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시가총액 3년새 1051.7조 급증 '역대 최대폭'
[광주=뉴시스] 박미소 기자 = 정부의 6·17 부동산 대책에 대한 후속 조치 방안 발표를 하루 앞둔 9일 오후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에서 서울 강남지역 아파트 단지의 모습이 보이고 있다. 2020.07.09. misocamera@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국내 주택 시가총액이 최근 3년간 1000조원 넘게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저금리에 풀려난 유동성이 부동산 시장에 흘러들어가면서 주택 가격 상승세가 지속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5일 한국은행의 '2019년 국민대차대조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말 국내 주택 시가총액(명목 기준)은 5056조8000억원으로 3년 전인 2016년말(4005조2000억원)보다 1051조7000억원(26.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관련 통계 비교가 가능한 1996년 이후 같은 기간 기준 역대 최대 폭이다.
지난 2010년말 3019조1000억원으로 처음 3000조원을 넘어선 이후 2016년 4000조원 돌파까지 6년이 소요됐는데, 불과 3년 만에 5000조원을 돌파한 것이다. 장기화된 저금리 기조에 따른 과잉 유동성, 주택시장의 수요·공급 불균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집값이 가파르게 상승한 영향이다.
부동산 침체기이던 2012년~2013년 주택 시가총액 증가율은 2%대 수준에 불과했다. 2014~2016년에는 4~5%대 수준으로 올라섰고, 지난 2017년~2019년 7~9%대로 급등했다.
특히 주택 시가총액은 소득보다 빠르게 늘고 있다. 지난해 주택 시가총액 증가율은 7.4%(347조2000억원)로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증가율(1.9%)보다 5.5%포인트 높았다. 소득보다 주택 시가총액이 5배 가량 빠르게 증가한 셈이다. 무리해서라도 빚을 내 집을 사려는 수요가 지속되는 이유다.지난해말 기준 가계신용은 1600조100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63조4000억원(4.1%) 늘었다.
다만 한은은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대책 등으로 집값이 추가로 오를 가능성은 적다고 보고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16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이후 기자간담회에서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안정화 대책으로 다주택자 투기 수요가 억제되는 효과가 분명히 있을 것"이라며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정부의 거시 건전성 정책, 수급 대책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해 대응하는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acho@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