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작년 1인당 국민소득 3만2천달러…10년 만에 최대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소주성 영향으로 노동소득분배율 개선"

CBS노컷뉴스 최승진 기자

노컷뉴스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이 낮은 경제성장에다 원화 약세 등의 영향으로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일 발표한 '2018년 국민계정(확정) 및 2019년 국민계정(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2115달러(3743만원)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1인당 GNI는 전년도에 비해 4.3% 감소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10.4% 이후 최대다.

경제성장률이 높지 않은 상황에서 원화 약세까지 겹친 영향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원·달러 환율은 연평균 5.9% 상승했다. 환율 상승으로 달러화 기준 소득을 끌어 내렸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는 연 2.0%를 기록했다. 가까스로 2% 성장률을 지킨 것은 재정지출 확대의 영향이 컸다. 2018년 GDP 성장률 확정치는 연 2.9%로, 0.2% 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한은 박양수 경제통계국장은 지난해 실질 GDP 성장률과 관련해 "정부소비 증가세가 확대됐지만 건설과 설비투자 감소세가 지속되고 민간소비와 수출 증가세 둔화가 반영된 결과"라고 말했다.

지난해 명목 GDP는 1919조원으로 1년 전보다 1.1% 증가했다. 명목 성장률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0.9%) 이후 21년 만에 가장 낮았다.

1인당 GNI는 한 나라 국민의 생활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다. 명목 국민총소득에 통계청의 추계인구와 원/달러 환율을 반영해 계산한 값을 말한다.

노컷뉴스

(사진=연합뉴스/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인당 GNI는 2017년 3만1734 달러를 기록하며 처음 3만 달러를 넘어섰다. 2018년에는 3만3564 달러로 늘었다.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를 넘고 인구가 5000만명 이상인 나라를 의미하는 '3050클럽'에 세계 7번째로 진입했다.

우리나라는 2006년 2만 달러를 넘어선지 11년만에 3만달러 달성을 이뤘다. 하지만 3만달러 돌파 이후 지난해 감소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7381달러(2026만원)로, 2018년(1만8063달러)보다 3.8% 감소했다. PGDI는 국민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실질적인 주머니 사정을 보여준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인 GDP 디플레이터는 0.9% 하락했다. 1999년(-1.2%) 이후 20년 만에 가장 큰 하락 폭이다.

한은은 "내수 디플레이터가 소비자물가 상승세 둔화로 1.6%에서 1.3%로 낮아졌고 수출 디플레이터가 반도체, 액정표시장치(LCD) 등을 중심으로 1.3%에서 -4.8%로 큰 폭으로 하락 전환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노동소득분배율은 65.5%로, 2.0% 포인트 올랐다. 한은이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53년 이후 가장 높았다.

노동소득분배율이란 한 나라에서 한해 생산활동으로 발생한 소득 가운데 자본을 제외한 노동에 배분되는 몫을 가리킨다. 급여, 즉 피용자보수를 국민소득(NI)으로 나눠 얻는다.

영업잉여가 통계 공표 이후 처음으로 2년 연속 감소한 가운데 피용자보수 증가율(3.4%)이 국민총소득 증가율(1.6%)을 상회한 데 따른 것이다.

한국은행은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이 노동소득분배율 상승에 일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