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8 (목)

`상온 노출` 백신 접종자 계속 늘어…부작용 우려 커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6일 기준 `상온 노출` 의심백신 접종자 324명

27일까지도 조사 중…접종자 더 늘어날 수도

알레르기·발열·발작 등 이상반응 생길까 우려

지자체와 의료기관 통해 접종자 모니터링 중

일선 병원서 백신 혼용…질병청 관리소홀 지적도

[이데일리 함정선 기자] 유통과정에서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일부가 상온에 노출된 후 정부가 국가 예방접종을 중단했지만, 일선 의료 현장에서 해당 물량의 백신이 접종된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27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상온에 노출된 것으로 의심되는 신성약품 유통 백신 물량이 접종된 사례는 지난 26일 기준 324건이며, 조사가 계속 진행되고 있어 접종자 숫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데일리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발열· 발작 등 부작용 가능…접종자 모니터링

상온 노출 의심 백신을 접종한 사람들이 늘어나며 백신 부장용이나 이상 반응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현재는 지방자치단체가 해당 백신으로 접종을 받은 대상자에 대한 부작용, 이상반응 등을 감시하고 있다. 지자체 별로 접종일부터 1주일간 유선 전화 확인 또는 문자메시지를 통해 접종자를 집중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질병관리청은 해당 지자체를 통해 접종 현황과 이상 반응 발생을 확인하고 있고 일선 의료기관에서 이상반응을 인지할 경우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또는 보건소로 신고하도록 했다. 또 상온 노출 의심 백신을 접종한 환자나 보호자는 이상반응이 생길 경우 예방접종도우미누리집 또는 보건소로 신고하도록 안내했다.

질병청은 백신 안전성이 문제가 될 경우 알레르기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상온 노출 백신을 접종한 대상자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백신의 안정성에서 가장 크게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접종하고 바로 알레르기 초기나 이런 중증 부작용”이라며 “접종 후 2~3일 안에 발열이나 발작 같은 이상반응이 보통 보고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 해당 접종자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료·무료 백신 섞어 관리…의료기관 등도 점검 필요성 지적

질병청이 국가 무료 독감 예방접종을 전면 중단했음에도 300명이 넘는 사람들에게 해당 백신이 투여된 것은 의료기관에서 백신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거나 정부의 중단 상황을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 이에 따라 정부의 독감 백신 무료 접종사업에 대한 대대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유통과정에 대한 점검뿐만 아니라 독감 예방접종 위탁을 맡은 일선 의료기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얘기도 있다.

예를 들어 전주의 한 의료기관에서는 정부 조달 백신과 유료 백신을 제대로 구분하지 않아 접종자 전체 594명 중 60명이 신성약품이 유통한 백신을 접종하는 일도 발생했다.

규정에 따르면 독감 예방접종 위탁을 받은 의료 기관의 경우 정부 조달 물량인 무료 백신과 직접 구매한 유료 백신을 구분해 관리해야 하는데, 해당 병원은 이 같은 원칙을 지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질병청은 해당 의료기관에 대해 독감 예방접종 위탁 계약을 해지한 상태이며 추가로 같은 사례가 없는지 조사하고 있다.

또한 일부 병원에서는 질병청이 국가 예방접종을 중단한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채 발표한 하루 뒤에도 해당 백신으로 접종을 진행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접종이 중단된 하루 뒤인 23일에도 8명이 해당 백신을 접종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예방접종사업을 중단할 때만 해도 상온 노출 의심 백신이 투여된 사례가 없다고 밝혔던 질병청이 관리를 소홀히 한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질병청은 “독감백신을 이미 접종한 사람들에게 사용한 백신을 의료기관별로 보유 수량과 정부조달 공급 수량을 비교,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며 상온 노출 의심 백신 접종자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