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하루 앞둔 테슬라 배터리데이서 주목할 두 가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원가 절감·배터리 수명 늘리기에 초점

베일 싸인 '로드러너 프로젝트' 성과도 관심

[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많은 흥미거리(exciting things)가 공개될 것입니다.” 일론 머스크(Elon Musk)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예고한 테슬라의 첫 ‘배터리 데이’(Battery Day)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테슬라는 22일 오후 1시30분(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프레몬트 공장에서 주주총회 직후 배터리 데이를 열고 이를 전 세계에 온라인 생중계한다. 전기차 선두주자인 테슬라가 전기차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인 배터리에 특정해 발표하겠다고 나서자 배터리 제조사는 물론 자동차업계의 이목이 쏠린다.

이데일리

22일 오후 1시30분(현지시간) 주주총회와 배터리 데이를 안내하는 테슬라 홈페이지. (사진=테슬라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0% 차지하는 배터리값, 어떻게 줄일까

지금까지 머스크가 배터리 데이와 관련해 제시한 단서는 원가 절감과 장(長)수명, 두 가지로 요약된다. 이들 모두 전기차가 내연기관차와 동등한 수준으로 경쟁력을 높여줄 수 있는 요인이다.

원가 절감은 테슬라가 꾸준하게 언급한 사안이다. 배터리는 전기차 가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0~40%에 달할 정도로 핵심 부품이자 전기차값을 내리기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다. 지난 7월 말 2분기 실적 발표 당시 테슬라는 전기차 성장 제약 요인으로 배터리 가격을 꼽기도 했다.

우선 전기차에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인 NCM(니켈·코발트·망간)에서 가장 비싼 광물인 코발트 함량 줄이면 원가를 절감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여기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LG화학(051910)·삼성SDI(006400)·SK이노베이션(096770) 등 주요 배터리 제조사처럼 니켈 함량을 높여 코발트 비중을 줄이거나 CATL 등 중국 배터리 제조사처럼 아예 코발트를 제외한 리튬인산철(LFP) 활물질(배터리 내 전기를 일으키는 반응을 담당하는 물질)을 쓰는 것이다.

지금으로선 △NCM 배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능이 떨어지는 LFP 배터리에 망간을 추가해 에너지 밀도를 높인 LFMP 배터리 △니켈 함량을 높여 코발트 함량을 낮춘 ‘하이니켈’ NCM 배터리 △건식 전극 코팅 기술과 같은 원가 절감 기술 등의 가능성이 거론된다.

이데일리

일론 머스크(Elon Musk)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1월7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로드러너 프로젝트’ 드디어 베일 벗는다

배터리와 관련해 테슬라가 추진하는 ‘로드러너(Roadrunner) 프로젝트’ 역시 관심사다. 배터리 셀 제조사 맥스웰 테크놀로지스와 배터리 장비업체 하이바 시스템즈를 인수한 만큼 테슬라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배터리를 내놓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전기차 전문매체 일렉트렉(Electrek)이 로드러너 프로젝트로 생산된, 종전보다 직경을 두 배 키운 배터리 셀(cell·배터리의 가장 기본 단위)을 유출해 공개하기도 했다. 셀을 키워 포장 단계를 축소하고 전기차 1대당 들어가는 셀 개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하는 구조로 풀이된다.

다만 업계는 설비 투자에 드는 비용이나 양산에 필요한 기술력 등을 고려하면 자체 생산보다 합작 혹은 현재의 협력 관계 유지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 테슬라의 최대 협력사인 파나소닉이 지난달 미국 네바다주에 있는 배터리 생산 라인을 확충하겠다는 발표 역시 이같은 주장에 힘을 싣는다. 여기서 생산된 배터리 셀은 테슬라가 운영하는 바로 옆 공장에서 모듈로 조립된다.

오래 가는 배터리로 내연기관차에 도전

테슬라가 집중하는 또 다른 분야는 오래 가는 배터리다. 로이터통신을 비롯한 외신이 수차례 보도한 100만마일(160만여㎞) 배터리가 바로 그것이다. 100만마일 배터리가 현실화하면 내연기관차만큼 배터리 교체 없이 전기차 수명도 길어질 수 있다.

100만마일 배터리와 관련해 테슬라와 협력하는 것으로 알려진 중국 CATL의 쩡위췬(曾毓群) 회장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주문을 받으면 생산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들 배터리는 중국에서 생산되는 ‘모델3’에 이르면 연내 혹은 내년 초부터 들어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로이터통신은 “테슬라는 파나소닉·LG화학·CATL과 파트너십을 맺고 이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이번 배터리 데이에서 발표될 새로운 배터리 셀 디자인과 화학·제조 공정은 테슬라의 배터리 제조사 의존도를 낮출 것”이라고 봤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