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집값 연초부터 '불장'···너무 오른다 '폭락론' 또 확산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연말 집값 안정화를 위한 대책이 한달 간격으로 잇따라 발표됐다. 이로써 전국의 투기과열지구가 49곳, 조정대상지역은 111곳으로 늘어나는 등 전국 시군구의 절반 이상이 규제지역으로 묶였다. 하지만 새해에도 전국으로 확산한 부동산 시장 과열은 가라앉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전국의 아파트 누계 매매가 상승률이 작년 동기 상승률을 뛰어넘은 것. 지난해 말 나온 강력한 대책들에도 불구하고 연초부터 부동산 시장에 심상치 않은 분위기가 감지되면서 '올해 집값이 더 오르는 것 아니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너무 올랐다'라는 폭락론도 동시에 확산되고 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초부터 불장, 전국이 들썩>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통계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첫째주부터 셋째주까지 3주 간의 전국 아파트 누계 상승률은 0.81%다. 지난해인 2020년 같은 기간 동안의 상승률인 0.26%의 배로 뛴 셈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17개 시도 중 대전과 세종, 그리고 전남을 제외한 14개 시도에서 올해 누계 상승률이 전년도 수치를 추월했다.

지난해 초 집값이 떨어졌던 지역도 올해 모두 상승으로 전환되면서 전국 17개 시도에서 모두 상승세가 관측됐다. 강원·층북·경북·제주 등 4개 지역은 지난해 동기 모두 '마이너스 상승률'을 기록하며 집값이 하락한 바 있다. 하지만 올해 들어서는 모두 '상승'을 기록하며 분위기가 반전됐다. 전국의 집값이 그야말로 '불장'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전국 집값의 바로미터라 할수 있는 서울도 올해 상승률이 전년도 동기 상승률을 훌쩍 뛰어넘었다. 지난해 1월 첫째주부터 셋째주까지의 서울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0.15%. 반면 올해는 이보다 높은 0.23%를 기록했다. 서울의 상승세는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가 견인했다. 지난해 0.05%의 변동률을 기록하며 서울 최하위권을 기록한 강남4구는 올해 들어 벌써 0.34% 올랐다. 강남구는 지난해 0.05%에서 올해 0.29%, 서초구는 0.02%에서 0.30%, 송파구는 0.04%에서 0.43%로 껑충 뛰었고, 강동구도 0.12%에서 0.33%로 상승했다. 부동산 세금 중과로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수요가 늘었을 뿐 아니라 최근 재건축 추진 기대감이 커지면서 강남권 재건축 단지의 가격이 큰 폭으로 뛴 영향으로 풀이된다.

전국 집값이 오른 후 수도권으로 매수세가 회귀하는 '역풍선효과'로 경기·인천 아파트의 가격 상승세도 작년 같은 기간 보다 가팔라졌다. 지난해 0.52%였던 경기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올해 같은 기간 동안 1.15%로 대폭 올랐고, 인천도 0.19%에서 1.03%로 모두 1%를 넘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너무 올랐다’ 폭락론도 확산···전문가들은>

연초 ‘불장’ 분위기를 보면서 시장 한편에서는 ‘집값이 정점에 다다랐다’는 주장도 확산하고 있다. 현 정부 들어 집값 상승기 내내 ‘폭락론’이 거론되긴 했지만, 이제는 정말 시기가 도래했다는 주장이다. 상투론의 근거는 △시장 사이클 상 하락 반전 시기가 도래했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대외 환경 불안 요인이 확산하고 있으며 △정부의 규제 기조와 공급대책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근거를 들고 있다.

최근 주택시장의 과열 분위기는 앞선 2006년 나타난 바 있으며, 이를 정점으로 하락 반전했을 때와 같은 상황이라는 주장이다. 여기에 2007년 발발한 미국발 금융위기처럼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가 시장 불안을 부추길 것이란 근거도 대고 있다. 최근 집값 상승이 코로나19로 인한 저금리 속 풍부한 유동성 때문인데, 경기가 안정돼 금리가 오르기 시작하면 부동산 시장에 유입된 자금이 급속도로 빠져나가 집값 하락을 부추길 것이란 주장이다. 여기에 3기 신도시를 비롯한 정부의 공급확대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면 가격은 더 오르기 어렵다는게 이들 주장의 요지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 같은 주장에 대체로 ‘동의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여경희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시중에 풀린 유동자금이 부동산 등 실물자산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더 높은 상황이어서 여전히 상승 여력이 남아있다고 본다”고 했다. ‘폭락론’ 주장과 관련해선 “금리 인상 가능성은 있어도 한꺼번에 급격하게 오를 수는 없다”며 “이것이 급격한 하락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심교언 건국대 교수는 “폭락이라는 건 지표로만 볼 수 있는 게 아니라 IMF 구제금융 수준의 커다란 사건이 같이 있어야만 가능한 것”이라며 “코로나19로 인한 위기는 그 수준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진동영·양지윤기자 jin@sedaily.com

/양지윤 기자 yang@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