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코로나19 중증환자 ‘폐 손상’ 원인 찾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생명硏 서영교 박사팀, 생합성 조절 단백질 인자가 폐 손상 유발

- 사이토카인 폭풍 및 장기 손상 예방하는 핵심 치료표적 기대

헤럴드경제

서영교 박사가 생합성 조절 단백질의 활성화 수준을 모니터링하고 있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코로나19 중증환자의 폐 손상을 유발하는 원인을 찾아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화제어전문연구단 서영교 박사 연구팀은 체내 지방 생합성 조절 단백질(SREBP)이 코로나19 감염 환자에서 사이토카인 폭풍으로 인한 폐 손상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또 이 단백질을 활용하면 중증도 진단‧치료 표적이 될 수 있고 향후 감염성 및 노인성 염증질환 치료제 개발에 결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절 단백질은 콜레스테롤의 생합성 경로에 관련되는 효소를 활성화해 간을 비롯한 생체 각 조직에서 콜레스테롤 및 지질 항상성 조절과 선천적 면역반응 항진에 관여하는 핵심 인자다.

연구팀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에서 성숙한 조절 단백질이 염증 유발 전사인자로서의 활성을 나타내고 단백질이 혈액으로 분비돼 진단 표적이 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또 코로나19 감염환자 혈액으로부터 조절 단백질의 활성화 수준을 모니터링, 염증성 사이토카인 방출 및 혈관 파괴에 관련된 증거를 확인했다.

바이러스 감염시 조절 단백질 일부는 체내 독소 역할을 하여 코로나19로부터 중증으로 진행된 패혈증 환자에서 사이토카인 폭풍을 일으킨다.

환자의 혈액에서 조절단백질의 발견은 중증 코로나19 환자의 치료 목표를 결정하기 위한 적합한 바이오마커임을 의미하며, 심각한 패혈증 환자에서 사이토카인 폭풍 및 장기 손상을 예방하는 핵심 치료 표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서영교 박사는 “이번 성과는 코로나19로 인한 급성 폐손상 등을 진단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표적으로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며 “해당 인자는 효율적 염증 치료제뿐만 아니라 계절 급성 감염증 질환, 노인성 대사 불균형 관련 질환 등의 치료제 개발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시그널 트랜스덕션 타켓 테라피’ 9월 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