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치킨 튀기고 커피 내리고···알바보다 싸다, 로봇 직원 인기 [영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비대면 확산으로 로봇 문화 성큼

무인 로봇카페 매장 100곳 달해

닭고기에 반죽 묻혀 튀겨주기도

관련법 미비로 차량으로 분류돼

3일 오전 서울 송파구 잠실동에 있는 ‘비트’ 커피점. 매장 안에는 서빙하는 직원이 한 명도 없다. 대신 주문은 키오스크(터치스크린 방식의 무인단말기)로 한다. 키오스크 화면을 눌러 카페라테 한 잔을 주문했다. 신용카드로 2800원을 결제하자마자 거의 동시에 주방에 있는 바리스타 로봇인 ‘비트(B’eat)’가 커피 원두를 분쇄하기 시작했다.

커피 만드는 솜씨가 전문가 못지 않다. 바리스타 로봇은 분쇄한 원두로 에스프레소를 받아내고, 우유 노즐로 이동해 거품을 낸 후 미리 받아둔 커피가 있는 컵에 우유 거품을 부었다. 이렇게 만든 커피를 건네는 데까지 1분 정도 걸렸다.



이 카페는 주문부터 서빙까지 모든 일을 로봇이 맡아서 하는 무인 로봇카페다. 영업시간 제한이 풀리면 24시간도 운영할 수 있다. 이날 카페를 찾은 이모(35)씨는 “고급 브랜드 커피숍 같은 품질의 원두인데 인건비가 들지 않아서인지 가격이 반값 수준이라 좋다”며 “직원이 아예 없으니 코로나19 우려가 없는 것도 장점”이라고 말했다.

비대면 문화가 확산하면서 로봇이 일상 생활로 성큼 들어왔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자 로봇이 틈새를 파고들었다. 일반 음식점이나 커피숍 같은 매장에 ‘로봇 직원’이 등장했다. 이전까지 주문을 받거나 안내를 하는 정도의 수준이었다면, 이제는 직접 커피를 내리고 치킨을 튀기고 주차도 한다.



인건비 부담, 비대면 문화에 ‘로봇 직원’ 찾아



무인 로봇카페인 비트는 2018년 1월 인천 중구 인천공항 안에 처음 문을 열었다. 3년이 지난 지금은 전국에 100개의 매장이 있다. 지난해에만 40곳이 넘는 매장이 생겼다. 이 카페를 만든 비트코퍼레이션은 올해 매장 100개를 추가로 개점할 예정이다. 바리스타 로봇 비트는 시간당 최대 120잔까지 커피를 만들 수 있다. 비트의 ‘몸값’(기곗값)은 1억원 선이다. 창업을 희망하면 로봇을 구매하거나 매달 사용료(보증금 3000만원, 월 180만원 수준)을 내고 빌릴 수도 있다.

서울 강남구에는 로봇이 닭을 튀기는 치킨가게가 있다. 지난해 2월 로보아르테가 개점한 ‘로봇 치킨집’이다. 직원이 필요한 재료를 준비해두고 태블릿PC로 주문을 입력하면 로봇이 닭고기에 튀김 반죽을 묻혀서 튀겨낸다. 로봇은 중간중간 밀가루를 툭툭 털어내고 끓는 기름 속에 있는 닭고기가 서로 붙지 말라고 중간중간 튀김 망을 흔들기도 한다. 시간당 평균 25마리를 튀긴다.



창업 시장에서 ‘로봇 채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인건비 부담이 커지면서다. 2017년 6470원이었던 최저임금은 4년 만에 35% 올라 현재 시간당 8720원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오프라인 매장을 찾는 사람이 줄어들면서 점포주 입장에선 직원 고용이 더 부담스러워졌다. 매장을 찾는 손님도 직원과 접촉을 꺼리는 것은 마찬가지다.



“현행법상 로봇은 차량…인도 통행은 안돼”



로봇 관련 규제가 한시적으로 풀린 영향도 있다. 예컨대 주차 로봇은 주차장법상 기계식 주차장으로 분류되는데, 별도의 안전 기준이나 규격이 없어 심사나 인증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지난해 10월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실증 특례를 승인받아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었다.

예상보다 빠르게 ‘로봇 시대’가 다가왔지만,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관련 규제 정비다. 현재는 로봇에 관련된 구체적인 규제 조항이 미비해 주차장처럼 아예 심사를 받을 수 없는 영역이 상당하다.

정부는 향후 5년간 로봇 관련 시장을 4배 성장한 연간 20조원 규모로 키우겠다고 팔을 걷어붙였다. 이를 위해 ‘선허용 후규제’ 방식으로 관련 제도를 도입하겠다는 방침이다. 예컨대 로봇은 차량으로 분류돼 인도나 횡단보도로 다닐 수 없다. 이 때문에 배달 로봇의 상용화가 어려웠다. 정부는 우선 로봇이 승강기나 자전거도로를 이용하는 식으로 관련 규제를 정비할 계획이다.

기계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층의 불편함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일반 국민의 정보화 평균 수준(2019년 기준)을 100으로 봤을 때 20~30대는 120%였지만, 50대는 98.9%, 60대는 73.6%, 70대는 35.7%로 나타났다. 나이가 많을수록 로봇 등을 활용하기 어렵다는 의미다.

이장균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이미 세계적으로 빠르게 기술 개발이 전개되고 있는 만큼 로봇 기능 고도화, 서비스 플랫폼 구축 등 경쟁 기반을 조속히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정책 자원이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