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G7 정상회담

나토·쿼드·G7·MSC…바이든의 美 '동맹규합→反中전선' 시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7일~19일 바이든 행정부, 잇단 외교·안보 행보

사실상 '反中 전선' 구축 위한 동맹 달래기 해석

2억弗 투척하며…中 누르고 WHO '리더십 회복'

이데일리

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이준기 기자] 17일(현지시간) 미국·유럽 간 군사동맹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 간 국방장관 회의에 이어 18일 대중(對中) 견제를 위한 미국·일본·인도·호주 4개국 협의체인 쿼드(Quad) 참여국 간 외교장관회의, 19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뮌헨안보회의(MSC)가 잇달아 열린다. 지난달 20일 출범한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이른바 ‘동맹규합’을 위한 다자외교를 본격화하는 것이다. 이미 전방위적 대중 공세를 예고한 바이든 행정부가 국제사회의 반중(反中) 전선 긋기의 최대 시험대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날부터 이틀간 화상으로 열리는 나토 국방장관 회의의 핵심 의제는 나토군의 아프가니스탄 주둔 문제이지만, 실제론 전임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 시절 방위비 증액 압박, 주독미군 철수 결정 등으로 악화한 미국과 유럽 동맹 관계를 복원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일성으로 동맹 관계 회복을 천명한 만큼 이번 회의는 바이든 행정부의 반중 전선 확대를 위한 전열 다듬기로 봐야 한다는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쿼드 외교장관회의 역시 비슷한 맥락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행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을 배척하면서도 유일하게 2019년 만들어진 쿼드만큼은 계승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해왔다. 반중 전선의 핵심인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동맹 강화는 바이든 행정부에 필요충분조건이다. 일각에선 한국 등으로 쿼드를 확대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G7 정상회의도 마찬가지다. 이미 바이든 대통령은 동맹의 집단적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국 등에 의해 가해지는 경제적 도전을 타파, 글로벌 룰을 갱신하는 문제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백악관이 밝혔듯, 사실상 대중 성토장이 될 것이란 의견이 많다. 올해 G7 의장국인 영국과 캐나다 역시 중국과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만큼 이번 정상회의가 사실상 중국을 향한 성토장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같은 날 바이든 대통령은 안보 분야의 다보스포럼으로 평가받는 MSC 연설에서 미국·유럽 간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출범 첫날부터 세계보건기구(WHO) 탈퇴 절차를 전면 중단시킨 바이든 행정부가 2억달러(약 2200억원) 이상의 거금을 투척하며 ‘통 큰’ 복귀를 알리며 국제사회의 ‘리더십 복귀’를 선언했다. ‘WHO는 중국 편향적’이라며 탈퇴를 선언했던 전임 트럼프 행정부의 흔적 지우기 일환이자, 트럼프 행정부 시절 무너졌던 미국 중심의 ‘다자주의’ 복원 과정의 하나로 해석된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이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화상회의에서 이같이 밝힌 뒤 “모든 국가는 코로나19와 관련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특정 국가를 지목하진 않았으나 최근 미국이 WHO가 코로나19 최초 발병지인 중국 우한을 찾아 조사했지만 기원 규명에 사실상 실패한 것과 관련, “WHO 조사 과정에서 중국 정부가 충분한 자료를 내놓지 않았기 때문”(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이라고 언급한 데 비춰, 사실상 중국을 겨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우회적 언급이긴 했으나 WHO 복귀와 함께 대중(對中) 압박에 나선 것으로, WHO 내 중국 영향력을 누르는 동시에 미국이 다시 리더로 나설 것이란 의지를 드러낸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