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한국 AI 기술경쟁력 미국과 1.8년 ‘격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00대 연구기관 4곳뿐…11배 차이

논문 발표 건수, 중국의 10분의 1

[경향신문]

한국의 인공지능(AI) 기술 경쟁력이 미국·중국 등 주요국에 비해 1년10개월가량 뒤처져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4차산업 혁명의 핵심 기술로 여겨지는 AI 분야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개발(R&D) 지원 확대는 물론 핵심 인력 양성과 빅데이터 활용 규제 해소 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2일 ‘AI 분야 현황과 과제’ 보고서를 통해 한국이 AI 기술 분야에서 앞서 있는 여러 나라들에 비해 양적·질적으로 큰 격차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글로벌 AI 시장 규모는 2018년 735억달러에서 2025년 8985억달러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연평균 43%에 이르는 ‘고속성장’ 시장이다. 한국 정부도 2018년 인공지능 R&D 전략, 2019년 인공지능 국가전략 등을 통해 관련 분야에 대한 비전과 세부 과제 등을 제시했지만, 여전히 미국 등에 비해서는 뒤처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기술 격차는 다양한 지표로도 확인된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 따르면 2016~2019년 한국의 AI 관련 논문 발표 건수는 6940건으로 세계 9위에 해당하지만, 선두인 중국의 7만199건에 비해서는 10분의 1 이하 수준이다. 질적으로도 논문 1편당 인용 건수가 조사 대상 91개국 가운데 31위(3.8건)에 그쳤다.

연구기관도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글로벌 AI 기술 100대 기업·연구기관(특허 수 기준) 가운데 한국 기관은 삼성·현대차·LG·전자통신연구원 등 4곳에 불과했다. AI 원천기술 개발 관련 석·박사 연구자가 한국은 405명으로 미국(1만295명)의 3.9%뿐이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한국의 AI 경쟁력이 미국의 81% 수준이며, 기술 격차는 1.8년으로 벌어진 상태”라고 분석했다.

전경련은 데이터 활용 등 AI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제도를 정비하고 국가적 ‘미래 먹거리’ 산업 육성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2009년부터 ‘오픈 데이터 정책’ 등을 통해 빅데이터를 활용하면서 구글·애플·아마존 등 민간 기업을 중심으로 AI 기술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중국은 2015년부터 정부 주도로 데이터 산업 육성에 나섰고, 일본도 2017년 개인정보법 개정으로 빅데이터 활용 환경을 AI 기술에 우호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정환보 기자 botox@kyunghyang.com

▶ [인터랙티브] 나의 탄소발자국은 얼마?
▶ 경향신문 바로가기
▶ 경향신문 구독신청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