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중장년층 위협하는 척추관협착증, 척추내시경 치료 효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희원 기자] 요통이 오래 지속되고 다리 저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흔히 '허리디스크'를 의심한다. 이는 가장 많이 알려진 질환이기도 하고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생이다보니 다 보니 쉽게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허리가 아프다고 해서 무조건 디스크를 의심할 수는 없다. 최근에는 척추관협착증 역시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척추질환으로 꼽힌다. 특히 50~60대 중년층이라면 이 질환에 더욱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이 압박을 받으면서 통증과 함께 팔, 다리 저림과 같은 신경 증상이 동반되는 질환이다.

스포츠월드

전형준 광명21세기병원 병원장.


대부분 노화로 인해 척추관을 둘러싸고 있는 인대와 관절이 두꺼워지면서 신경을 압박하는 게 주요인이다. 선천적으로 척추관이 좁은 경우에도 발병할 수 있다. 허리디스크는 말랑말랑한 젤리와 같은 디스크 물질이 신경을 누르는데 척추관협착증은 주로 뼈와 관절 같은 딱딱한 조직이 신경을 누르는 데서 차이가 난다.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극심하고 엉덩이부터 허벅지, 다리, 발바닥까지 저리고 당기는 통증이 주로 나타난다. 걸을 때 다리가 터져나가는 것처럼 극심한 통증이 동반된다. 이밖에 특징적인 증상으로 간헐적 파행이 있다. 이는 허리디스크와 구별되는 증상 중 하나로 앉아 있을 때는 괜찮은데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저리고 아파서 앉아 쉬었다가 다시 걸어야 하는 보행장애를 말한다.

전형준 광명21세기병원 병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의 초기의 경우 물리치료나 소염제, 도수치료 등 보존적인 치료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며 “하지만 이러한 보존적인 치료에도 증상에 호전이 없거나 이미 증상이 악화된 경우라면 척추내시경과 같은 치료를 통해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척추내시경 치료는 약 5mm 정도의 피부 절개 후 가느다란 관을 넣은 뒤 내시경으로 병소를 확인하며 고주파 열을 활용하는 치료다. 고주파로 정상적인 디스크 수핵 조직은 그대로 보존하고 신경을 압박하는 원인만 제거한다.

특히 전신마취에 부담이 없어 다양한 연령층에서 시행이 가능하며 절개 범위가 적고 척추 주변 근육 및 인대 등에 손상이 거의 없어 회복 속도가 빨라 바쁜 현대인에게 만족스러운 치료법이 될 수 있다.

전 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은 수술하지 않고 그대로 둔다고 갑작스럽게 증상이 악화되거나 마비, 대소변 장애 같은 증상이 급성으로 생기는 매우 드물다”며 “따라서 충분한 기간을 두고 무조건 수술을 생각하기 보다는 보존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증상의 호전을 지켜보는 게 현명하다”고 조언했다.

이같은 척추질환은 적극적인 치료도 중요하지만 평소 관리도 꾸준히 병행돼야 한다. 특히 척추에 무리를 줄 수 있는 자세나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가벼운 스트레칭과 운동을 통해 척추 주변 근육과 인대를 강화하는 게 중요하다. 무엇보다 증상이 나타났을 때 조속히 병원을 찾아 적극적인 치료에 임해야 한다.

happy1@segye.com

ⓒ 스포츠월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