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대통령 선긋기에 사면론 종지부…난감해진 이낙연(종합)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호남 민심 수습 시도…"광주·전남의 아들답게 잘하겠다"

연합뉴스

광주 찾은 이낙연…주변에는 지지·사면론 반대 목소리
(광주=연합뉴스) 정회성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18일 오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참배를 마친 뒤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 대표 주변에서 '사면론'에 반대하는 광주시민과 지지자가 손팻말과 펼침막을 들고 있다. 2021.1.18 hs@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전직 대통령 사면론에 선을 그으면서 연초 정국을 달궜던 사면 논란이 사실상 일단락됐다.

문 대통령은 신년 기자회견에서 사면 문제에 대해 "지금은 말할 때가 아니다"라고 '쐐기'를 박았다.

국민 공감대가 필요하다는 원론적 발언으로도 해석되지만, 애초 국민통합을 명분으로 사면론을 제기한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로서는 정치적 체면을 구긴 모양새가 됐다.

앞서 이 대표는 새해 첫날 인터뷰에서 "두 전직 대통령의 사면을 적절한 시기에 문 대통령에게 건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동안 강성 지지층과 호남의 거센 반발을 마주했던 이 대표로서는 청와대와 충분한 사전 논의 없이 섣불리 사면을 꺼낸 것 아니냐는 지적까지 면하기 어렵게 됐다.

더군다나 이 대표가 사면의 명분으로 내세운 국민통합론과 관련해서도 문 대통령은 "국민이 공감하지 않는다면 사면은 통합의 방식이 될 수 없다"며 엇갈린 시각을 드러냈다.

여권 관계자는 "문 대통령은 사면론이 통합보다 갈등을 촉발하는 상황을 우려한 것 같다"며 "이 대표의 리더십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날 "대통령의 뜻을 존중한다. 대통령 말씀으로 그 문제는 매듭지어야 한다"고 짤막한 입장을 밝혔다.

이 대표 측근 그룹 사이에선 문 대통령의 사면 발언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반응도 나왔다.

이 대표를 돕는 한 중진 의원은 "문 대통령이 적절한 시기에 더 깊은 고민을 해야 할 것이란 발언을 앞쪽에 했다면 더 좋았을 것"이라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연합뉴스

'노무현국밥' 주문한 이낙연 대표
(광주=연합뉴스) 조남수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18일 오후 광주 서구 양동시장 한 식당에서 '노무현 대통령 국밥 드신 자리' 팻말이 붙은 자리에 앉아 식사를 기다리고 있다. 2002년 노 전 대통령이 방문하며 메뉴에 있던 '노무현국밥'은 서거 이후 '장터국밥'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2021.1.18 iso64@yna.co.kr



문 대통령은 또 이 대표의 제안으로 당이 입법을 추진하는 이익공유제에 대해 "제도화해서 정부가 강제할 수는 없는 것"이라며 기업들의 자발적 참여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윤석열 검찰총장에 대해서도 "문재인 정부의 검찰총장"이라고 언급, 국정조사 필요성까지 제기한 이 대표의 강공 기조와 온도차를 드러냈다.

당청 관계가 "환상적"(지난해 9월, 문 대통령 발언)이라는 평가까지 나왔던 것에 비하면 내부에 기류 변화가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이 대표는 이날 광주를 방문해 5·18민주묘지를 참배하는 등 텃밭 민심 다잡기에 나섰다. 그러나 일부 시민들이 사면론에 반대하는 팻말을 들고 항의를 하는 등 지역 민심 악화를 체감해야 했다.

이 대표는 광주 KBS 인터뷰에서 "제 마음은 늘 제 고향에 있고, 제가 때로는 못났고 때로는 한없이 외로울 때도 늘 고향을 생각하며 다시 힘을 얻곤 한다"며 "늘 광주·전남의 아들답게 잘 하겠다"고 밝혔다.

지역 숙원 사업인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특별법에 대해서도 "2월 국회에서는 꼭 처리하겠다"고 약속했다.

전남 영광 출신인 이 대표가 영남 태생인 이재명 경기지사에게 호남 지지율마저 밀리는 상황에서 읍소 작전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이 대표는 "저에 대한 호남인들의 꾸지람, 실망감이 반영된 결과라고 생각한다"며 "스스로를 돌아보고 치열하게 노력하겠다. 노력 여하에 따라 민심이 다시 움직인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yumi@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