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홍경한의 시시일각] 공공미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술인들조차 도시재생이나 환경조형물 설치 혹은 도시경관 조성을 공공미술로 오해한다. 건축물 여기저기 알록달록한 오브제를 벽에 붙이거나 커다란 물질 덩어리를 마을 어딘가 내지는 빌딩 앞에 세워두는 것을 공공미술로 생각한다는 것이다. 심지어 예술가의 작업을 공공공간으로 옮기는 것을 공공미술로 착각하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이는 '건축 속의 미술'과 '공공공간 속의 미술'이다. 좋게 말하면 건축물과 공간에 미술을 효과적으로 대입하는 방법이지만, 거칠게 표현할 경우 건축물과 공공공간을 장식화 혹은 도구화하는 미술이다. 당연히 자치단체장의 임기 중 성과주의와 근거 없는 경제 낙관론이 혼재된 지역상징물도 공공미술이 아니다.

동시대 공공미술은 어떤 특정한 문제와 사안, 자신의 주변 환경에 대해 스스로 말할 수 있는 주체로 이입되는 경험에 무게를 둔다. 미술을 매개로 어떻게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동화될 수 있을 것인지에 관한 예술가들의 고민이 공공의 주체인 시민에 의해 승화되는 과정과 결과가 바로 공공미술인 셈이다.

공공의 요구에 공공적 가치를 지닌 미술로 부응하는 방법이기도 한 공공미술에서 중요한 건 '공공성의 실현'이다. 참여 프로그램에 의해 수용자들이 작품을 만들고 미술가 수준의 미적 체험으로 착각되곤 하나, 공공성의 실현은 한 개인이나 단체가 아닌 사회문화적 근거 아래 구성원 전체의 기억과 쟁점, 삶의 맥락을 수용해 새로운 모더니티를 창출하는 데 있다.

공공성의 실현은 예술을 통해 지역민과 소통하고자 하는 명확한 태도가 있어야 가능하다. 지역사회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문제나 현상에 대한 예술가의 개입과 예술적 실천이 긍정적일 수 있다는 주민들의 믿음과 교감도 필요하다.

따라서 공공미술의 실현은 조형물 하나 설치하는 것에 비하면 무척이나 까다롭다. 사람마다 미적 가치 기준이 다르고 이해하는 방식의 차이가 존재하는 현실에서 공공미술의 또 다른 핵심인 '미적 교감'의 불충분함을 거세해야만 하기에 뭐 하나 쉬운 게 없다. 게다가 작가주의 관점과 공공성의 절충 역시 완만해야 하므로 생각보다 지난한 일이다.

그런데 오히려 그런 측면으로 인해 동시대 공공미술의 가치는 더욱 빛날 수 있다.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예술적 철학과 감수성을 발견토록 하는 문화적 창 혹은 무대로의 전환을 유도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예술이자, 미술을 통한 상상력의 확장과 사고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가장 의미 있는 예술이기 때문이다.

수잔 레이시(Suzanne Lacy)가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에서 미술의 사회적 성찰과 공공의 실제적 참여, 미술을 통한 탈근대적 공론을 주장한 것처럼, 이제 공공미술은 공공공간에 미적 가치가 있는 오브제를 들여다 놓는 수준에서 벗어나 공동체에 주목하고 '공공성의 실현'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 공간에 물건을 어떻게 가져다 놓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어떻게 사람들의 삶에 참여하고 개입해 유익하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으로 전환돼야 할 뿐만 아니라, 미술을 통한 상상력의 확장과 사고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커뮤니티의 장이 되어야 한다. 이것이 공공미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 홍경한(미술평론가·DMZ문화예술삼매경 예술감독)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