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셀트리온 항체치료제, 임상2상 결과 여러 의문... 투명하게 정보 공개해야"

댓글 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라포르시안

[라포르시안] 보건당국이 셀트리온이 개발한 국산 1호 코로나19 항체치료제인 '렉키로나주'에 대한 허가 심사가 막바지에 접어든 가운데 보건의료 전문가들이 투명하고 정확한 정보 공개를 요구하고 나섰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항체치료제 '렉키로나주' 검증결과를 오늘(18일) 발표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건강권 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은 18일 성명을 내고 "항체치료제는 그 한계에 비해 그간 지나친 기대를 받아왔고, 이는 정부가 부추긴 측면이 크다"며 "상당한 공적 연구자금이 투입됐음에도 시민에게 투명하고 명확한 정보가 공개되지 않고 있는 점에서 식약처 발표를 앞두고 우리는 우려를 갖는다"고 밝혔다. .

렉키로나주가 상용화하더라도 코로나19 유행 상황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보건의료단체연합은 "최근 임상 2상에 대해 알려진 바에 따르면 '렉키로나주'는 경증, 중등증 환자에서 '회복시간 단축' 효과가 일부 있을 뿐"이라며 "게다가 이것도 불확실하고, 지금까지 이 약에 대해 알려진 내용들은 모두 검증을 거친 논문으로 발표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들 단체는 "항체치료제는 '게임체인저'는커녕 코로나19 치료 개선에 한계가 분명하다. 외국에서 나온 항체치료제도 중증환자에 대한 효과가 없거나 입증되지 않았다"며 "그런데도 문재인 대통령은 '렉키로나주'를 방역, 백신과 함께 코로나19 극복의 세 축으로까지 언급하는 등 크게 힘을 실었다. 이는 주식시장에 영향을 주고 과학의 영역에 정치가 근거 없이 개입하는 효과를 낳았다"고 우려했다.

정치가 개입하면서 항체치료제 허가를 결정할 자문단과 중앙약사심의위원 등도 정치적 압력에서 완전히 자유롭다고 말할 수 있는지 의문스럽다고 지적했다. <관련 기사: "셀트리온 코로나19 치료제 임상결과, 알맹이 없는 포장지만 공개">

지금은 항체치료제보다 방역에 대응할 의료인프라 확보가 더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보건의료단체연합은 "정부와 여당이 치료제에 집중하며 병상과 의료인력 문제에는 소홀하다"며 "지금까지 사람들이 죽어간 것은 치료제가 없어서가 아니라 기본적 수액치료와 산소치료를 하지 못해서다. 즉 병상과 의료인력이 부족해 입원대기 중 사망자들이 발생했다. 치료제를 쓸 수조차 있으려면 병상과 인력이 충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렉키로나주 임상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하고, 신중한 결정을 내리면서 시민들에게 명확한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보건의료단체연합은 "이 치료제는 '셀트리온 치료제'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공동개발한 것으로, 연구개발에 세금이 투여됐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상 2상 결과가 발표된 지금까지도 여전히 투명하고 명확한 정보 공개가 없다. 질병관리청은 공공기관으로서 시민에 대한 의무를 다하기 위해 연구결과를 공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현재까지 공개된 렉키로나주 임상연구 결과에 대해서도 여러 의문점도 있다고 주장했다.

보건의료단체연합은 "2상 임상시험 평가지표 일부는 아예 공개되지 않았고 중증으로 발전하는 기준으로 삼은 기준들이 객관적이지 않다"며 "'위약과 비교 시 경증 및 중등증 전체 환자에서 중증으로 발전하는 확률이 54% 감소했다'는 셀트리온의 주장은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했으므로 엄밀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했다.

이들 단체는 "정부는 '국내 첫 항체치료제'라는 정치적 성과와,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경제적 이익 등에 집중해서는 안 된다"며 "전무한 심각한 위기 상황 극복에 조금이라도 다가서려면 오로지 근거에 기반한 과학적 판단과 민주적 투명성을 보여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건강권 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에는 건강권 실현을 위한 행동하는 간호사회,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참의료실현청년한의사회 등이 참여하고 있다.

<저작권자 Copyright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