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이슈 대한민국에 떨어진 물폭탄

빙하 유실 지속 땐 3억명 침수…'탄소 감축' 가이드라인 절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산 등 해안도시 피해 커질 우려

탄소배출 줄이고 홍수 대비해야



[창간기획] 기후재앙 자연의 비명




“해수면이 30㎝만 높아져도 부산 해운대, 인천 송도 같은 해안 도시엔 어마어마한 침수 피해가 발생합니다. 한반도 해안선이 수㎞ 후퇴하는 것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죠.”

김백민 부경대 환경대기과학과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녹아내린 그린란드의 빙하가 전 세계에 초래할 ‘나비효과’를 경고해 왔다. 빙하 유실의 배경엔 지구온난화 현상이 있다. 온난화 원인은 전력 발전과 화석연료의 연소로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증가다. 한국은 더 심각하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이산화탄소 농도(417.9㏙)는 미국해양대기청(NOAA)이 발표한 전 지구 평균농도(409.8㏙)보다 높았고,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기후학자들은 매년 최고치를 경신하는 빙하의 유실량을 주시하고 있다. 전 세계 해수면 상승에 직격탄이라서다. 빙하가 녹아 범람한 물은 바다로 유입되고, 불어난 바닷물은 육지를 서서히 집어삼키며 대재앙을 예고한다.

중앙일보

그린란드 북동부의 79N 빙붕(바다에 떠 있는 얼음)에서 거대한 얼음덩어리가 떨어져 나가는 모습이 위성에 포착됐다. [사진 그린란드 지질조사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린란드의 빙하 유실이 불러올 재앙은 숫자로 나타난다. 지난해 10월 국제 기후변화 연구단체 ‘클라이밋 센트럴’(Climate Central)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2050년 전 세계 3억 명이 거주하는 지역에 매년 침수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 서울사무소가 이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10년 뒤 우리나라 국토의 5% 이상이 물에 잠기고, 인구 절반 이상이 사는 서울·경기·인천 지역 등에서 332만 명이 직접적인 침수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됐다. 인천공항·김포공항을 비롯한 국가 기간시설들이 완전 침수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문제는 빙하의 녹는 속도가 한층 빨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전 세계 50개 기관 소속 극지 연구자 96명으로 이뤄진 ‘빙하질량균형비교운동’(IMBIE)은 1992년부터 2017년까지 남극과 그린란드에서 녹아 내린 얼음이 총 6조4000억t이라고 밝혔다. 지구의 해수면을 17.8㎜ 높일 수 있는 양이다. 연구에 참여한 영국 리즈대 앤드루 셰퍼드 교수는 “전 세계 해수면이 1㎝ 상승할 때마다 600만 명이 홍수와 해안 침식의 위험에 노출된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탄소 감축을 위해선 실현 가능한 연도별 감축 목표치 설정과 석탄발전 중단 등 실행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김백민 교수는 “빙하 유실로 인한 해수면 상승은 ‘수퍼 태풍’ 등 극단적인 기상 현상과 맞물려 우리나라에서 더 심각한 복합재난을 초래할 수 있다”며 “탄소 배출 제로(zero) 사회로 가야 하는 이유”라고 진단했다. 정상훈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팀장은 “현재 정부가 진행하는 그린뉴딜은 친환경 산업 육성에는 좋은 정책이 될 수 있지만 기후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허창회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장기적으로는 탄소 감축을 진행하고 홍수 등에 대비해 댐을 건설하며 하천 피해를 막는 대책도 즉각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QR코드


스마트폰으로 QR코드에 접속하면 빠른 속도로 녹고 있는 그린란드 빙하 모습을 360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박건 기자 park.kun@joongang.co.kr

※ ‘기후재앙 자연의 비명’ 기획 시리즈는 언론진흥기금 지원을 받아 제작했습니다.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