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믿을 건 부동산?"…슈퍼리치가 주택보다 선호하는 이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자료 = 리얼캐스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부자들의 자산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면 부동산 자산이 50%를 넘는 경우가 많다. 총 자산이 많을수록 주택보다는 상가나 빌딩 등 상업용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 비율도 높았다.

KB경영연구소에서 발표한 '2020 한국 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보유하고 있는 부자는 2019년 기준 35만4000명으로 10년 전(16만명)에 비해 2.2배가량 늘었다. 우리나라 부자의 총자산 포트폴리오는 '거주 주택'이 26.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유동성 금융자산(16.2%)', '빌딩·상가(12.0%)', '거주 외 주택(10.4%)', 예·적금(9.3%)이 그 뒤를 이었다.

다만, 총 자산 규모에 따라 자산 종류별 보유율은 차이를 보였다. 보유율 격차가 가장 큰 자산은 '빌딩'과 '상가'였다. 50억원 이상의 자산을 가진 부자 중 60.1%는 상가(또는 빌딩)을 보유하고 있는 데 비해, 50억원 미만의 자산을 가진 부자는 24.7%만 상가(또는 빌딩)을 보유했다. 총 자산이 많을수록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빌딩이나 상가 투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자산가 중 약 80%는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 외에도 다른 종류의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특히 부자일수록 상가 보유율이 높았다.

구체적으로는 금융자산 30억원 미만 부자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거주 외 부동산의 비율(중복선택 가능)이 아파트(37.4%), 상가(36.6%), 토지·임야(34.9%)로 비교적 균등한 비율을 보였다. 이에 비해 30억원 이상 금융자산을 가진 부자들 64.8%는 상가를 보유하고 있었다. 아파트와 토지·임야는 각각 52.3%, 50.0%로 상가에 비해 10% 이상 못미쳤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5가지 원칙


매일경제

[사진 = 리얼캐스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부자들은 수익형 부동산, 그 중에서도 상가와 같은 상업시설을 통해 부를 축적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19 장기화로 자영업자들의 경기 침체가 이어지고 상가 공실률이 높아지는 등 상업시설 투자에 대한 불안함도 커지는 모습이다.

상가 투자를 계획 중인 이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의문은 주변에 널린 상업시설 중 투자하기 좋은 상품을 고르는 방법이다. 이에 대해 상가업계 전문가들은 상가 투자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5가지 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첫 번째는 희소성이다. 경쟁 상업시설이 많다면 수익률 악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마련이다. 배후수요 대비 상업시설 수가 적은 상품을 고르는 것이 중요한데 대규모 아파트 단지에 둘러싸인 상업시설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상업시설은 단지 안에 위치해 경쟁 상권이 적고 단지 입주민들을 독점해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차별성이다. 주변 상업시설과 경쟁이 적더라도 해당 상업시설만이 가지고 있는 차별성이 있어야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 계획 초기부터 외부 유입의 접근이 쉽도록 한 개방형 구조와 넓은 주차장 설계는 물론, 다양한 프로모션 진행과 유명 프랜차이즈 입점 등을 통해 주변 상업시설보다 사람들의 눈길을 끌 수 있는 요소를 갖춰야 수익률면에서도 앞서 갈 수 있다.

세 번째는 입지다. 상권이 활성화되지 않아 아직 수익률이 낮더라도 역세권 입지라면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 주변 유동인구와 함께 외부에서 유입되는 인구를 통해 점차 수익률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남녀노소 구분 없는 고객층을 확보할 수 있어 다양한 업종이 어우러진 대형 상권으로 거듭날 가능성도 높다. 상권 활성화는 수익률과 직결되므로 지금 당장의 수익률로 상업시설의 가치를 판단하는 것은 금물이다.

네 번째는 브랜드다. 상업시설도 주택과 마찬가지로 유명 브랜드 여부에 따른 시장 친근감 차이가 크다. 대형건설사가 지은 상업시설은 규모 측면에서 일반 근린상가를 압도하는 경우가 많은 데다 스타벅스나 SSM 등 대형 앵커테넌트 입점도 상대적으로 쉽다. 투자 실패에 대한 부담도 상대적으로 적을 수 밖에 없다.

마지막으로 신속성이다. 좋은 상업시설은 시간이 흐르고 상권이 형성되면 자연스럽게 프리미엄(웃돈)이 붙기 마련이다. 투자를 결정했다면 가격이 오르기 전에 선점하는 것이 좋다. 다만, 임장을 통한 상권 분석 없이 섣불리 투자에 나섰다간 향후 낭패를 볼 수 있으니 유념해야 한다.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 robgud@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