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차기 대선 경쟁

尹, 반기문과 뱃심부터 다르다? 야권서도 엇갈린 대선주자론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4일 사의를 표명한 윤석열 검찰총장이 직원들과 인사를 나눈 뒤 꽃다발을 들고 대검찰청 청사를 나서고 있다. 김경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에 대한 5일 야권의 반응은 기대와 우려가 공존한다. 뚜렷한 대선 주자가 눈에 띄지 않은 상황에서 야권의 유력 대선주자가 나타났다는 기대가 있다. 그러나 대선을 앞두고 중도사퇴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전철을 밟을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우선 기대다. 윤 전 총장의 사퇴 소식이 알려진 4일 오후 2시 이후 국민의힘 인사들은 앞다퉈 환영 메시지를 내놨다. 이날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필요하다면 윤석열 총장과 힘을 합쳐 헌법과 법치주의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고, 당내 최다선인 정진석 의원은 “나와 우리 국민의힘은 문재인 정권의 폭정을 심판하겠다는 윤석열에게 주저 없이 힘을 보태려고 한다”고 했다.

차기 당권 주자로 평가받는 두 사람의 메시지는 윤 전 총장을 국민의힘의 간판으로 내세우려는 구애의 성격이 짙다. 물론 윤 전 총장이 이들과 같은 꿈을 꾸고 있을지는 미지수다. 정치권에선 되레 윤 전 총장이 4ㆍ7 재ㆍ보궐선거 이후 국민의힘과 적당한 거리를 두고 제3지대에 머물면서 중도ㆍ보수층을 아우를 수 있는 야권발 정계개편을 주도할 가능성이 유력하게 언급된다.

이 때문에 국민의힘에선 윤 전 총장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아직은 좀 더 지켜봐야 한다”라거나 (수도권 의원) “차기 대선을 앞두고 야권 분열의 씨앗이 될 수도 있다”(TK 의원)는 것이다. 특히 이들이 공통으로 떠올리는 인물이 있다. 바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다.

중앙일보

반기문 전 UN사무총장의 2017년 1월 12일 귀국 모습. 환영인파가 인천국제공항 입국장을 가득 메웠다.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엔 사무총장 임기를 마치고 2017년 1월 귀국했던 반 전 총장은 당시 차기 대선주자 지지율 30%대를 기록하며 단숨에 당시 여권의 유력 후보로 급부상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국면으로 여권이 궤멸 위기에 몰린 상황이었다. 그의 귀국 당시 공항엔 수많은 환영 인파가 몰려들어 이동이 힘들 정도였고 반 전 총장을 지지하는 단체도 우후죽순 생겨났다. 당시 제1당이던 새누리당은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으로 쪼개졌다. 하지만 반 전 총장은 그 어느 곳에도 몸담지 않았다.

반 전 총장이 일으킨 바람은 그의 중도사퇴로 귀국 20일 만에 그쳤다. 이에 대한 전문가들의 평가는 각양각색이지만, “제3지대의 한계”란 점에 대해선 대체로 일치한다. 그해 5월에 치러진 19대 대선은 문재인-홍준표-안철수의 3자 구도로 치러졌고, 득표율 41.1%를 얻은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됐다.

다만 야권에선 “반기문과 윤석열은 다르다”는 반론도 만만찮다. 외교관 스타일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반 전 총장에 비해 박근혜ㆍ문재인 정부에 연달아 각을 세우며 성장한 윤 전 총장의 뱃심과 정치감각이 상대적 우위라는 것이다. 윤 전 총장과 서울대 법대 동기인 한 변호사는 “윤 전 총장은 야권의 대안으로 떠올랐던 고건 전 총리의 용인술, 이회창 전 총재의 원칙, 반 전 총장의 인지도 등 장점을 두루 갖춘 사람”이라고 옹호했다. 충북 음성 출신인 반 전 총장에 비해 지역적 확장성이 넓은 것도 윤 전 총장의 장점으로 꼽힌다. 그는 서울 태생이지만 부친(윤기중 연세대 명예교수)은 충남 논산, 모친은 강원 강릉이 고향이다.

국민의힘의 한 중진 의원은 “4ㆍ7 재·보선 이후 선거 결과에 따른 야권발 정계개편이 뒤따를 가능성이 크다”며 “지금도 야권 대선 주자 1위인 윤 전 총장이 지지율을 더 끌어올릴 수 있다면 야권이 그를 중심으로 재편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김기정 기자 kim.kijeong@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