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정무장관 부활하면 누가…이재오처럼 실세형? '소통' 실무형?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靑소통수석 "긍정적으로 검토"…與핵심관계자 "가능성 높아"

역대 실세형 정무장관 기용 적지않아…'실무형' 발탁 가능성 관측도

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여야 원내대표 오찬 회동을 열고 더불어민주당 김태년(가운데),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와 인사를 나누고 있다. (청와대 제공) 2020.5.28/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현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8일 오찬회동에서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의 '정무장관직 신설' 제안에 검토 지시를 내리면서 곧 정무장관직이 부활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여권에선 벌써 누가 정무장관을 맡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29일 청와대와 국회 등에 따르면 정무장관직 신설에 따른 예산 수반 문제 등이 있긴 하지만 21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제1야당의 원내대표가 문 대통령에게 직접 요청한 사안인 만큼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는 분위기다.

정무장관 신설은 진영간 이견이 첨예한 정치적 쟁점도 아니어서 논란 소지가 적기도 하다.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무장관과 정무수석의 위상과 역할이 충돌할 수 있고, 역대 정부마다 만들어졌다가 없어졌다가 하는 일들이 반복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무장관을 신설한다면 정부가 더 커진다. 통상은 야당이 정부가 비대해지는 것을 반대하는데, 이번에는 야당에서 먼저 제의를 한 것이라 긍정적으로 검토할 대목이라고 판단은 하고 있다"고 밝혔다.

윤 수석은 '질병관리본부를 질병관리청으로 승격시키는 게 정부조직법 개정 사항이니 결국 패키지로 갈 수 있는 게 아니냐'는 질문에 "간다면 당연히 그럴 수 있다"고 답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원내 핵심관계자도 이날 뉴스1과 통화에서 "정무장관직 신설은 예산이 들어가는 문제가 있긴 하지만, 야당 원내대표가 강력하게 요청한 사안인 만큼 가능성이 높다고 봐야 하지 않겠느냐"라고 밝혔다.

앞서 주 원내대표는 전날(28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김태년 민주당 원내대표와 함께 문 대통령과 오찬회동을 가진 자리에서 "(이명박정부 당시) 특임장관 시절 정부 입법의 통과율이 4배로 올라가더라. 야당 의원의 경우 청와대 관계자와 만남이 조심스럽지만, 정무장관이 있으면 만나기 편하다"며 정무장관직 신설을 제안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배석한 노영민 대통령비서실장에게 "의논해 보시라"며 즉각 검토 지시를 한 바 있다.

정무장관직 신설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벌써부터 정무장관직 후보군에 눈길이 쏠린다.

그간 정무장관을 맡아왔던 인물들을 분석해 보면 크게 '실세형'과 '실무형'으로 분류된다.

우선 대통령의 의중을 잘 알아야 하는 만큼 정권 실세들이 다수 기용됐다. 노태우 전 대통령은 전두환 정부 시절 정무장관을 지냈고, 노태우 정부 시절에는 ‘킹메이커’로 불렸던 김윤환 전 의원이 발탁된 바 있다. 김영삼 정부 시절엔 상도동계인 김덕룡 전 의원과 서청원 무소속 의원 등이 정무장관을 지냈다.

이명박 정부 시절엔 당시 친이(친이명박)계로 분류되던 주 원내대표가 초대 특임장관을, 이명박 정부의 실세로 불렸던 이재오 전 의원이 2대 특임장관에 기용됐었다.

정권 실세가 정무장관에 기용될 경우, 자칫 대통령비서실장이나 청와대 정무수석과의 역할이 중첩되는 문제가 있는 만큼 야당과 소통이 잘 이뤄지는 고흥길 전 장관 등 '실무형'이 기용되는 경우도 있었다.

청와대 안팎에선 만약 정무장관직이 부활된다면 전해철 의원 등 무게감이 쏠릴 수 있는 '실세형'보단 문 대통령의 의중을 잘 파악하고 야당과도 소통이 잘 되는 '실무형'이 기용될 가능성이 높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대체적이다.

정치권에선 원혜영, 최재성 의원 등 21대 총선에서 불출마 또는 낙선한 의원들이나 현역 의원 중 야당 의원들로부터 신망이 두터운 인사들이 물망에 오른다. 당에선 현역 의원들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gayunlove@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