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이슈 세계 금리 흐름

커지는 인플레 우려 금리인상 앞당기나…얼어붙은 고용시장이 걸림돌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美 기대인플레이션율 8년만 최고치..인플레이션 우려

소강상태였던 국고채 금리도 중장기물 중심↑

한은 금통위 “고용시장 질적 회복 아직 부족”

이데일리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원자재, 곡물 가격 랠리로 미국을 중심으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에 수급 요인까지 겹치며 한동안 소강상태를 보였던 우리나라 국채 금리도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수출은 사상 최대 행진을 이어가고 있고, 코로나19 여파로 움추려 들었던 내수도 펜트업(pent-up) 소비에 힘입어 살아나고 있다. 시장에서는 1년 가까이 이어온 저금리 기조에서 벗어나는 시기가 앞당겨지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지만, 고용 회복이 걸림돌이다.

11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5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0.8bp(1bp=0.01%포인트) 내린 1.633%,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0.5bp 상승한 2.143%로 마감했다. 20년물도 0.2bp 오른 2.260%로 거래를 마쳤다.

은행 대출금리에 반영되는 금융채와 함께 움직이는 5년 만기 국고채 금리가 1.6%대로 오름세를 이어가고, 물가 기대를 반영하는 10년채 국채 금리도 지난 3월 2%대로 올라선 뒤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수급 요인에 더해 미국을 중심으로 한 인플레 우려가 더해진 결과로 보인다. 향후 소비자물가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를 반영한 미국의 기대인플레이션율(BEI)은 2.5%를 웃돌며 약 8년여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이날 미국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경제통계(FRED)에 따르면 10년 기대 인플레이션율(BEI)은 지난 10일 2.54%로 전 거래일보다 0.05%포인트 상승했다. 물가가 생각보다 빨리 올라 미국이 금리를 조정한다면 한국은행도 기준금리 격차에 따른 외국인의 자금 유출과 위험자산 선호 심리 위축 등을 고려해야 할수 밖에 없다.

자산가격의 급등에 따른 금융불안 우려도 커지고 있다. 정부의 온갖 대책에도 부동산 가격은 여전히 오름세다. 2019년 연간 580조 수준에 그쳤던 가상화폐 거래도 올해 1분기에만 1500조원 대로 폭증하며 시장 불안을 부추기고 있다.

물가가 가장 큰 부담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7.39(2015년=100)를 기록해 1년 전보다 2.3% 올랐다. 이는 2017년 8월에 2.5% 오른 이후 3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이다. 여기에 최근 원자재, 곡물 가격 급등세가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 등 대부분 기관들은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연 2%를 넘기지 않을 것이라 보고 있지만, 공급과 소비 양측에서 동시에 압력이 커질 경우 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갈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고용문제가 걸림돌이다. 고용시장이 얼어붙이 있는 상황에서 금리인상 결정이 자칫 내수경기 부양에 찬물을 끼얻어 수 있어서다.

지난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A 금통위원은 “가계와 기업 부채는 연체율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외형적으로는 건전한 모습이나, 경기 및 고용 부진에 따른 소득대비 부채부담 증가, 중소기업의 재무건전성 저하 등을 감안할 때 실제로는 이보다 신용위험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고용창출 효과가 떨어지는 수출이 아닌 서비스업 부진이 회복돼야 고용 시장도 활로가 보인다. 올해 3월 취업자가 전년 동월 대비 31만4000명 늘었지만, 고용 ‘허리’라고 할 수 있는 30대(30~39세) 취업자는 17만 명, 40대(40~49세) 취업자는 8만5000명 각각 감소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부진은 대면 서비스업과 청장년 계층에 집중됐는데, 공공일자리 정책은 고령층 중심의 임시 일자리 위주로 만들어져 장기적인 해결책 요원한 상황이다. 장기적 관점에서도 경제 위기에 취약한 임시·일용직 등을 우선순위로 점차 로봇, 인공지능(AI) 등으로 대체될 가능성도 있다.

채권시장 관계자는 “금융불안정 누증에도 고용 지표 회복은 정부 일자리 중심으로 증가하면서 코로나19 타격 중심에 있는 대면 일자리는 전년 동기 대비 플러스로 돌아오지 못했다며 ”자영업자 비중도 높은데 사회적 거리두기와 영업제한 조치가 장기화되어 휴업이 아닌 폐업으로 이어질 것까지 생각하면 한은이 금리 인상 고려 요인 중 하나인 고용 상황의 추세적 회복은 장기적으로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