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뇌졸중 걸리면 왜 어눌해지나 보니...뇌속 '별세포'가 원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창준 IBS단장-GIST-KIST 공동연구로 규명

별세포가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GABA' 과도분비

주변 신경세포 기능 저하시켜 기능해리 유발해

연구진 "뇌 질환 후유증 치료 기여할 것" 기대돼

서울경제


뇌혈관이 터지거나 막혀 뇌 부위가 손상되는 뇌졸중이 발생하면 후유증으로 말과 행동이 어눌해지거나 정상적인 사고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처럼 뇌졸중 후유증으로 인해 뇌의 다른 부위가 손상되는 기능해리(disaschisis)의 발생원리를 국내 연구진이 규명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본원의 이창준 인지·사회성 연구단장이 공동연구를 통해 뇌속 ‘별세포’의 변화가 뇌졸중 후의 기능해리를 발생시키는 핵심 요소라는 사실을 밝혔다고 8일 소개했다. 이번 연구는 광주과학기술원(GIST) 및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연구팀과 함께 이뤄졌다.

별세포는 별과 비슷한 형상을 한 뇌의 비신경세포다. 그중 크기와 수량이 크게 늘어난 ‘반응성 별세포’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가바’(GABA)를 과도 분비해 주변 신경세포의 활성화 및 대사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중풍,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뇌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꼽히기도 한다.

서울경제


이 단장을 비롯한 연구진은 실험용 주의 뇌 백질부에 뇌졸중을 발생시켜 뇌를 관찰해보니 멀리 있는 운동피질에서 가바가 과도하게 생성돼 뇌 기능 저하로 이어졌다. 이로써 뇌졸중후 반응성 별세포가 가바를 과다 분비해 주변의 신경세포 기능을 떨어뜨리고 기능해리를 일으키는 것이 확인됐다. 여기에 더해 연구진은 자체 개발한 별세포 가바 생성억제 약물인 ‘마오비 억제제’를 투였다. 그 결과 별세포의 가바 분비가 감소하고 운동피질의 기능해리 현상이 완화됐다고 IBS는 전했다.

이 단장은 이번 연구성과에 대해 “뇌졸중뿐만 아니라 편두통, 뇌종양, 뇌염 등 다양한 뇌 질환에서 나타나는 기능 해리의 유발 원리를 밝혔다”며 “뇌 질환 후유증 치료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병권기자 newsroom@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