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G7 확대 개편 구상에 회원국 반대 잇따라
영국 캐나다 이어 EU도 ‘러시아’ 참여 반대 입장
캐나다, 일본은 회원국 확대 자체에 대한 거부감
한국 환영 입장이지만, 러시아는 중국 포함 주장
안보 경제 둘러싼 이해 엇갈림 속 줄타기 불가피
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G20 오사카 정상회의에서 만난 모습.[로이터] |
[헤럴드경제=박도제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체를 확대 개편해 ‘반중 전선’을 구축하려는 생각이 마음대로 되지 않고 있다. G7 회원국들의 입장이 엇갈리면서 중국을 고립시킬 수 있는 촘촘한 그물을 만들기가 쉽지 않은 상황으로 흘러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구상 속에 올해 말 트럼트 대통령의 재선 전략이 숨어 있다는 점에서도 충분한 명분을 얻지 못하는 분위기다.
2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의 대외정책을 총괄하는 호세프 보렐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는 러시아를 G7에 다시 합류하도록 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지난 2014년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강제합병으로 G8 모임에서 제외된 러시아가 방향을 바꾸고 의미 있는 논의를 할 수 있는 상황이 조성될 때까지 러시아의 복귀를 허용할 수 없다는 얘기다. 전날엔 영국과 캐나다도 러시아의 G7 재합류에 대해 반대 의사를 밝혔다.
지난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세계 경제가 나아갈 방향과 경제정책에 대한 협조 및 조정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범한 G7은 지난 1997년 러시아의 참여로 G8으로 확대됐으나,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으로 러시아를 제외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래 지속적으로 러시아를 포함한 G8 체제로의 환원을 요구하고 있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책임론을 둘러싸고 미중 갈등이 격화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하는 회원국 확대 폭은 더욱 넓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문재인 대통령과 통화에서도 “낡은 체제로서 현재의 국제정세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G11이나 G12 체제로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G7에 추가할 후보로 거론되는 한국과 호주, 인도의 경우 ‘인도 태평양 전략’에 포함된 핵심 국가라는 점에서 미국의 중국 견제용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러브콜을 받고 있는 국가의 반응도 신통치 않다. 한국은 국격 상승과 국익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환영하는 입장을 밝혔지만, 러시아는 G7이 낡은 모임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에 동의하지만 중국도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회원국이 확대되는 것 자체에 대한 기존 회원국들의 거부감도 적지 않은 모습이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전날 “G7은 많은 것을 공유하는 동맹, 친구들과 함께 솔직한 대화를 나누는 곳이었다”고 말했다. G7의 확대를 원치 않는다는 입장으로 이해된다.
일본 외무성의 한 간부는 일본 현지 매체에 “갑자기 구성원을 늘리는 것은 무리일 것”이라며 유보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진다.
G7 확대 개편을 위해서는 전체 회원국의 동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이 실현되기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은 상황이다.
중국의 견제도 만만치 않다. 중국 외교부는 “미국이 중국을 겨냥해 소그룹을 만드는 것은 인심을 얻지 못하고 관련국들의 이익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반발했다.
‘안보’의 미국과 ‘경제’의 중국 사이에서 줄타기를 해야 하는 각국의 고민도 깊어질 전망이다.
pdj24@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