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한탄강 1천165㎢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여의도 400배(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네스코 집행이사회 최종 승인…제주도·청송·무등산 이어 국내 네 번째

화적연·비둘기낭 폭포·재인폭포 등 26곳 지질·문화 명소 등재

연합뉴스

DMZ 가로지르는 한탄강
[연합뉴스 자료사진]



(의정부·춘천=연합뉴스) 우영식 양지웅 기자 = '자연이 빚은 지질자원의 보고(寶庫)'인 한탄강 일대가 국내 네 번째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받았다.

경기도는 지난달 29일부터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 중인 유네스코 제209차 집행이사회에서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최종 승인했다고 7일 밝혔다.

인증받은 곳은 한탄강이 흐르는 경기 포천시 유역 493.24㎢, 연천군 유역 273.65㎢, 강원 철원군 유역 398.72㎢ 등 모두 1천165.61㎢다.

여의도 면적(2.9㎢)의 400배에 달한다.

이에 따라 화적연, 비둘기낭 폭포, 아우라지 베개용암, 재인폭포, 고석정, 철원 용암지대 등 26곳이 지질·문화 명소로 등재됐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한탄강 지질공원 위치도
[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계지질공원은 유네스코가 미적, 고고학적, 역사·문화적, 생태학적,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곳을 보전하고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지정하는 구역이다.

세계유산·생물권 보전지역과 함께 유네스코 3대 보호제도 중 하나다.

현재 40개 국가 140곳의 세계지질공원이 있으며, 우리나라는 제주도·청송·무등산 등 3곳이 선정돼 있다.

한탄강 일대는 독특한 지질과 지형적 가치로 2015년 12월 환경부가 연천, 포천, 철원을 아우르는 1천164.74㎢를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했다.

고생대부터 신생대에 이르기까지 변성암, 화성암, 퇴적암 등 다양한 암석이 있고 50만∼10만년 전 북한 오리산에서 분출한 용암과 침식작용에 의한 주상절리 등으로 경관이 뛰어나다

특히 하천의 침식작용으로 30∼50m 높이의 U자형 협곡이 형성돼 지질학적 가치가 크고 용암지대와 주상절리 협곡이 주목받고 있다.

연합뉴스

피서객 몰린 한탄강 비둘기낭 폭포
[연합뉴스 자료사진]



경기도는 이 같은 지질학적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전곡리 선사유적지, 고구려 당포성, 평화전망대에 이르기까지 역사·문화적 명소가 많다는 점에 높은 평가를 받아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도는 4년마다 세계지질공원 재인증을 거쳐야 하는 만큼 지질학적 가치 입증을 위한 다양한 지질교육, 관광 프로그램을 개발해 경기북부 발전과 관광산업 활성화의 계기로 삼을 방침이다.

이재명 경기지사는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인증은 경기도와 강원도, 포천시, 연천군, 철원군이 합심해 노력한 성과"라며 "앞으로도 한탄강이 한국을 대표하는 명소가 되도록 관계기관과 협력해 보전과 발전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힘써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대교천 현무암 협곡
[강원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강원도 역시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환영하며 경기도와 협력해 지질명소를 추가로 발굴하고 정비하는 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할 뜻을 밝혔다.

또 국내외 탐방객들을 위한 다양한 지질교육·관광 프로그램 개발에도 힘써 나갈 계획이다.

특히 한반도 최대 생태자원을 보유한 철원을 포함한 평화지역의 특성과 세계 유일의 분단지역이라는 상징성을 활용해 보존할 곳은 확실히 보존하고 이용할 곳은 확실히 이용하는 새로운 평화경제 발전모델을 구축할 방침이다.

최문순 강원지사는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인증은 강원도와 경기도의 상생 협력사업이 국제적으로 열매 맺은 결과"라며 "남북이 공동으로 DMZ를 이용할 수 있는 길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도록 협력과 교류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와 강원도는 2016년 3월 상생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한탄강 국가지질공원의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추진, 2018년 11월 유네스코에 세계지질공원 인증 신청서를 내 지난해 9월 후보지로 선정된 바 있다.

wyshik@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