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8 (토)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돈 필요한데 자금조달 통로 막혀..카드론 몰리는 서민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9월 카드론 이용액 4.2兆..전년比 34.3%↑

코로나19 첫 확산 3월 4.3兆 이어 두번째

은행 밀려난 대출수요에 공모주 청약 열풍도

작년 저수요 따른 기저효과도.."리스크 관리 강화"

[이데일리 김범준 기자] 카드사 장기대출인 월간 카드론 이용액이 4조원을 돌파했다. 올 들어 지난 3월에 이은 두번째다. 특히 지난달에만 1년 전보다 34% 이상 급증했다. 은행권에서 밀려난 대출 수요와 주식 ‘빚투’(빚내서 투자) 열풍이 카드론으로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 따른다.

29일 카드 업계에 따르면 7개 전업 카드사(비씨카드 제외)의 지난달(9월) 카드론(장기카드대출) 이용액은 4조1544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조원 이상 늘며 34.3%나 급증한 규모다.

카드론은 최근 들어 빠르게 늘고 있는 추세다. 올 들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처음 확진자 수가 급증하던 지난 2월 카드론 이용액은 3조868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6%(5511억원) 늘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이 강화되던 3월에는 1년 전 보다 25.6%(8825억원) 급증한 4조3242억원을 기록하며 올 들어 월간 이용액 처음 4조원을 돌파했다.

이후 코로나 확산세가 더뎌지면서 카드론 증가세도 4월(4%)과 5월(-1.7%) 두 달 동안에는 잠시 주춤해지는 듯 했다. 하지만 6월 들어 다시 전년 대비 16.3%(5521억원), 7월 8.5%(3130억원), 8월 11.7%(4101억원) 등 두 자릿수로로 늘다가 9월에는 34.3% 증가율로 크게 뛰었다.

이데일리

(그래픽=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카드론이 특히 9월에 가장 큰 상승폭을 보인 것에 대해 카드 업계에서는 코로나19 재확산 위기에 따른 자금 마련 움직임과 함께, 최근 공모주 청약 열풍에 따른 ‘빚투’ 요인도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제 지난달에는 SK바이오팜, 카카오게임즈 등 유망사의 기업공개(IPO)가 이어지면서 공모주 청약으로 1주라도 얻기 위한 영끌한 자금이 수십 조원의 증거금으로 몰리기도 했다. 카카오게임즈 58조5543억원, SK바이오팜 30조9899억원, 빅히트엔터테인먼트 58조4237억원 등 연이어 역대급 기록을 보였다.

또 지난해 금융권 가계대출 관리 영향으로 지난해 9월 카드론 이용액이 같은 해 다른 달 대비 3000억원 가량 적게 나타 기저효과도 있다는 분석이다.

금융권에서는 카드론 대출이 더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은행의 신용대출 수요가 급증하자, 정부는 신용대출 규제로 방향을 바꿨기 때문이다. 당장 돈이 필요한 차주들이 카드론을 중심으로 대출 수요가 몰릴 것이란 예상이다.

비(非)은행인 제2금융권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상한선은 올해까지 60%를 적용해 제1금융권인 시중은행(40%)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다. 카드론 금리는 연 14~17%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높지만, 은행권 신용대출보다 이용이 수월해 중·저신용자의 수요가 몰리는 편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론 증가가 카드사 수익에 도움이 되지만, 걱정스러운 것도 사실”이라며 “당장 대출을 옥죄면 다중 채무자 등 취약 차주의 상환이 막히며 부실이 급증할 수도 있어 상황을 살피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최근 카드론 이용액이 늘어난 것은 맞지만, 리스크 관리는 전체 잔액 기준으로 봐야 한다”며 “올해 금융당국이 별도 제한을 두지 않았음에도 카드사별로 전년 수준 범위 내에서 증가율을 관리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카드 현금서비스(단기 카드대출) 이용액은 감소세다. 올 들어 8개월 동안 지난 2월(2.5%)만 제외하고 모두 감소했다. 특히 지난 5월(-12.3%), 6월(-6.9%), 7월(-14.8%), 8월(-9.9%), 9월(-10.2%) 등 최근 들어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급전성 성격이 강한 현금서비스 이용은 줄어드는 대신, 장기 대출인 카드론 이용이 늘어나는 상황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