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박완규의 책읽기 세상읽기] (47) ‘호모 루덴스’ - 놀이하는 인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인간이라는 뜻을 지닌 라틴어 호모(Homo)와 인간의 특징을 표현하는 낱말을 결합해 만들어낸 조어들이 있다.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지혜로운 인간), 호모 파베르(Homo faber·만드는 인간)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네덜란드 역사가 요한 하위징아는 놀이에 주목해 호모 루덴스(Homo ludens·놀이하는 인간)라고 했다. 그는 저서 ‘호모 루덴스’ 머리말에서 “문명이 놀이로서, 또 놀이 속에서 발생하고 전개되었다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고 했다. 인류가 놀이를 통해 문명을 발전시켜 왔다는 것이다.

놀이란 무엇인가. 하위징아는 우리 모두에게 공통된 놀이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놀이는 어떤 고정된 시간과 공간의 한계 안에서 수행되는, 그리고 자유롭게 받아들여졌지만 절대적 구속력을 갖는 규칙에 따라 수행되는 자발적인 행위 또는 일로서, 그 자체의 목적이 있으며, 또 거기에는 어떤 긴장감과 즐거움이 따르며, ‘일상 생활’과는 ‘다른’ 것이라는 의식이 따른다.”

먼저 놀이는 먹고사는 문제나 물질적인 이해관계에서 자유로운 행위다. 놀이는 “여유가 있을 때, 곧 ‘자유 시간’에 행해지는 것”이어서 노동과 다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모든 놀이가 자발적인 행위라는 것이다. 명령에 의한 놀이는 이미 놀이가 아니다. 기껏해야 놀이의 억지 흉내일 뿐이다. … 놀이는 언제고 연기될 수 있고 중지될 수 있다. 왜냐하면 결코 물리적 필요나 도덕적 의무로 부과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놀이의 또 다른 특성은 절대적이고 고유한 질서를 만들어낸다는 데 있다. “놀이는 질서를 창조하며 질서 그 자체이다. 놀이는 불완전한 세계 속으로, 혼돈된 삶 속으로 일시적이고 제한된 완벽성을 가져다 준다. 놀이는 절대적이며 최고인 질서를 요구한다.” 그 질서 잡힌 형식이야말로 놀이에 생명력을 불어넣어 준다. “모든 놀이는 고유의 규칙을 가지고 있다. 그 규칙들은 놀이에 의해 분리된 일시적 세계 속에서 적용되고 통용될 것을 결정한다.”

그렇다면 놀이와 문명의 관계는 어떤가. “문화의 대립적이고 투기(鬪技)적인 기반은 처음부터 놀이 안에 주어져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놀이가 문명보다 더 오래되고 원초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하위징아는 또 “문명이 놀이로서 또 놀이 속에서 성장하면서 취하는 두 개의 영원한 반복적인 형태는 신성한 행사와 축제적 경기”라고 한다.

세계일보

고대인의 생활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고대는 놀이가 삶의 곳곳에 뿌리내린 시대다. “고대 문화라는 무대 자체가 놀이 써클(play-circle)이기 때문”이며 “이 단계에서는 문화 활동이 사회적 놀이로 행해진다”는 것이다. “고대인들은 의식(儀式)을 잘 수행하고, 놀이와 시합에서 마땅히 이기고, 봉헌 행사를 경사스럽게 끝내면, 그럼으로써 그 집단을 위한 은혜와 축복이 내려진다고 굳게 확신했다.”

하위징아는 고대 문화생활에서 재주 등을 다투는 투기적 성격에 주목하면서 북미 인디언 부족의 포틀래치 관습을 근거로 든다. 포틀래치는 부족 축제기간에 한 집단이 다른 집단과 경쟁적으로 선물을 주고받는 것을 말한다. 집단의 명예가 걸린 일이다. 이런 ‘증여 의식‘이 갖는 놀이적 성격은 세계 도처에서 발견된다. 그는 “이런 성스러운 의식의 뿌리에서 우리는 아름다움 속에 살고자 하는 인간의 영원한 욕구를 발견하게 된다”며 “이러한 욕구를 만족시키는 것은 오직 놀이밖에 없다”고 했다.

고대인들에게는 경기를 벌이거나 법정에 서거나, 심지어 전쟁을 치르는 것도 놀이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한다. “고대인의 정신에서는 승리 그 자체가 진리와 정의의 증명”이며 “온당한 의식의 형태를 통해 얻어진 판결은 모두 ‘신의 재판’”이기 때문이다. “신의 뜻이 힘의 시험의 결과로든 전투의 결과로든 혹은 막대기나 돌 던지기의 한판 승부로든 그 어디서 나타나든지 간에, 고대인의 마음에는 모두가 완전히 똑같은 것이다.”

하지만 19세기 들어 문명의 놀이적 요소가 급속히 쇠퇴했다. 사람들이 지나치게 진지해졌다. 자본주의가 번성하면서 호모 파베르의 시대가 된 것이다. 프로테스탄트 노동윤리와 시장의 상품거래 관계가 사회관계를 지배하게 됐다. “일과 생산이 시대의 이상, 나아가서는 시대의 우상이 되었다. 온 유럽이 노동복을 걸쳤다. 따라서 사회의식, 교육열, 과학적 판단 등이 문명의 지배적 요소로 등장했다.”

세계일보

요한 하위징아


놀이 형식이 사회적·정치적 계획을 감추기 위해 사용되곤 한다. 이와 관련해 하위징아는 “오늘날의 문명은 이미 놀이를 잃었다. 놀이가 아직 남아 있는 듯한 부분에서도 그것은 거짓된 놀이일 뿐”이라고 단언한다.

우리 사회를 돌아보게 된다. 사람들은 매사에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진지해 놀이를 시간 낭비로 여긴다. 놀이를 통해 더불어 사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익힐 기회가 없다. 그 결과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갈등이 과도하게 분출된다. 삶에 대한 경직된 태도가 많은 문제의 원인일 것이다. 게다가 인공지능·로봇 등 첨단기술의 발달로 노동시간은 줄고 여가시간은 늘 것이라고 한다. 놀이하는 인간, 호모 루덴스에 대한 성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사회학자 노명우는 ‘호모 루덴스, 놀이하는 인간을 꿈꾸다’에서 “호모 루덴스는 인류의 문명을 움직이는 숨어 있는 인간”이라며 “미래의 유토피아는 모든 사람에게 놀이의 원리가 열려 있는 사회여야 한다”고 했다. 호모 루덴스는 우리가 미래를 열어나가는 열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박완규 논설실장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