들어 투기 광풍이 불면서 덩치를 잔뜩 키운 코인시장은 더욱더 위험천만이다. 주식이나 부동산은 내재가치가 있지만, 코인은 내재가치를 제도권에서 인정받지 못하기 때문에 긴축의 충격에 취약할 것으로 보인다.

◇ 유동성 파티 종료 후폭풍에 대비해야

무엇보다 주요 선진국 가운데 가장 무거운 부채를 짊어진 우리나라 가계에 비상이 걸렸다.

작년 말 현재 카드 사용액을 포함한 가계신용은 1천726조1천억원이며,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75.5%에 달했다. 소득과 비교해 빚이 과중하다. 이 가운데 은행권 가계대출은 1천조원이 넘었다.

금리가 1%포인트만 올라도 가계의 금융부담은 12조원이 증가한다는 분석도 있다. 가계 빚의 대부분은 주택과 주식에 잠겨있어 금리 인상으로 자산 가격이 떨어지면 이중삼중의 타격을 받게 된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13일 인플레이션 논란과 관련 "우리 경제의 강한 회복세, 견고한 대외신인도 등을 감안할 때 과도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고 했지만 방심하거나 자만할 때는 아니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인플레이션이 추세로 굳어지느냐를 봐야 하지만 국내 소비자물가가 이달과 다음달 3%를 넘는다면 금리 인상 시기를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애초 금리 인상 시기를 연말로 봤는데 최근 흐름을 보면 좀 더 당겨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김학균 리서치센터장은 인플레이션이 심화할 경우 금리 인상보다는 대출 규제가 바람직하다고 봤다. 그는 "일각에서는 금리를 올려 자산 버블을 통제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지만, 가계부채 규모가 너무 커서 경제와 국민 생활에 전방위적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인플레이션 국면에서는 부채관리가 가장 중요하다"면서 "경제주체들이 부채를 일으켜 투자하는 것은 당연히 조심해야 하며 특히 시중금리를 끌어올릴 수 있기에 정부가 국채를 과도하게 쏟아내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했다.

연합뉴스

4월 소비자물가, 외식비 상승률 22개월만에 최고



kimjh@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