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알츠하이머 新 발병원인 찾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한국뇌연구원, 알츠하이머병 시냅스 손상 분자기전 규명

헤럴드경제

이계주(왼쪽) 박사와 장유나 연구원(제1저자, 오른쪽)이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는 모습. [한국뇌연구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한국뇌연구원은 신경회로연구그룹 이계주 박사 연구팀이 환자의 사후 뇌 조직과 마우스 실험동물 모델을 활용, 시냅스 단백질의 하나인 RAPGEF2의 발현 이상이 알츠하이머병의 시냅스 손상을 유발하는 기전임을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임상신경과학‧병리학분야 국제학술지 ‘영국신경병리학회지’ 최신호에 게재됐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약 75%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으로 시간이 경과할수록 기억력 상실, 조울증, 언어장애, 망상, 운동장애 등의 증상이 악화되는 무서운 질환이다.

현재 알츠하이머병 증상은 치료를 통해 일시적 개선은 가능하나, 증상을 완전히 멈추거나 진행을 역전시키는 효과적인 치료법은 아직 없는 상태로 운동 프로그램 등을 통한 예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며 아밀로이드 베타(A&beta;)와 타우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이 원인이라는 것이 대표적 가설이다. 특히 아밀로이드 베타는 뇌의 기억 저장장소인 시냅스(신경세포 간 소통이 일어나는 연결 부위)를 손상시켜 기억력 상실 등 인지장애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아밀로이드 베타가 어떻게 시냅스를 손상시키는 지 이해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해왔으며,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사후 뇌 조직과 유전자 변형 마우스 모델의 뇌에서 공통적으로 RAPGEF2 단백질이 과도하게 발현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배양된 신경세포와 알츠하이머 마우스 모델의 뇌 조직에서 다양한 신경생물학적 연구방법으로 아밀로이드 베타가 RAPGEF2의 과발현을 촉진시키고, RAPGEF2는 다시 하위 인자인 RAP2, JNK 신호경로를 활성시켜 결국 시냅스가 소실된다는 사실을 규명한 것.

또한 연구팀은 알츠하이머 마우스 모델에서 RAPGEF2의 과도한 발현을 억제시키면 아밀로이드 베타가 증가해도 시냅스의 감소와 인지기능의 손상을 막을 수 있음을 전자현미경과 행동분석을 통해 증명했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알츠하이머병의 초기에 나타나는 시냅스 손상의 분자 기전을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는 데 큰 의의가 있으며, 인류의 오랜 숙원인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의 획기적인 치료법 개발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높게 평가된다.

이계주 박사는 “이번 연구가 알츠하이머병 등 시냅스 손상성 뇌질환의 구체적인 병인기전을 이해하고, 나아가 새로운 치료전략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기초원천 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임상신경과학‧병리학분야 국제학술지 ‘영국신경병리학회지’ 최신호에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