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선을 앞두고 앞으로 여론조사 결과가 많이 나올 예정입니다. 그런데 여론조사마다 결과가 들쑥날쑥한 경우가 많습니다. 정치팀의 이성대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일단 보니까 윤 전 총장과 이 지사의 양강구도가 형성되는 흐름입니다. 그런데 어디는 1, 2위 간의 격차가 크고 또 어디는 오차범위 내 접전 이렇게 나오는데요. 왜 이렇게 차이가 납니까?
[기자]
■ 객관식이냐 주관식이냐
쉽게 말하면 객관식 시험과 주관식 시험 중에 어떤 게 어렵냐, 그런 차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객관식은 좀 찍기라도 할 수 있으니까요.
대선주자를 만약에 주관식으로 물어본다고 하면 충성도를 측정하기 좋다고 얘기를 합니다.
머릿속에서 바로 떠오르거나 이미 마음속에 두고 있는 후보를 바로 호명한다는 건 충성도가 그만큼 높다라는 설명이 되는 겁니다.
최근에 나온 조사를 보시면 윤 전 총장과 이재명 지사가 엇비슷하게 결과가 나오고 있는데, 이 수치가 중요한 게 아니라 두 사람 다 대선주자로서 바로 자신을 꼽는 충성도가 높은 유권자들을 엇비슷하게 약 20% 이상 가지고 있다 그런 의미로 보면 되는 겁니다.
[앵커]
그렇다면 어떻습니까? 객관식보다는 주관식 조사가 더 적합하다는 얘기인가요?
■ 객관식은 투표와 비슷하다
주관식처럼 어려운 시험이 꼭 종이 시험이냐, 이렇게 볼 수는 또 없을 것 같습니다.
주관식 시험 같은 경우에는 문제를 못 푸는 사람이 많은 것처럼 주관식 여론조사의 경우에는 모르겠다, 무응답이나 이런 부동층 등이 좀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에 반해서 객관식 조사 같은 경우에는 선택지가 다양하기 때문에 꼭 최선의 후보가 아니어도 차선의 후보를 뽑을 수 있는 가능성들이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부동층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고요.
오늘 저희가 조사한 조사에서도 부동층은 4.8%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선택지를 보고 골라야 하니까 마치 투표를 하듯이 민심이 반영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앵커]
결국에는 두 가지 방식을 종합해서 봐야 한다는 얘기인데요. 그래서 좀 더 안으로 들어가 보면 주관식 조사에서는 윤 전 총장과 이 지사 간의 1, 2위가 비슷하게 나오는데, 객관식으로 물으면 더 차이가 나는 이유는 뭡니까?
[기자]
■ 야당 선택지가 없다
일단 야권 내에서는 윤 전 총장 이외에 눈에 띄는 후보가 없기 때문에 쏠림 현상이 발생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만약에 객관식으로 물어봤을 때 여당 지지층에서는 이재명이냐, 이낙연이냐 또는 정세균이냐 이런 선택지가 많아서 응답이 분산되는 반면에 야당 지지층에서는 윤석열이냐 아니냐 이 응답밖에 없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정부 심판 성향이 윤 전 총장에게 더 쏠리고 있다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인데요.
다시 말하면 야권 성향 유권자들이 아직은 윤석열이라는 인물보다는 윤석열로 대표되고 있는 정부 심판 성향에 더 반응하고 있다, 이런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여론조사는 결국 흐름 그러니까 추세를 봐야 하는데요. 지금 추세에는 어떻게 봐야 합니까?
[기자]
■ 수치보다 추이가 중요하다
말씀드린 것처럼 현재 추세는 정부에 대한 실망감이 이어지고 있다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고요.
다만 개별 조사는 그 응답층도 다르고 말씀드린 것처럼 조사 방식도 다르기 때문에 추이를 봐야 합니다.
정치적인 계기별로 지지율 격차가 어떻게 변하는지 또 어느 후보의 지지가 누구한테 가느냐, 이런 것들을 살펴보셔야 되고 또한 JTBC 조사처럼 선호도와 비선호도를 같이 보면서 그 격차가 줄어드는지 여부도 보시는 게 중요한 대목입니다.
[앵커]
잘 들었습니다. 정치팀의 이성대 기자였습니다.
