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韓, 7년 후 日 넘어 세계 5위 수출국 도약한다

댓글 8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한국이 7년 후 일본을 뛰어넘는 수출 강국이 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3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무역의 날(5일)을 앞두고 1977년 수출 100억달러 달성 이후 세계 수출시장에서의 한국의 위상 변화와 2010년 이후 세계 수출순위 6~7위를 유지 중인 한국의 세계 5위 수출국 진입 가능성과 과제를 분석, 발표했다.

1977년 수출 100억달러를 기록하며 세계 20위 수출 중견국에 진입한 한국은 이후 42년간 연평균 수출이 9.96% 늘어나 지난해 기준 수출 5418억달러,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2.9%, 세계 7위 수출 강국으로 도약했다.

특히 2018년에는 2011년 수출 5000억달러 달성 이후 7년 만에 미국, 독일, 중국, 네덜란드, 프랑스, 일본에 이어 세계 7번째로 수출 6000억달러를 달성한 바 있다.

코로나19 글로벌 경제위기로 올해 상반기 세계교역이 전년동기대비 12.9% 감소(IMF 통계기준 수출 -13.5%, 수입 -12.4%)한 가운데 한국의 수출도 11.3% 줄어들었다.

이는 세계 20대 수출국(2019년 기준)이 평균 14.2% 감소한 것과 비교해 2.9%포인트 수출이 덜 감소한 수준이며, 제조업 강국 독일.일본과 비교해도 각각 4.2%p, 2.7%p 덜 준 것이다. 9월부터는 수출이 플러스(7.6%)로 돌아서며 3·4분기 누적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8.6% 감소했다.

글로벌 수출 경쟁국 중 한국이 선방한 주요인은 최대 수출지역인 아시아(2019년 기준 대(對) 아시아 수출 비중 60.9%) 국가들이 코로나19의 경제 영향을 덜 받았고, 민관합동으로 수출기업 긴급 항공화물 운송·해외 바이어 온라인 상담회 개최 등 총력 대응한 결과로 풀이된다.

전경련은 "지난해 세계 5위 수출국인 일본과 한국의 수출액 차이는 1637억달러, 세계시장 점유율은 한국이 0.7%p 낮다"면서 "앞으로 한국 수출이 2010년대 성장세(2011~2019년 연평균 1.68%)를 유지만 하더라도 수출경쟁력 약화가 뚜렷한 일본을 추월해 7년 후 세계 5위 수출국에 진입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2011년~2019년 한국의 수출이 2016년 중국의 사드 경제보복에도 플러스 성장(연평균 1.68%)을 이어나간 반면 일본은 중국의 제조업 자급률 향상에 따라 핵심 수출 품목인 하이엔드 부품 소재의 대중국 수출감소 트렌드가 뚜렷하고, 세계 수출시장에서의 비중이 약 17%로 늘어난 디지털 관련 재화의 수출경쟁력 약화로 전체적으로 수출이 연평균 0.96% 줄었다.

한국은 반도체, 석유제품, 석유화학, 자동차, 선박류, 평판디스플레이 등 15대 주력 품목의 총 수출액과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줄어드는 가운데 차세대 반도체·디스플레이, 바이오헬스, 전기자동차 등 14개 신성장품목은 지난해 총 수출액이 2015년 대비 37.9% 증가한 1226억 달러를 기록하고 전체수출 중 비중은 22.6%까지 늘어났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 실장은 "다자 글로벌 무역질서를 중시하는 미국의 바이든 신행정부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프레임워크 복귀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코로나19 경제위기 타개와 함께 세계 5위 수출국으로의 진입시기 단축을 위해서는 당국의 공세적 통상정책 전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한국의 TPP 가입여건을 조성하고 2018년 3월 이후 약 2.5년간 진행 중인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투자·서비스 협상의 조속한 타결 등에 힘써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실장은 "미국의 신행정부가 TPP에 복귀했으나 한국은 참여하지 못할 경우 한국의 경상수지는 약 18억달러 감소하고, 한국과 미국이 모두 TPP에 복귀할 경우는 한국의 경상수지는 약 266억 달러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미국의 TPP 복귀 동향을 예의주시 하면서 이에 따른 한국의 참여가능성에 대해 진지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기존 주력품목 수출 비중이 낮아지고 신성장품목 수출은 꾸준한 증가 추세임을 감안해 "코로나 상황에서 오히려 세계시장에서 먹힐 수 있는 신규 유망품목의 꾸준한 발굴과 지원에도 힘써야 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