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이슈 G7 정상회담

트럼프 G7 초청에 文 “기꺼이”…韓 위상 높아졌지만, 中은 어쩌나(종합)

댓글 4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 노골적 배제’ 트럼프 초청에 文대통령 호응

文 “방역과 경제 양면에서 韓 역할 다할 것”

안갯 속 한중…“韓, 호주, 인도, 러시아 초청 적절”

이데일리

1일 문재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정현 김영환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초청에 “기꺼이 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한국의 글로벌 지위가 높아지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G7 회의에 한국을 초청한 것이라는 판단이 깔려 있다. 다만, 향후 한·중 관계가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동시에 나온다.

◇G7회의에 韓 참석 “기꺼이 응할 것”

문 대통령은 1일 오후 9시30분부터 15분간 이어진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나는 트럼프 대통령님의 초청에 기꺼이 응할 것이며, 방역과 경제 양면에서 한국이 할 수 있는 역할을 다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금년도 G7의 확대 형태로 대면 확대정상회의가 개최되면 포스트 코로나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면서 “적절한 시기에 대면회의로 성공적으로 개최된다면 세계가 정상적인 상황과 경제로 돌아간다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의 코로나19 방역과 경제 대응에 자신감이 붙으면서 G7회의가 한국을 포함한 G11이나 G12회의로 진행되는 것에 긍정적 입장을 표현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G7 체제는 전 세계적 문제에 대응하고 해결책을 찾는데 한계가 있다”며 “G7체제의 전환에 공감하며, G7에 한국과 호주, 인도, 러시아를 초청한 것은 적절한 조치”라고 화답했다.

한국뿐 아니라 G7에는 속하지 않았지만 영향력이 있는 나라가 회의에 참여하는 것에도 문 대통령은 긍정적 입장을 나타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회의에 브라질을 포함시키는 문제에 대한 의견을 묻자 “인구, 경제규모, 지역대표성 등을 감안할 때 포함시키는 것이 적절하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좋은 생각”이라며 “그런 방향으로 노력을 해보겠다”고 화답했다.

◇간신히 봉합한 한·중 관계 미궁 빠지나

우려되는 것은 한·중 관계가 틀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사실상 중국을 겨냥한 트럼프 대통령의 국제 질서 재편에 문 대통령이 흔쾌히 긍정적 의사를 전달하면서 당장 시진핑 국가주석의 방한 문제가 안갯속으로 빠질 가능성이 높다.

이번 G7 정상회의 의장인 트럼프 대통령은 원하는 나라를 ‘옵서버’(의결권 없는 참여국)로 초청할 수 있다. 한국을 비롯한 호주와 인도, 러시아를 초청한 것은 이 같은 권한을 행사한 것이다. 공교롭게도 모두 중국과 인접한 국가들이다. 백악관 역시 “중국과 관련된 미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라고 속내를 숨기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G7이 낡은 체제로서 현재의 국제정세를 반영하지 못한다”면서 “이를 G11이나 G12체제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말한 대목에서는 명확한 세계 질서 재편 의지가 드러난다. G2 국가인 중국을 노골적으로 배제하면서 중국의 인접국이자 전통적 동맹국들과 머리를 맞대고 중국 문제를 논의해보겠다는 것이다.

이를 놓고 일본 언론이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미·중 어느 쪽을 택할 것인지 압박하는 것’이라는 해석 속에서도 문 대통령의 선택은 명확했다. 문 대통령은 “G7체제는 전 세계적 문제에 대응하고 해결책을 찾는데 한계가 있다”면서 “G7체제의 전환에 공감한다”고 적극적인 지지 의사를 보였다. “G7에 한국과 호주, 인도, 러시아를 초청한 것은 적절한 조치”라고도 했다.

G2 국가인 중국을 배제한 G7체제의 확대와 초정이 예정된 개별국가에 대해 문 대통령이 찬성 의지를 드러내면서 당장 중국과의 외교는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지난해 12월 한중일 정상회의에 이어 시진핑 주석의 답방까지도 예정된 상태에서 우리 정부의 이 같은 결정에 대한 중국의 반발로 사태가 급변할 수도 있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당초 6월말 개최 예정이었던 G7 정상회의가 9월로 밀린 상황에서 시진핑 주석의 방한 일정도 하반기로 연기될 가능성이 제기돼 왔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20년도 상반기 국제 사회의 공식적 활동이 연장된 데 따른 것이다. 시 주석의 방한과 G7 정상회의 초대라는 초대형 외교 이벤트가 하반기로 맞물리면서 우리 정부의 고민이 예상된다.

더욱이 트럼프 대통령이 G7 정상회의에서 반중(反中) 전선 강화를 꾀한다면 지리적으로 가까운 한중 관계에 가장 먼저 불똥이 튈 가능성이 높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이후 사이가 멀어진 중국과 어렵게 화해 국면을 마련했지만 다시 양국이 냉각기를 맞을 가능성도 생긴 것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