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한국 인공태양 KSTAR, 1억도 20초 운전으로 세계 신기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 인공태양 KSTAR가 1억도 초고온 플라즈마를 20초간 유지하는 데 성공, 세계 신기록을 달성했다. 핵융합 핵심 조건인 초고온 플라즈마 장시간 운전기술에서 새로운 역사를 썼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핵융합(연)) KSTAR연구센터는 24일 2020년도 KSTAR 플라즈마 실험에서 서울대학교 및 미국 콜롬비아 대학교와 공동연구를 통해 핵융합 핵심 조건인 1억도 초고온 플라즈마를 20초 이상 연속 운전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 1억도 초고온 플라즈마 운전(이온온도 기준)의 세계 최고 기록이자, 2019년도 KSTAR의 초고온 플라즈마 운전 기록인 8초를 2배 이상 연장한 성과다.

IT NEW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STAR는 2018년 실험에서 최초로 플라즈마 이온온도 1억도 달성(유지시간 약 1.5초)에 성공한 이후, 매년 초고온 플라즈마 운전 세계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초고온, 고밀도 상태인 태양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을 지구에서 만들기 위해서는 KSTAR와 같은 핵융합 장치 내부에 연료를 넣고 핵을 구성하는 이온과 전자로 분리된 플라즈마 상태로 만든 후, 이온온도를 1억도 이상 초고온으로 가열하고 유지해야 한다.

그동안 다른 핵융합 장치들은 순간적으로 1억도 이상 초고온 플라즈마를 달성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이를 10초 이상 유지하는 벽을 넘지 못했다. 이는 상전도 장치의 운전 한계와 핵융합로 내에 안정적으로 초고온 플라즈마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운전기술의 개발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상전도 장치 운전 한계’란 KSTAR와 같은 초전도 자석을 이용한 핵융합 장치와 달리 상전도 구리 자석을 사용한 기존 핵융합 장치다. 이는 플라즈마를 가두기 위한 강력한 자기장 형성을 위해 높은 전류를 오랫동안 자석에 흘리게 되면, 저항으로 자석의 과도한 온도상승이 일어나 장시간 연속운전이 어렵다.

KSTAR는 2020년도 실험에서 지난해 달성한 차세대 플라즈마 운전모드 중 하나인 내부 수송 장벽(Internal Transport Barrier, ITB)모드3) 성능을 향상시켜 기존 초고온 플라즈마 운전 한계를 넘어 장시간 플라즈마를 유지하는 데 성공할 수 있었다.

핵융합(연) 윤시우 KSTAR연구센터장은 “1억도 초고온 플라즈마의 장시간 운전기술은 핵융합에너지 실현을 위한 핵융합 핵심 과제로, 이번 KSTAR의 초고온 플라즈마 20초 유지 성과는 장시간 고성능 플라즈마 운전기술 확보를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본다”고 의미를 밝혔다.

지난 8월부터 장치 운전을 시작한 KSTAR는 오는 12월 10일까지 플라즈마 발생 실험을 지속할 계획으로, 고성능 플라즈마 운전 및 플라즈마 붕괴완화 실험 등 국내외 공동연구 실험을 포함해 총 110건의 플라즈마 실험을 수행하게 된다.

KSTAR연구센터는 이번 초고온 플라즈마 운전 성과뿐 아니라, ITER4) 관련 연구를 비롯한 핵융합 난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주제의 실험을 남은 실험기간 동안 수행하며 추가적인 연구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이번 성과를 비롯한 주요 실험 결과는 내년 5월에 개최될 예정인 핵융합 연구자들의 올림픽인 ’IAEA 핵융합에너지 콘퍼런스(Fusion Energy Conference)’에서 전 세계 핵융합 연구자들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KSTAR의 최종 운전 목표는 2025년까지 1억도 초고온 플라즈마의 300초 연속운전을 달성하는 것이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지난 11월 20일자로 기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부설기관이었던 국가핵융합연구소에서 독립연구기관으로 변경 설립됐다.

김민중 기자 scienc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