이성대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대선을 앞두고 앞으로 여론조사 결과가 많이 나올 예정입니다. 그런데 여론조사마다 결과가 들쑥날쑥한 경우가 많습니다. 정치팀의 이성대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일단 보니까 윤 전 총장과 이 지사의 양강구도가 형성되는 흐름입니다. 그런데 어디는 1, 2위 간의 격차가 크고 또 어디는 오차범위 내 접전 이렇게 나오는데요. 왜 이렇게 차이가 납니까?
[기자]
■ 객관식이냐 주관식이냐
쉽게 말하면 객관식 시험과 주관식 시험 중에 어떤 게 어렵냐, 그런 차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주관식이 어렵다고 얘기하죠.
객관식은 좀 찍기라도 할 수 있으니까요.
대선주자를 만약에 주관식으로 물어본다고 하면 충성도를 측정하기 좋다고 얘기를 합니다.
머릿속에서 바로 떠오르거나 이미 마음속에 두고 있는 후보를 바로 호명한다는 건 충성도가 그만큼 높다라는 설명이 되는 겁니다.
이미 마음에 결정도 내리고 있어서 쉽게 바뀌지 않는다는 건데, 참고로 우리나라에서 주관식 조사를 하는 것이 갤럽이라는 곳이 사실상 유일합니다.
최근에 나온 조사를 보시면 윤 전 총장과 이재명 지사가 엇비슷하게 결과가 나오고 있는데, 이 수치가 중요한 게 아니라 두 사람 다 대선주자로서 바로 자신을 꼽는 충성도가 높은 유권자들을 엇비슷하게 약 20% 이상 가지고 있다 그런 의미로 보면 되는 겁니다.
[앵커]
그렇다면 어떻습니까? 객관식보다는 주관식 조사가 더 적합하다는 얘기인가요?
[기자]
■ 객관식은 투표와 비슷하다
주관식처럼 어려운 시험이 꼭 종이 시험이냐, 이렇게 볼 수는 또 없을 것 같습니다.
주관식 시험 같은 경우에는 문제를 못 푸는 사람이 많은 것처럼 주관식 여론조사의 경우에는 모르겠다, 무응답이나 이런 부동층 등이 좀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갤럽 조사 아까 보신 것처럼 보시면 평소 이야기하는 사람들 말고도 모르겠다거나 잘 답을 하지 않는 부동층들이 무려 33%나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서 객관식 조사 같은 경우에는 선택지가 다양하기 때문에 꼭 최선의 후보가 아니어도 차선의 후보를 뽑을 수 있는 가능성들이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부동층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고요.
오늘 저희가 조사한 조사에서도 부동층은 4.8%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선택지를 보고 골라야 하니까 마치 투표를 하듯이 민심이 반영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앵커]
결국에는 두 가지 방식을 종합해서 봐야 한다는 얘기인데요. 그래서 좀 더 안으로 들어가 보면 주관식 조사에서는 윤 전 총장과 이 지사 간의 1, 2위가 비슷하게 나오는데, 객관식으로 물으면 더 차이가 나는 이유는 뭡니까?
[기자]
■ 야당 선택지가 없다
일단 야권 내에서는 윤 전 총장 이외에 눈에 띄는 후보가 없기 때문에 쏠림 현상이 발생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만약에 객관식으로 물어봤을 때 여당 지지층에서는 이재명이냐, 이낙연이냐 또는 정세균이냐 이런 선택지가 많아서 응답이 분산되는 반면에 야당 지지층에서는 윤석열이냐 아니냐 이 응답밖에 없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정부 심판 성향이 윤 전 총장에게 더 쏠리고 있다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인데요.
다시 말하면 야권 성향 유권자들이 아직은 윤석열이라는 인물보다는 윤석열로 대표되고 있는 정부 심판 성향에 더 반응하고 있다, 이런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여론조사는 결국 흐름 그러니까 추세를 봐야 하는데요. 지금 추세에는 어떻게 봐야 합니까?
[기자]
■ 수치보다 추이가 중요하다
말씀드린 것처럼 현재 추세는 정부에 대한 실망감이 이어지고 있다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고요.
다만 개별 조사는 그 응답층도 다르고 말씀드린 것처럼 조사 방식도 다르기 때문에 추이를 봐야 합니다.
정치적인 계기별로 지지율 격차가 어떻게 변하는지 또 어느 후보의 지지가 누구한테 가느냐, 이런 것들을 살펴보셔야 되고 또한 JTBC 조사처럼 선호도와 비선호도를 같이 보면서 그 격차가 줄어드는지 여부도 보시는 게 중요한 대목입니다.
[앵커]
잘 들었습니다. 정치팀의 이성대 기자였습니다.
이성대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